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지역 곳곳이 쓰레기 산더미
입력 2006.07.31 (22:14)
수정 2006.07.31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집중호우 피해가 컸던 충북지역 역시 강원도 수해지역처럼 쓰레기 대란을 겪고 있습니다.
상류에서 떠내려온 쓰레기가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습니다.
보도에 임재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마을 입구의 다리가 쓰레기로 사흘째 막혀버렸습니다.
농약 병과 스티로폼 가제 도구들까지, 지난 폭우 때 하천 상류에서 떠내려온 쓰레기가 산더미처럼 쌓여있습니다.
이틀째 작업을 했지만 동원된 장비가 굴착기 한대에 불과하다보니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습니다.
<인터뷰> 굴착기 기사: "쓰레기가 많아서 치우는데 어려워요, 장비도 없고.."
침수 피해가 난 주택과 상가지역도 흙탕물로 범벅이 된 가재도구와 생활 쓰레기가 도로마다 쌓여 전쟁터를 방불케 합니다.
<인터뷰> 엄상우 (주민): "남은 것보다 쓰레기가 더 많다. 처리가 어렵다."
폭우로 발생한 쓰레기는 평소의 오십 배가 넘지만 진천지역 쓰레기 처리에 투입된 장비는 고작 50여 대에 불과합니다.
매립을 위해 쓰레기를 분리하는 작업장이 임시로 설치됐지만 벌써 포화상태를 맞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성희 (쓰레기 업체): "치우는데 만 일년이 넘을 것이다. 끝이 안보인다."
이번 수해로 충북 진천과 단양 지역에 쌓여 있는 쓰레기만 수천 톤, 장비와 시설 부족으로 쓰레기가 제 때 처리되지 못하면서 악취와 부패 등 2차 오염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재성입니다.
집중호우 피해가 컸던 충북지역 역시 강원도 수해지역처럼 쓰레기 대란을 겪고 있습니다.
상류에서 떠내려온 쓰레기가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습니다.
보도에 임재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마을 입구의 다리가 쓰레기로 사흘째 막혀버렸습니다.
농약 병과 스티로폼 가제 도구들까지, 지난 폭우 때 하천 상류에서 떠내려온 쓰레기가 산더미처럼 쌓여있습니다.
이틀째 작업을 했지만 동원된 장비가 굴착기 한대에 불과하다보니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습니다.
<인터뷰> 굴착기 기사: "쓰레기가 많아서 치우는데 어려워요, 장비도 없고.."
침수 피해가 난 주택과 상가지역도 흙탕물로 범벅이 된 가재도구와 생활 쓰레기가 도로마다 쌓여 전쟁터를 방불케 합니다.
<인터뷰> 엄상우 (주민): "남은 것보다 쓰레기가 더 많다. 처리가 어렵다."
폭우로 발생한 쓰레기는 평소의 오십 배가 넘지만 진천지역 쓰레기 처리에 투입된 장비는 고작 50여 대에 불과합니다.
매립을 위해 쓰레기를 분리하는 작업장이 임시로 설치됐지만 벌써 포화상태를 맞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성희 (쓰레기 업체): "치우는데 만 일년이 넘을 것이다. 끝이 안보인다."
이번 수해로 충북 진천과 단양 지역에 쌓여 있는 쓰레기만 수천 톤, 장비와 시설 부족으로 쓰레기가 제 때 처리되지 못하면서 악취와 부패 등 2차 오염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재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해지역 곳곳이 쓰레기 산더미
-
- 입력 2006-07-31 21:14:00
- 수정2006-07-31 22:17:58

<앵커 멘트>
집중호우 피해가 컸던 충북지역 역시 강원도 수해지역처럼 쓰레기 대란을 겪고 있습니다.
상류에서 떠내려온 쓰레기가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습니다.
보도에 임재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마을 입구의 다리가 쓰레기로 사흘째 막혀버렸습니다.
농약 병과 스티로폼 가제 도구들까지, 지난 폭우 때 하천 상류에서 떠내려온 쓰레기가 산더미처럼 쌓여있습니다.
이틀째 작업을 했지만 동원된 장비가 굴착기 한대에 불과하다보니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습니다.
<인터뷰> 굴착기 기사: "쓰레기가 많아서 치우는데 어려워요, 장비도 없고.."
침수 피해가 난 주택과 상가지역도 흙탕물로 범벅이 된 가재도구와 생활 쓰레기가 도로마다 쌓여 전쟁터를 방불케 합니다.
<인터뷰> 엄상우 (주민): "남은 것보다 쓰레기가 더 많다. 처리가 어렵다."
폭우로 발생한 쓰레기는 평소의 오십 배가 넘지만 진천지역 쓰레기 처리에 투입된 장비는 고작 50여 대에 불과합니다.
매립을 위해 쓰레기를 분리하는 작업장이 임시로 설치됐지만 벌써 포화상태를 맞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성희 (쓰레기 업체): "치우는데 만 일년이 넘을 것이다. 끝이 안보인다."
이번 수해로 충북 진천과 단양 지역에 쌓여 있는 쓰레기만 수천 톤, 장비와 시설 부족으로 쓰레기가 제 때 처리되지 못하면서 악취와 부패 등 2차 오염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재성입니다.
-
-
임재성 기자 newsism@kbs.co.kr
임재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장마 · 호우_2006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