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슈 SNS] 갈래머리 한 대통령?…마크롱의 셀프 딥페이크 영상
입력 2025.02.12 (06:49)
수정 2025.02.12 (07: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소셜미디어와 인터넷 세상에서 어떤 이슈와 영상들이 주목을 받았을까요?
첫 번째는 대통령 공식 소셜미디어에 게시되어 프랑스 현지인들을 놀라게 한 딥페이크 영상입니다.
도도한 표정으로 양갈래 머리 스타일 뽐내는 인플루언서가 됐다가, 80년대 디스코 뮤직비디오와 스파이 영화의 주인공이 되기도 하는 이 남자!
프랑스 현직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입니다.
최근 그는 10일부터 파리에서 개최하는 'AI 행동 정상회의'를 홍보하고자 자신의 얼굴로 만들어진 AI 딥페이크 영상을 공식 소셜미디어 채널에 게시했는데요.
해당 영상은 금세 천만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했고 현지 누리꾼들은 대통령 공식 계정이 맞는지 몇 번이나 확인했다며 뜨거운 반응을 쏟아냈습니다.
하지만 비판도 적지 않았는데요.
여러 차례 논란이 된 딥페이크 기술을 너무 가볍게 여기는 것이 아니냐 , 대통령이 직접 딥페이크를 장려하는 듯한 모습이 부적절하다는 등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첫 번째는 대통령 공식 소셜미디어에 게시되어 프랑스 현지인들을 놀라게 한 딥페이크 영상입니다.
도도한 표정으로 양갈래 머리 스타일 뽐내는 인플루언서가 됐다가, 80년대 디스코 뮤직비디오와 스파이 영화의 주인공이 되기도 하는 이 남자!
프랑스 현직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입니다.
최근 그는 10일부터 파리에서 개최하는 'AI 행동 정상회의'를 홍보하고자 자신의 얼굴로 만들어진 AI 딥페이크 영상을 공식 소셜미디어 채널에 게시했는데요.
해당 영상은 금세 천만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했고 현지 누리꾼들은 대통령 공식 계정이 맞는지 몇 번이나 확인했다며 뜨거운 반응을 쏟아냈습니다.
하지만 비판도 적지 않았는데요.
여러 차례 논란이 된 딥페이크 기술을 너무 가볍게 여기는 것이 아니냐 , 대통령이 직접 딥페이크를 장려하는 듯한 모습이 부적절하다는 등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잇슈 SNS] 갈래머리 한 대통령?…마크롱의 셀프 딥페이크 영상
-
- 입력 2025-02-12 06:49:48
- 수정2025-02-12 07:00:48
![](/data/news/title_image/newsmp4/newsplaza_p1/2025/02/12/260_8173557.jpg)
전 세계 소셜미디어와 인터넷 세상에서 어떤 이슈와 영상들이 주목을 받았을까요?
첫 번째는 대통령 공식 소셜미디어에 게시되어 프랑스 현지인들을 놀라게 한 딥페이크 영상입니다.
도도한 표정으로 양갈래 머리 스타일 뽐내는 인플루언서가 됐다가, 80년대 디스코 뮤직비디오와 스파이 영화의 주인공이 되기도 하는 이 남자!
프랑스 현직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입니다.
최근 그는 10일부터 파리에서 개최하는 'AI 행동 정상회의'를 홍보하고자 자신의 얼굴로 만들어진 AI 딥페이크 영상을 공식 소셜미디어 채널에 게시했는데요.
해당 영상은 금세 천만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했고 현지 누리꾼들은 대통령 공식 계정이 맞는지 몇 번이나 확인했다며 뜨거운 반응을 쏟아냈습니다.
하지만 비판도 적지 않았는데요.
여러 차례 논란이 된 딥페이크 기술을 너무 가볍게 여기는 것이 아니냐 , 대통령이 직접 딥페이크를 장려하는 듯한 모습이 부적절하다는 등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첫 번째는 대통령 공식 소셜미디어에 게시되어 프랑스 현지인들을 놀라게 한 딥페이크 영상입니다.
도도한 표정으로 양갈래 머리 스타일 뽐내는 인플루언서가 됐다가, 80년대 디스코 뮤직비디오와 스파이 영화의 주인공이 되기도 하는 이 남자!
프랑스 현직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입니다.
최근 그는 10일부터 파리에서 개최하는 'AI 행동 정상회의'를 홍보하고자 자신의 얼굴로 만들어진 AI 딥페이크 영상을 공식 소셜미디어 채널에 게시했는데요.
해당 영상은 금세 천만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했고 현지 누리꾼들은 대통령 공식 계정이 맞는지 몇 번이나 확인했다며 뜨거운 반응을 쏟아냈습니다.
하지만 비판도 적지 않았는데요.
여러 차례 논란이 된 딥페이크 기술을 너무 가볍게 여기는 것이 아니냐 , 대통령이 직접 딥페이크를 장려하는 듯한 모습이 부적절하다는 등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