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측에 신청한 이산가족의 설레임

입력 2000.07.1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혈육상봉에 대한 기대가 무르익으면서 특히 북한의 명단이 통보된 남쪽 실향민 200여 명도 설레임과 기대로 한껏 부풀어 있습니다.
취재에 박순서 기자입니다.
⊙기자: 북쪽에 있는 둘째 아들을 만나기 위해 방북신청을 한 올해 91살의 강기주 할아버지는 요즘 밤잠을 제대로 못 잡니다.
지금은 61살이 됐을 아들을 만날 기대에 부풀어 있기 때문입니다.
강 할아버지가 아들과 헤어지게 된 것은 1.4후퇴때인 지난 51년, 모두가 피란길에 나섰지만 둘째아들은 부인과 함께 고향인 평안북도 영변에 남겨두었습니다.
전쟁이 잠깐이면 끝날 줄 알았기 때문입니다.
⊙강기주(방북신청자): 배가 고플 거 아니에요.
그래서 애들은 우리 처가 하나 데리고 들어가고...
⊙기자: 훌쩍 지난 50년.
90을 넘긴 나이에 이번이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라는 생각에 최종방북 상봉자 100명에 꼭 포함됐으면 하고 할아버지는 기대합니다.
인민군으로 징집당해 국군포로가 돼 가족과 생이별 했던 73살의 김사용 씨.
부모님과 자신을 제외한 9남매 형제들을 찾기 위해 방북신청을 했습니다.
이산가족 관련 뉴스를 볼 때마다 헤어진 가족들을 만날 기대가 더욱 부풀어 오릅니다.
⊙김사용(방북신청자): TV에 자꾸 나오니까 자꾸 가고 싶어요.
가서 형님이랑 누님 다 뵙고 싶고 동료들 다 뵙고 싶어요.
⊙기자: 북한 방문길에 한걸음 더 가까워진 남쪽의 이산가족들.
최종명단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하루하루 가족상봉의 설레임에 가득차 있습니다.
KBS뉴스 박순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측에 신청한 이산가족의 설레임
    • 입력 2000-07-1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이렇게 혈육상봉에 대한 기대가 무르익으면서 특히 북한의 명단이 통보된 남쪽 실향민 200여 명도 설레임과 기대로 한껏 부풀어 있습니다. 취재에 박순서 기자입니다. ⊙기자: 북쪽에 있는 둘째 아들을 만나기 위해 방북신청을 한 올해 91살의 강기주 할아버지는 요즘 밤잠을 제대로 못 잡니다. 지금은 61살이 됐을 아들을 만날 기대에 부풀어 있기 때문입니다. 강 할아버지가 아들과 헤어지게 된 것은 1.4후퇴때인 지난 51년, 모두가 피란길에 나섰지만 둘째아들은 부인과 함께 고향인 평안북도 영변에 남겨두었습니다. 전쟁이 잠깐이면 끝날 줄 알았기 때문입니다. ⊙강기주(방북신청자): 배가 고플 거 아니에요. 그래서 애들은 우리 처가 하나 데리고 들어가고... ⊙기자: 훌쩍 지난 50년. 90을 넘긴 나이에 이번이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라는 생각에 최종방북 상봉자 100명에 꼭 포함됐으면 하고 할아버지는 기대합니다. 인민군으로 징집당해 국군포로가 돼 가족과 생이별 했던 73살의 김사용 씨. 부모님과 자신을 제외한 9남매 형제들을 찾기 위해 방북신청을 했습니다. 이산가족 관련 뉴스를 볼 때마다 헤어진 가족들을 만날 기대가 더욱 부풀어 오릅니다. ⊙김사용(방북신청자): TV에 자꾸 나오니까 자꾸 가고 싶어요. 가서 형님이랑 누님 다 뵙고 싶고 동료들 다 뵙고 싶어요. ⊙기자: 북한 방문길에 한걸음 더 가까워진 남쪽의 이산가족들. 최종명단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하루하루 가족상봉의 설레임에 가득차 있습니다. KBS뉴스 박순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