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원사업, 대선 공약 넣자’…사법 정쟁에 안갯속

입력 2025.05.02 (21:45)

수정 2025.05.02 (22:09)

[앵커]

조기 대선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지역 현안을 대선 공약에 넣기 위한 자치단체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재명 후보에 대한 선거법 재판 파기 환송과 한덕수 전 총리의 대선 출마 등으로 정쟁이 격화되면서 숙원 사업이 관심을 끌 수 있을 지조차 불투명합니다.

이 소식은 박병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내포신도시 내 공공기관 용지.

2020년 혁신도시 지정 이후 용도 변경까지 마쳤지만 잡풀만 무성합니다.

윤석열 정부의 핵심 공약이기도 했는데, 5년째 이전 기관조차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윤석열/대통령 당선인 신분/2022년 4월 : "내포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과 교통망 확충을 비롯해 균형발전을 위한 인프라 강화를 집중적으로 약속드렸습니다."]

충남도는 조기 대선 정국을 기회로 삼겠다는 전략입니다.

갑작스런 대선으로 인해 공약개발이 쉽지 않은 점을 활용해 조속한 기관 이전뿐 아니라 이전 기관 선택권까지 요구하고, 충남 북부와 경기 남부에 반도체 집적단지 조성 사업 등을 각 정당과 후보 측에 전달해 공약화를 요청했습니다.

같은 내용을 정부에도 요구하기로 했습니다.

[박정주/충남도 행정부지사 : "중앙부처도 굉장히 혼란스러울 때잖아요. 그럴 때 저희가 열심히 중앙 정부도 설득하고 이런 준비들 지금 하고 있거든요."]

대전시는 호남고속도로 지하화, 반도체 종합연구원 설립 등을 국정 과제로 제안했고, 세종시는 시장이 직접 각 정당 지도부를 만나 행정수도 완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발언권이 약한 기초단체들은 공동 대응에 나섰습니다.

서산과 당진을 비롯한 충남북과 경북의 13개 시장군수들은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를 촉구하는 릴레이 홍보전을 시작했습니다.

[이완섭/서산시장 : "이번 챌린지를 통해서 13개 시 군의 지역 연대를 강화하고 또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할 것으로 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재명 후보의 사법 리스크에다 한덕수 전 총리의 출마로 정쟁이 격화되면서 숙원사업이 공약에 담길 수나 있을 지 불확실합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 - 주요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