“온몸 수색·세금 폭탄”…일본 놀러 갔다 ‘봉변’ [잇슈 키워드]

입력 2023.06.14 (07:38) 수정 2023.06.14 (07: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번째 키워드는 '금'.

요즘 일본 여행 가시는 분들 많죠.

금반지나 금목걸이 같은 '금'은 집에 두고 가시는 게 좋겠습니다.

일본 세관 당국이 귀금속 밀수를 막기 위해 입국 심사를 굉장히 까다롭게 하고 있습니다.

몸에 착용하고 있는 금붙이들도 문제가 된다고 합니다.

실제로 인터넷에 경험담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세관 직원이 온몸을 만지고 가방을 하나하나 다 풀어 검사했더라", "몇 년을 착용했던 순금팔찌를 하고 갔는데 세금으로 150만 원 내야 풀어준다고 했다"같이 큰 불편을 겪었다는 여행객들이 많습니다.

그 나라 법이니까 어쩔 수 없죠.

우리 외교부는 일본에 들어갈 땐 금의 순도와 양에 관계없이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면서, 금제품은 한국에 두고 떠날 것을 당부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온몸 수색·세금 폭탄”…일본 놀러 갔다 ‘봉변’ [잇슈 키워드]
    • 입력 2023-06-14 07:38:07
    • 수정2023-06-14 07:42:28
    뉴스광장
두번째 키워드는 '금'.

요즘 일본 여행 가시는 분들 많죠.

금반지나 금목걸이 같은 '금'은 집에 두고 가시는 게 좋겠습니다.

일본 세관 당국이 귀금속 밀수를 막기 위해 입국 심사를 굉장히 까다롭게 하고 있습니다.

몸에 착용하고 있는 금붙이들도 문제가 된다고 합니다.

실제로 인터넷에 경험담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세관 직원이 온몸을 만지고 가방을 하나하나 다 풀어 검사했더라", "몇 년을 착용했던 순금팔찌를 하고 갔는데 세금으로 150만 원 내야 풀어준다고 했다"같이 큰 불편을 겪었다는 여행객들이 많습니다.

그 나라 법이니까 어쩔 수 없죠.

우리 외교부는 일본에 들어갈 땐 금의 순도와 양에 관계없이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면서, 금제품은 한국에 두고 떠날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