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랑상품권, 농협에서 무용지물
입력 2025.07.04 (21:47)
수정 2025.07.04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농민들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통폐합으로 지역 농협의 덩치가 커지면서, 사용 제한 매장으로 분류되기 때문인데요,
농촌 현실을 외면한 규제라는 지적입니다.
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온천 관광지로 유명한 인구 3,300여 명의 농촌 지역.
재래시장도 없어 주민들은 농협이 운영하는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삽니다.
그런데, 정작 농민들은 농협 마트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이선심/농민 : "주유소 또 식당, 이쪽에는 사용 가능하지만, 연세 드신 분들이 그렇다고 해서 주유를 많이 하시는 것도 아니고 식당을 많이 이용하시는 것도 아니거든요. 제일 많이 이용하는 데가 (농협) 하나로 마트입니다."]
지역 농협이 통합되면서 매출 30억 원을 초과하는 '지역사랑상품권' 사용 제한 대상으로 포함됐기 때문.
[신원기/창녕 부곡농협 조합장 : "통폐합이 돼 가지고 30억 원 이상 매출을 올리고 있는 입장에서, 지역상품권을 쓸 수 없는 부분에서 상당히 애로사항을 많이 겪고 있습니다."]
또, 농협 농자재 판매센터에서도 상품권을 사용할 수 없어, 농사에 필요한 농자재 구매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박용준/농민 : "농자재를 구매하려면 창녕사랑 상품권이나 이런 걸 가지고 (해야 하는데) 사용을 못 하게 하니까, 실제로는 저희는 현금이나 카드로 (대체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경남의 대부분 지역농협이 경쟁력 강화를 이유로 통폐합하면서, 상품권 사용 제한 대상인 실정.
농협을 중심으로 농민들의 소비가 이뤄지는 게 농촌의 현실입니다.
농민들의 불만이 3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정부는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농민들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통폐합으로 지역 농협의 덩치가 커지면서, 사용 제한 매장으로 분류되기 때문인데요,
농촌 현실을 외면한 규제라는 지적입니다.
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온천 관광지로 유명한 인구 3,300여 명의 농촌 지역.
재래시장도 없어 주민들은 농협이 운영하는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삽니다.
그런데, 정작 농민들은 농협 마트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이선심/농민 : "주유소 또 식당, 이쪽에는 사용 가능하지만, 연세 드신 분들이 그렇다고 해서 주유를 많이 하시는 것도 아니고 식당을 많이 이용하시는 것도 아니거든요. 제일 많이 이용하는 데가 (농협) 하나로 마트입니다."]
지역 농협이 통합되면서 매출 30억 원을 초과하는 '지역사랑상품권' 사용 제한 대상으로 포함됐기 때문.
[신원기/창녕 부곡농협 조합장 : "통폐합이 돼 가지고 30억 원 이상 매출을 올리고 있는 입장에서, 지역상품권을 쓸 수 없는 부분에서 상당히 애로사항을 많이 겪고 있습니다."]
또, 농협 농자재 판매센터에서도 상품권을 사용할 수 없어, 농사에 필요한 농자재 구매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박용준/농민 : "농자재를 구매하려면 창녕사랑 상품권이나 이런 걸 가지고 (해야 하는데) 사용을 못 하게 하니까, 실제로는 저희는 현금이나 카드로 (대체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경남의 대부분 지역농협이 경쟁력 강화를 이유로 통폐합하면서, 상품권 사용 제한 대상인 실정.
농협을 중심으로 농민들의 소비가 이뤄지는 게 농촌의 현실입니다.
농민들의 불만이 3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정부는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역사랑상품권, 농협에서 무용지물
-
- 입력 2025-07-04 21:47:11
- 수정2025-07-04 21:56:53

[앵커]
농민들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통폐합으로 지역 농협의 덩치가 커지면서, 사용 제한 매장으로 분류되기 때문인데요,
농촌 현실을 외면한 규제라는 지적입니다.
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온천 관광지로 유명한 인구 3,300여 명의 농촌 지역.
재래시장도 없어 주민들은 농협이 운영하는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삽니다.
그런데, 정작 농민들은 농협 마트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이선심/농민 : "주유소 또 식당, 이쪽에는 사용 가능하지만, 연세 드신 분들이 그렇다고 해서 주유를 많이 하시는 것도 아니고 식당을 많이 이용하시는 것도 아니거든요. 제일 많이 이용하는 데가 (농협) 하나로 마트입니다."]
지역 농협이 통합되면서 매출 30억 원을 초과하는 '지역사랑상품권' 사용 제한 대상으로 포함됐기 때문.
[신원기/창녕 부곡농협 조합장 : "통폐합이 돼 가지고 30억 원 이상 매출을 올리고 있는 입장에서, 지역상품권을 쓸 수 없는 부분에서 상당히 애로사항을 많이 겪고 있습니다."]
또, 농협 농자재 판매센터에서도 상품권을 사용할 수 없어, 농사에 필요한 농자재 구매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박용준/농민 : "농자재를 구매하려면 창녕사랑 상품권이나 이런 걸 가지고 (해야 하는데) 사용을 못 하게 하니까, 실제로는 저희는 현금이나 카드로 (대체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경남의 대부분 지역농협이 경쟁력 강화를 이유로 통폐합하면서, 상품권 사용 제한 대상인 실정.
농협을 중심으로 농민들의 소비가 이뤄지는 게 농촌의 현실입니다.
농민들의 불만이 3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정부는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농민들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통폐합으로 지역 농협의 덩치가 커지면서, 사용 제한 매장으로 분류되기 때문인데요,
농촌 현실을 외면한 규제라는 지적입니다.
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온천 관광지로 유명한 인구 3,300여 명의 농촌 지역.
재래시장도 없어 주민들은 농협이 운영하는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삽니다.
그런데, 정작 농민들은 농협 마트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이선심/농민 : "주유소 또 식당, 이쪽에는 사용 가능하지만, 연세 드신 분들이 그렇다고 해서 주유를 많이 하시는 것도 아니고 식당을 많이 이용하시는 것도 아니거든요. 제일 많이 이용하는 데가 (농협) 하나로 마트입니다."]
지역 농협이 통합되면서 매출 30억 원을 초과하는 '지역사랑상품권' 사용 제한 대상으로 포함됐기 때문.
[신원기/창녕 부곡농협 조합장 : "통폐합이 돼 가지고 30억 원 이상 매출을 올리고 있는 입장에서, 지역상품권을 쓸 수 없는 부분에서 상당히 애로사항을 많이 겪고 있습니다."]
또, 농협 농자재 판매센터에서도 상품권을 사용할 수 없어, 농사에 필요한 농자재 구매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박용준/농민 : "농자재를 구매하려면 창녕사랑 상품권이나 이런 걸 가지고 (해야 하는데) 사용을 못 하게 하니까, 실제로는 저희는 현금이나 카드로 (대체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경남의 대부분 지역농협이 경쟁력 강화를 이유로 통폐합하면서, 상품권 사용 제한 대상인 실정.
농협을 중심으로 농민들의 소비가 이뤄지는 게 농촌의 현실입니다.
농민들의 불만이 3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정부는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
-
배수영 기자 sooyoung@kbs.co.kr
배수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