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출연] 김규왕 한서대 항공운항학과 교수
입력 2024.12.30 (19:38)
수정 2024.12.30 (20: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참사의 원인에 대해 여러 해석이 분분합니다.
무엇도 단정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전문가 모시고 여러 가능성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한서대학교 항공운항관리학과 김규왕 교수님 모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먼저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랜딩기어 오작동 문제인 건 확실한 것 같습니다.
그럼 랜딩기어 오작동을 불러 올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텐데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앵커]
랜딩기어는 수동조작으로도 가능하다는데, 이게 상식적으로 비상상황에서 쓰이는 만큼 빠르게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을 것 같은데요.
어떤가요?
[앵커]
항공기가 원래 내리려던 방향으로 착륙하지 못하고, 반대 방향으로 내렸습니다.
한 바퀴 선회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착륙을 시도하지 못했는데요.
어떻게 봐야 할까요?
[앵커]
랜딩기어를 수동 작동할 수도 없을 만큼 급박한 상황.
빨리 착륙을 해야하는 상황이 기내에서 벌어졌을 것이다라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앵커]
사고 항공기가 활주로에 진입하는 속도가 빨랐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항공기 구동 시간 문제도 새로 제기되는데요.
제주항공이 대당 월 평균 418간을 운영한다, 다른 항공사에 비해 많은 시간이라는 겁니다.
항공기에 스트레스를 준 것 아니냐는 건데 조종사 피로도와도 관련있을 듯 합니다.
어떻습니까?
개연성이 있는 건가요?
[앵커]
착륙 허가 뒤 9분이 원인을 밝히는데 가장 중요한 시간일 것 같습니다.
어떤 증거들을 살펴야 할까요?
[앵커]
사고 조사가 본격적으로 이제 이뤄질 텐데, 통상적으로 이런 사고 조사, 어떤 절차로 진행이 되죠?
[앵커]
무안공항의 계기착륙장치, 그러니까 로컬라이저가 흙더미 위, 단단한 둔덕에 설치돼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꼬리 쪽에 있던 승무원 두 분이 기적적으로 생존을 했죠.
가장 안전한 곳이 후미 쪽이다 이게 맞습니까?
[앵커]
관제탑이나 접근관제소 등과의 교신 내용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밝혀진 내용이 있습니까?
[앵커]
앞으로 유사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선 무엇부터 점검해야 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항공 전문가로서 꼭 하시고 싶은 말씀도 있을 실것 같은데요.
이번 참사의 원인에 대해 여러 해석이 분분합니다.
무엇도 단정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전문가 모시고 여러 가능성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한서대학교 항공운항관리학과 김규왕 교수님 모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먼저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랜딩기어 오작동 문제인 건 확실한 것 같습니다.
그럼 랜딩기어 오작동을 불러 올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텐데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앵커]
랜딩기어는 수동조작으로도 가능하다는데, 이게 상식적으로 비상상황에서 쓰이는 만큼 빠르게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을 것 같은데요.
어떤가요?
[앵커]
항공기가 원래 내리려던 방향으로 착륙하지 못하고, 반대 방향으로 내렸습니다.
한 바퀴 선회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착륙을 시도하지 못했는데요.
어떻게 봐야 할까요?
[앵커]
랜딩기어를 수동 작동할 수도 없을 만큼 급박한 상황.
빨리 착륙을 해야하는 상황이 기내에서 벌어졌을 것이다라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앵커]
사고 항공기가 활주로에 진입하는 속도가 빨랐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항공기 구동 시간 문제도 새로 제기되는데요.
제주항공이 대당 월 평균 418간을 운영한다, 다른 항공사에 비해 많은 시간이라는 겁니다.
항공기에 스트레스를 준 것 아니냐는 건데 조종사 피로도와도 관련있을 듯 합니다.
어떻습니까?
개연성이 있는 건가요?
[앵커]
착륙 허가 뒤 9분이 원인을 밝히는데 가장 중요한 시간일 것 같습니다.
어떤 증거들을 살펴야 할까요?
[앵커]
사고 조사가 본격적으로 이제 이뤄질 텐데, 통상적으로 이런 사고 조사, 어떤 절차로 진행이 되죠?
[앵커]
무안공항의 계기착륙장치, 그러니까 로컬라이저가 흙더미 위, 단단한 둔덕에 설치돼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꼬리 쪽에 있던 승무원 두 분이 기적적으로 생존을 했죠.
가장 안전한 곳이 후미 쪽이다 이게 맞습니까?
[앵커]
관제탑이나 접근관제소 등과의 교신 내용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밝혀진 내용이 있습니까?
[앵커]
앞으로 유사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선 무엇부터 점검해야 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항공 전문가로서 꼭 하시고 싶은 말씀도 있을 실것 같은데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문가 출연] 김규왕 한서대 항공운항학과 교수
-
- 입력 2024-12-30 19:38:54
- 수정2024-12-30 20:06:44
[앵커]
이번 참사의 원인에 대해 여러 해석이 분분합니다.
무엇도 단정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전문가 모시고 여러 가능성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한서대학교 항공운항관리학과 김규왕 교수님 모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먼저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랜딩기어 오작동 문제인 건 확실한 것 같습니다.
그럼 랜딩기어 오작동을 불러 올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텐데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앵커]
랜딩기어는 수동조작으로도 가능하다는데, 이게 상식적으로 비상상황에서 쓰이는 만큼 빠르게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을 것 같은데요.
어떤가요?
[앵커]
항공기가 원래 내리려던 방향으로 착륙하지 못하고, 반대 방향으로 내렸습니다.
한 바퀴 선회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착륙을 시도하지 못했는데요.
어떻게 봐야 할까요?
[앵커]
랜딩기어를 수동 작동할 수도 없을 만큼 급박한 상황.
빨리 착륙을 해야하는 상황이 기내에서 벌어졌을 것이다라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앵커]
사고 항공기가 활주로에 진입하는 속도가 빨랐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항공기 구동 시간 문제도 새로 제기되는데요.
제주항공이 대당 월 평균 418간을 운영한다, 다른 항공사에 비해 많은 시간이라는 겁니다.
항공기에 스트레스를 준 것 아니냐는 건데 조종사 피로도와도 관련있을 듯 합니다.
어떻습니까?
개연성이 있는 건가요?
[앵커]
착륙 허가 뒤 9분이 원인을 밝히는데 가장 중요한 시간일 것 같습니다.
어떤 증거들을 살펴야 할까요?
[앵커]
사고 조사가 본격적으로 이제 이뤄질 텐데, 통상적으로 이런 사고 조사, 어떤 절차로 진행이 되죠?
[앵커]
무안공항의 계기착륙장치, 그러니까 로컬라이저가 흙더미 위, 단단한 둔덕에 설치돼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꼬리 쪽에 있던 승무원 두 분이 기적적으로 생존을 했죠.
가장 안전한 곳이 후미 쪽이다 이게 맞습니까?
[앵커]
관제탑이나 접근관제소 등과의 교신 내용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밝혀진 내용이 있습니까?
[앵커]
앞으로 유사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선 무엇부터 점검해야 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항공 전문가로서 꼭 하시고 싶은 말씀도 있을 실것 같은데요.
이번 참사의 원인에 대해 여러 해석이 분분합니다.
무엇도 단정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전문가 모시고 여러 가능성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한서대학교 항공운항관리학과 김규왕 교수님 모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먼저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랜딩기어 오작동 문제인 건 확실한 것 같습니다.
그럼 랜딩기어 오작동을 불러 올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텐데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앵커]
랜딩기어는 수동조작으로도 가능하다는데, 이게 상식적으로 비상상황에서 쓰이는 만큼 빠르게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을 것 같은데요.
어떤가요?
[앵커]
항공기가 원래 내리려던 방향으로 착륙하지 못하고, 반대 방향으로 내렸습니다.
한 바퀴 선회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착륙을 시도하지 못했는데요.
어떻게 봐야 할까요?
[앵커]
랜딩기어를 수동 작동할 수도 없을 만큼 급박한 상황.
빨리 착륙을 해야하는 상황이 기내에서 벌어졌을 것이다라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앵커]
사고 항공기가 활주로에 진입하는 속도가 빨랐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항공기 구동 시간 문제도 새로 제기되는데요.
제주항공이 대당 월 평균 418간을 운영한다, 다른 항공사에 비해 많은 시간이라는 겁니다.
항공기에 스트레스를 준 것 아니냐는 건데 조종사 피로도와도 관련있을 듯 합니다.
어떻습니까?
개연성이 있는 건가요?
[앵커]
착륙 허가 뒤 9분이 원인을 밝히는데 가장 중요한 시간일 것 같습니다.
어떤 증거들을 살펴야 할까요?
[앵커]
사고 조사가 본격적으로 이제 이뤄질 텐데, 통상적으로 이런 사고 조사, 어떤 절차로 진행이 되죠?
[앵커]
무안공항의 계기착륙장치, 그러니까 로컬라이저가 흙더미 위, 단단한 둔덕에 설치돼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꼬리 쪽에 있던 승무원 두 분이 기적적으로 생존을 했죠.
가장 안전한 곳이 후미 쪽이다 이게 맞습니까?
[앵커]
관제탑이나 접근관제소 등과의 교신 내용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밝혀진 내용이 있습니까?
[앵커]
앞으로 유사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선 무엇부터 점검해야 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항공 전문가로서 꼭 하시고 싶은 말씀도 있을 실것 같은데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