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제1차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정책금융 4조 2천억 원을 추가 공급하기로 했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이 중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어려움과 내수 부진 등을 겪는 중소기업 정책자금은 1조 7천억 원을 배정했습니다.
특히 미국 관세로 직·간접 피해를 입은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통상환경변화 위기 극복 특례보증을 신설하고, 1조 2천억 원을 투입합니다.
특례보증 지원 대상은 미국 관세 영향에 따른 위기 산업 업종(자동차·반도체·이차전지 등)에 해당하는 직·간접 피해 중소기업입니다. 기회 산업(조선·방산·AI 등)에 해당하는 우수기술 기업도 대상입니다.
보증 비율과 보증료율은 지원 대상별로 차등적으로 우대 지원합니다. 직접 피해 중소기업은 최대 95%, 간접 피해 중소기업은 최대 90%까지 보증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나머지는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1천억 원 ▲긴급 경영 안정 자금 3천억 원, ▲신시장 진출 지원 자금 1천억 원으로 각각 배정됐습니다.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은 미국 품목 관세 관련 업종이나,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 중 경영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신설했습니다.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금융으로도 2조 5천억 원을 투입합니다. 시중 민간은행을 통한 대리대출 방식인 일반경영안정자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직접대출 방식인 신용취약자금과 혁신성장촉진자금 등으로 운영합니다.
이번 정책자금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www.kosmes.or.kr)을 통해 내일(14일)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정책자금은 소상공인진흥공단(ols.semas.or.kr)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또 직접대출 방식인 신용취약자금과 혁신성장촉진자금은 다음 달 2일, 대리대출 방식인 일반경영안정자금은 7월 1일부터 접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