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국정교과서를 둘러싼 논란은 여전하지만 일단 정부의 확정 고시로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 발행안이 3일 오전 관보에 게재됐습니다.
입법 사항이 아닌 만큼 이로써 국정화를 위한 모든 행정 절차는 마무리됐고, 이제 본격적인 '교과서 만들기'가 시작되는 겁니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이달 중순까지 집필진 구성을 마치고 이달 말부터는 본격적인 집필에 들어갑니다.
새 국정교과서는 내후년 봄 학기부터 우리 중,고등학생들 책상에 오르게 됩니다.
다만 이같은 일정은 어디까지나 정부의 '계획'일 뿐, 당장 집필진 구성부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국사편찬위원회가 역사학자들을 상대로 집필에 참여할 지 여부를 타진하고 있습니다만, 상당수 학자들이 집필 거부 입장을 밝힌 상황이라 과연 열흘 남짓한 기간 동안 진보와 보수 중도를 아우르는 균형잡힌 집필진을 구성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특히 집필진 제의를 받은 인사들 일부가 신상 비공개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집필진 명단을 공개할지 말지도 정부로서는 고민거리입니다.
또다른 문제는 집필 '기준'입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9월 공청회에서 한국사 교과서 집필 기준 시안을 공개했는데요.
구체적인 내용과 편찬 기준은 내일 발표됩니다.
논란의 핵심은 지난 100여 년의 근현대사를 어떤 각도에서 바라볼 것인가 하는 데 있습니다.
대한민국 건국 시기부터 북한 문제,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의 공과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 등 근현대사의 주요 변곡점을 놓고 시각차가 크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이런 논란을 감안해 일제의 수탈과 독립운동사를 충실히 기술하고 민주화와 산업화 과정에서 성과와 한계를 외곡없이 기술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3일 확정 고시 이후에도 새 국정 교과서가 나오기까지 우리 사회는 여러 차례 논란을 거듭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