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주도했는데 포상 제외?…“정부가 직접 나서야”
입력 2025.08.13 (21:42)
수정 2025.08.13 (21: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KBS 청주방송총국의 광복 80주년 기획 보도, 10번째 순서입니다.
독립운동 판결문은 국가유공자 포상의 근거가 되는 중요한 자료인데요.
독립운동을 주도하고도 제대로 예우 받지 못하는 애국지사가 적지 않습니다.
KBS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 관련 판결문을 전수 분석해 그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조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가기록원이 운영하는 누리집입니다.
독립유공자 포상의 근거가 되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판결문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독립운동을 주도한 중심 인물인데도 포상 예우를 받지 못한 경우가 있는지, KBS와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당시 판결문에 등장한 독립운동가 19,167명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재판을 함께 받은 인물끼리 선으로 연결했더니, 중심에 거대한 연결망이 그려집니다.
여기에 독립유공자 18,258명의 정보를 입력하고, 인물마다 연루된 사건 수와 연결된 인물 수를 계산해 점을 찍자 포상을 받은 수많은 붉은 점 가운데 파란색 점 몇 개가 나타납니다.
여러 사건에 관여해 구심점 역할을 했지만 여태껏 포상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들이 확인된 겁니다.
[권오규/국가수리과학연구소 공공기반연구부장 : "네트워크상의 정보 흐름이라든지 물자 흐름의 어떤 중요한 매개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확인된 미포상 독립운동가는 정후균, 최상호, 최규문, 황상남 선생 등입니다.
당시 광주·전남지역에서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을 함께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유족이 직접 나서야하는 포상 제도 탓에 후손들이 선조의 독립운동 사실을 적극 알리지 못했을 수 있단 지적이 나옵니다.
[이태룡/인천대학교 독립운동사연구소장 : "(호남에서는)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겪고 난 뒤다 보니까 '잘못하면 또 빨갱이로 몰릴 수 있다'고 그래서 후손들이 포상 신청을 아예 포기해버리는 경우가 많았지요."]
전문가들은 KBS의 분석대로 수십년 동안 정부와 학계가 쌓아온 각종 자료에서 이들의 활약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합니다.
개인이 자료를 모아 신청하는 현행 독립유공자 심사 제도를 정부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바꾸자는 겁니다.
[임경석/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 "문제는 그게(독립운동 자료들이) 독립운동 유공자 서훈(포상)과 직접 연결을 갖고 있지 않는다고 하는 점입니다. 독립운동사 연구의 성과가 그대로 독립유공자 심의 제도하고 연결될 필요가 있어요."]
이를 위해 독립기념관이나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이 보유한 자료를 전수조사 해 국가보훈부가 직접 독립유공자를 발굴하는데 더 힘을 쏟아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조진영입니다.
촬영기자:박준규/그래픽:최윤우·박소현
KBS 청주방송총국의 광복 80주년 기획 보도, 10번째 순서입니다.
독립운동 판결문은 국가유공자 포상의 근거가 되는 중요한 자료인데요.
독립운동을 주도하고도 제대로 예우 받지 못하는 애국지사가 적지 않습니다.
KBS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 관련 판결문을 전수 분석해 그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조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가기록원이 운영하는 누리집입니다.
독립유공자 포상의 근거가 되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판결문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독립운동을 주도한 중심 인물인데도 포상 예우를 받지 못한 경우가 있는지, KBS와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당시 판결문에 등장한 독립운동가 19,167명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재판을 함께 받은 인물끼리 선으로 연결했더니, 중심에 거대한 연결망이 그려집니다.
여기에 독립유공자 18,258명의 정보를 입력하고, 인물마다 연루된 사건 수와 연결된 인물 수를 계산해 점을 찍자 포상을 받은 수많은 붉은 점 가운데 파란색 점 몇 개가 나타납니다.
여러 사건에 관여해 구심점 역할을 했지만 여태껏 포상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들이 확인된 겁니다.
[권오규/국가수리과학연구소 공공기반연구부장 : "네트워크상의 정보 흐름이라든지 물자 흐름의 어떤 중요한 매개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확인된 미포상 독립운동가는 정후균, 최상호, 최규문, 황상남 선생 등입니다.
당시 광주·전남지역에서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을 함께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유족이 직접 나서야하는 포상 제도 탓에 후손들이 선조의 독립운동 사실을 적극 알리지 못했을 수 있단 지적이 나옵니다.
[이태룡/인천대학교 독립운동사연구소장 : "(호남에서는)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겪고 난 뒤다 보니까 '잘못하면 또 빨갱이로 몰릴 수 있다'고 그래서 후손들이 포상 신청을 아예 포기해버리는 경우가 많았지요."]
전문가들은 KBS의 분석대로 수십년 동안 정부와 학계가 쌓아온 각종 자료에서 이들의 활약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합니다.
개인이 자료를 모아 신청하는 현행 독립유공자 심사 제도를 정부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바꾸자는 겁니다.
[임경석/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 "문제는 그게(독립운동 자료들이) 독립운동 유공자 서훈(포상)과 직접 연결을 갖고 있지 않는다고 하는 점입니다. 독립운동사 연구의 성과가 그대로 독립유공자 심의 제도하고 연결될 필요가 있어요."]
이를 위해 독립기념관이나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이 보유한 자료를 전수조사 해 국가보훈부가 직접 독립유공자를 발굴하는데 더 힘을 쏟아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조진영입니다.
촬영기자:박준규/그래픽:최윤우·박소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독립운동 주도했는데 포상 제외?…“정부가 직접 나서야”
-
- 입력 2025-08-13 21:42:40
- 수정2025-08-13 21:46:40

[앵커]
KBS 청주방송총국의 광복 80주년 기획 보도, 10번째 순서입니다.
독립운동 판결문은 국가유공자 포상의 근거가 되는 중요한 자료인데요.
독립운동을 주도하고도 제대로 예우 받지 못하는 애국지사가 적지 않습니다.
KBS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 관련 판결문을 전수 분석해 그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조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가기록원이 운영하는 누리집입니다.
독립유공자 포상의 근거가 되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판결문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독립운동을 주도한 중심 인물인데도 포상 예우를 받지 못한 경우가 있는지, KBS와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당시 판결문에 등장한 독립운동가 19,167명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재판을 함께 받은 인물끼리 선으로 연결했더니, 중심에 거대한 연결망이 그려집니다.
여기에 독립유공자 18,258명의 정보를 입력하고, 인물마다 연루된 사건 수와 연결된 인물 수를 계산해 점을 찍자 포상을 받은 수많은 붉은 점 가운데 파란색 점 몇 개가 나타납니다.
여러 사건에 관여해 구심점 역할을 했지만 여태껏 포상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들이 확인된 겁니다.
[권오규/국가수리과학연구소 공공기반연구부장 : "네트워크상의 정보 흐름이라든지 물자 흐름의 어떤 중요한 매개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확인된 미포상 독립운동가는 정후균, 최상호, 최규문, 황상남 선생 등입니다.
당시 광주·전남지역에서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을 함께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유족이 직접 나서야하는 포상 제도 탓에 후손들이 선조의 독립운동 사실을 적극 알리지 못했을 수 있단 지적이 나옵니다.
[이태룡/인천대학교 독립운동사연구소장 : "(호남에서는)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겪고 난 뒤다 보니까 '잘못하면 또 빨갱이로 몰릴 수 있다'고 그래서 후손들이 포상 신청을 아예 포기해버리는 경우가 많았지요."]
전문가들은 KBS의 분석대로 수십년 동안 정부와 학계가 쌓아온 각종 자료에서 이들의 활약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합니다.
개인이 자료를 모아 신청하는 현행 독립유공자 심사 제도를 정부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바꾸자는 겁니다.
[임경석/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 "문제는 그게(독립운동 자료들이) 독립운동 유공자 서훈(포상)과 직접 연결을 갖고 있지 않는다고 하는 점입니다. 독립운동사 연구의 성과가 그대로 독립유공자 심의 제도하고 연결될 필요가 있어요."]
이를 위해 독립기념관이나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이 보유한 자료를 전수조사 해 국가보훈부가 직접 독립유공자를 발굴하는데 더 힘을 쏟아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조진영입니다.
촬영기자:박준규/그래픽:최윤우·박소현
KBS 청주방송총국의 광복 80주년 기획 보도, 10번째 순서입니다.
독립운동 판결문은 국가유공자 포상의 근거가 되는 중요한 자료인데요.
독립운동을 주도하고도 제대로 예우 받지 못하는 애국지사가 적지 않습니다.
KBS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 관련 판결문을 전수 분석해 그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조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가기록원이 운영하는 누리집입니다.
독립유공자 포상의 근거가 되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판결문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독립운동을 주도한 중심 인물인데도 포상 예우를 받지 못한 경우가 있는지, KBS와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당시 판결문에 등장한 독립운동가 19,167명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재판을 함께 받은 인물끼리 선으로 연결했더니, 중심에 거대한 연결망이 그려집니다.
여기에 독립유공자 18,258명의 정보를 입력하고, 인물마다 연루된 사건 수와 연결된 인물 수를 계산해 점을 찍자 포상을 받은 수많은 붉은 점 가운데 파란색 점 몇 개가 나타납니다.
여러 사건에 관여해 구심점 역할을 했지만 여태껏 포상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들이 확인된 겁니다.
[권오규/국가수리과학연구소 공공기반연구부장 : "네트워크상의 정보 흐름이라든지 물자 흐름의 어떤 중요한 매개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확인된 미포상 독립운동가는 정후균, 최상호, 최규문, 황상남 선생 등입니다.
당시 광주·전남지역에서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을 함께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유족이 직접 나서야하는 포상 제도 탓에 후손들이 선조의 독립운동 사실을 적극 알리지 못했을 수 있단 지적이 나옵니다.
[이태룡/인천대학교 독립운동사연구소장 : "(호남에서는)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겪고 난 뒤다 보니까 '잘못하면 또 빨갱이로 몰릴 수 있다'고 그래서 후손들이 포상 신청을 아예 포기해버리는 경우가 많았지요."]
전문가들은 KBS의 분석대로 수십년 동안 정부와 학계가 쌓아온 각종 자료에서 이들의 활약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합니다.
개인이 자료를 모아 신청하는 현행 독립유공자 심사 제도를 정부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바꾸자는 겁니다.
[임경석/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 "문제는 그게(독립운동 자료들이) 독립운동 유공자 서훈(포상)과 직접 연결을 갖고 있지 않는다고 하는 점입니다. 독립운동사 연구의 성과가 그대로 독립유공자 심의 제도하고 연결될 필요가 있어요."]
이를 위해 독립기념관이나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이 보유한 자료를 전수조사 해 국가보훈부가 직접 독립유공자를 발굴하는데 더 힘을 쏟아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조진영입니다.
촬영기자:박준규/그래픽:최윤우·박소현
-
-
조진영 기자 1234@kbs.co.kr
조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