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기업 대외비 정보 탈탈…“대기업 해킹 통로 될 수 있어” [사이버위협]

입력 2024.06.03 (21:48)

수정 2024.06.04 (07:57)

[앵커]

한국과 일본의 외교 문제로까지 번진 '라인야후' 사태, 그 발단은 수십만 건의 회원 정보 유출이었습니다.

당시 협력 업체의 직원 PC가 정보 유출의 통로가 됐는데요.

이처럼 보안에 더 취약한 대기업 협력업체들이 해커들의 표적이 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지수 기자의 단독 보돕니다.

[리포트]

반도체 부품을 만드는 업체입니다.

지난해 10월, 해커의 공격을 받았습니다.

400기가 바이트에 육박하는 내부 정보가 털렸는데, 3분 분량의 음악 파일 13만여 개와 맞먹는 분량입니다.

KBS가 입수한 정보의 일부를 살펴봤습니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가 빽빽하게 적혀있습니다.

주주 명붑니다.

유출된 주주 정보는 확인된 것만 3만 건이 넘습니다.

이 정보들은 해커들이 불법으로 정보를 사고 파는 다크웹에 5개월 넘게 노출돼 있었던 걸로 추정됩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대기업 업무망에 접근할 수 있는 로그인 정보도 털린 것으로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해커가 마음만 먹으면 대기업 업무 내용 등에 접근할 수 있었던 겁니다.

[반도체 제조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일부 자료가 유출된 흔적을 확인했습니다. 서버 관리 강화를 위해서 솔루션을 지금 도입을 하였고요."]

협력업체를 통해 대기업의 대외비 문서가 유출되기도 했습니다.

지난 3월 다크웹에 게시된 한 대기업의 문서입니다.

'신차종 프로젝트 현황'이란 제목으로, 일부 차종의 점검 일정부터 양산일까지 나와 있습니다.

[자동차 부품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보안상의 문제가 있는지 확인 중에 있거든요."]

해당 대기업은 협력업체 보안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상명/보안업체 이사 : "(해커가 탈취한) 아이디, 패스워드를 통해서 (대기업 업무망 등에) 접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잠재적인 위험에 더욱더 노출됩니다."]

사이버 침해사고 신고 건수는 지난 4년 동안 2배가량 증가했는데, 침해 사고의 81%가 중소기업이었습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 방세준 류재현/영상편집:서정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