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제주지역은 지금까지 태풍 때 바람피해는 꽤 있었지만 홍수피해는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의 유례없는 비피해로 수방대책을 다시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서승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주시내 도심 복개도로 곳곳이 내려앉아 건물과 차량도 성한 것이 없습니다.
이 하천에서만 이번 폭우로 300여 대의 차량이 침수되거나 유실됐습니다.
제주시내 전체 하천 주변에서는 천여 대의 차량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촘촘히 설치된 복개도로 밑 교각에 쓰레기더미가 걸려 하천이 순식간에 범람한 것입니다.
<인터뷰> 지역 상가 피해 주민 : " 물이 넘친 거죠 옛날에는 이런 일이 없었잖아요"
골프장과 도로 개설 등 한라산 중산간 지역의 난개발도 수해 피해를 키웠습니다.
땅에 스며들어야 할 물이 도로를 따라 그대로 하류로 쏟아져 내려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인터뷰> 김남화(제주시 하천담당) : "하천구역이 넓어지니까 쉽게 말해서 개발지역의 물들이 어디로 빠지겠습니까? 전부 하천으로 빠지다 보니까 그런 문제가 발생했죠."
기존의 배수시설 용량도 이번 같은 폭우를 감당하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인터뷰> 이용두(제주대 토목환경전공 교수) : "근본적으로 국지 기상이 굉장히 달라지는 상황에서는 대책을 하천정비정책이 아니라 저류 또는 침투하는 방향으로 가야합니다."
물 빠짐이 좋은 화산 회토의 잇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난개발을 막고 폭우를 일시 가둘 수 있는 저류조 설치하는 등 제주도에 대한 수방대책을 다시 세워야 할 시점입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제주지역은 지금까지 태풍 때 바람피해는 꽤 있었지만 홍수피해는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의 유례없는 비피해로 수방대책을 다시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서승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주시내 도심 복개도로 곳곳이 내려앉아 건물과 차량도 성한 것이 없습니다.
이 하천에서만 이번 폭우로 300여 대의 차량이 침수되거나 유실됐습니다.
제주시내 전체 하천 주변에서는 천여 대의 차량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촘촘히 설치된 복개도로 밑 교각에 쓰레기더미가 걸려 하천이 순식간에 범람한 것입니다.
<인터뷰> 지역 상가 피해 주민 : " 물이 넘친 거죠 옛날에는 이런 일이 없었잖아요"
골프장과 도로 개설 등 한라산 중산간 지역의 난개발도 수해 피해를 키웠습니다.
땅에 스며들어야 할 물이 도로를 따라 그대로 하류로 쏟아져 내려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인터뷰> 김남화(제주시 하천담당) : "하천구역이 넓어지니까 쉽게 말해서 개발지역의 물들이 어디로 빠지겠습니까? 전부 하천으로 빠지다 보니까 그런 문제가 발생했죠."
기존의 배수시설 용량도 이번 같은 폭우를 감당하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인터뷰> 이용두(제주대 토목환경전공 교수) : "근본적으로 국지 기상이 굉장히 달라지는 상황에서는 대책을 하천정비정책이 아니라 저류 또는 침투하는 방향으로 가야합니다."
물 빠짐이 좋은 화산 회토의 잇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난개발을 막고 폭우를 일시 가둘 수 있는 저류조 설치하는 등 제주도에 대한 수방대책을 다시 세워야 할 시점입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방대책 다시 세워야”
-
- 입력 2007-09-17 21:03:01
<앵커 멘트>
제주지역은 지금까지 태풍 때 바람피해는 꽤 있었지만 홍수피해는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의 유례없는 비피해로 수방대책을 다시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서승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주시내 도심 복개도로 곳곳이 내려앉아 건물과 차량도 성한 것이 없습니다.
이 하천에서만 이번 폭우로 300여 대의 차량이 침수되거나 유실됐습니다.
제주시내 전체 하천 주변에서는 천여 대의 차량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촘촘히 설치된 복개도로 밑 교각에 쓰레기더미가 걸려 하천이 순식간에 범람한 것입니다.
<인터뷰> 지역 상가 피해 주민 : " 물이 넘친 거죠 옛날에는 이런 일이 없었잖아요"
골프장과 도로 개설 등 한라산 중산간 지역의 난개발도 수해 피해를 키웠습니다.
땅에 스며들어야 할 물이 도로를 따라 그대로 하류로 쏟아져 내려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인터뷰> 김남화(제주시 하천담당) : "하천구역이 넓어지니까 쉽게 말해서 개발지역의 물들이 어디로 빠지겠습니까? 전부 하천으로 빠지다 보니까 그런 문제가 발생했죠."
기존의 배수시설 용량도 이번 같은 폭우를 감당하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인터뷰> 이용두(제주대 토목환경전공 교수) : "근본적으로 국지 기상이 굉장히 달라지는 상황에서는 대책을 하천정비정책이 아니라 저류 또는 침투하는 방향으로 가야합니다."
물 빠짐이 좋은 화산 회토의 잇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난개발을 막고 폭우를 일시 가둘 수 있는 저류조 설치하는 등 제주도에 대한 수방대책을 다시 세워야 할 시점입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
-
서승신 기자 sss4854@kbs.co.kr
서승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제11호 태풍 '나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