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기록관 무엇을 담을까부터”

입력 2025.07.24 (19:03) 수정 2025.07.24 (19: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4·3 기록물을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 기록관 건립 논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중요한 건 어떻게 지을까가 아닌 무엇을 담을까 인데요,

국가기록원 제주분원 설립도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나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4·3평화공원 2단계 조성 당시인 2008년 480억 원을 들여 건립한 평화기념관.

4·3특별법 제24조에 명시된 사료관과 연구, 교육 등 기념 사업을 위한 장소입니다.

이에 따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만 4천여 건의 기록물 상당수는 평화기념관 수장고에 보관돼 있습니다.

앞으로 과제는 각지에 흩어져 있는 4·3 기록물을 한데 모아 관리하고 활용하는 것.

2030년 4·3기록관 건립이 추진되고 있지만 따져봐야 할 점이 있습니다.

국비 확보 여부에 따라 건립 계획 변동성이 큰 데다 평화기념관과 역할이 겹치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기록관을 짓는다 해도 수형인 명부 등 국가기록원 자료를 이관해 올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관련법상 국가 기록은 다른 기관으로 옮길 수 없기 때문입니다.

국가기록원 제주분원 유치가 대안 중 하나로 거론되는 이유입니다.

[김재순/전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장 : "제주도 권역은 제주도에서 보존하면서 학술 자료도 활용하고 또 서비스할 수 있도록 이렇게 되어야 국가적으로도 기록 문화가 발전하고."]

더욱이 제주 4·3을 홀로 존재하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국가 폭력의 비극이라는 한국 근현대사의 한 축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록 사이 통합 관리와 활용 필요성도 제기됩니다.

[박찬식/제주 민속자연사 박물관장 : "(제주 4·3)은 식민지 시대 이후에 현대사를 포괄하는, 그리고 한반도 전체의 역사로도 연결되고."]

무엇보다 기록관 논의를 예산이나 입지, 형태의 문제가 아닌 무엇을 담을까에 대한 고민부터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박경훈/전 제주민예총 이사장 : "어떤 전시를 할 것이냐 어떤 기록관이 어떤 기능을 할 것이냐, 이거에 따라서 세밀하게 공간이 연출되고 나서 그거에 따라서 건물의 기능과 용도 형태까지 나와줘야."]

세계인의 기록으로 인정받으며 가치를 높이게 된 제주 4·3.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제주 4·3에 있어 끝이 아닌 또 다른 시작입니다.

4·3 가치 전승과 세계화를 위한 여정에 기록관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철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3 기록관 무엇을 담을까부터”
    • 입력 2025-07-24 19:03:29
    • 수정2025-07-24 19:10:06
    뉴스7(제주)
[앵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4·3 기록물을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 기록관 건립 논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중요한 건 어떻게 지을까가 아닌 무엇을 담을까 인데요,

국가기록원 제주분원 설립도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나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4·3평화공원 2단계 조성 당시인 2008년 480억 원을 들여 건립한 평화기념관.

4·3특별법 제24조에 명시된 사료관과 연구, 교육 등 기념 사업을 위한 장소입니다.

이에 따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만 4천여 건의 기록물 상당수는 평화기념관 수장고에 보관돼 있습니다.

앞으로 과제는 각지에 흩어져 있는 4·3 기록물을 한데 모아 관리하고 활용하는 것.

2030년 4·3기록관 건립이 추진되고 있지만 따져봐야 할 점이 있습니다.

국비 확보 여부에 따라 건립 계획 변동성이 큰 데다 평화기념관과 역할이 겹치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기록관을 짓는다 해도 수형인 명부 등 국가기록원 자료를 이관해 올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관련법상 국가 기록은 다른 기관으로 옮길 수 없기 때문입니다.

국가기록원 제주분원 유치가 대안 중 하나로 거론되는 이유입니다.

[김재순/전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장 : "제주도 권역은 제주도에서 보존하면서 학술 자료도 활용하고 또 서비스할 수 있도록 이렇게 되어야 국가적으로도 기록 문화가 발전하고."]

더욱이 제주 4·3을 홀로 존재하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국가 폭력의 비극이라는 한국 근현대사의 한 축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록 사이 통합 관리와 활용 필요성도 제기됩니다.

[박찬식/제주 민속자연사 박물관장 : "(제주 4·3)은 식민지 시대 이후에 현대사를 포괄하는, 그리고 한반도 전체의 역사로도 연결되고."]

무엇보다 기록관 논의를 예산이나 입지, 형태의 문제가 아닌 무엇을 담을까에 대한 고민부터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박경훈/전 제주민예총 이사장 : "어떤 전시를 할 것이냐 어떤 기록관이 어떤 기능을 할 것이냐, 이거에 따라서 세밀하게 공간이 연출되고 나서 그거에 따라서 건물의 기능과 용도 형태까지 나와줘야."]

세계인의 기록으로 인정받으며 가치를 높이게 된 제주 4·3.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제주 4·3에 있어 끝이 아닌 또 다른 시작입니다.

4·3 가치 전승과 세계화를 위한 여정에 기록관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철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