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어민들 역시 망연자실합니다.
서남해안 가두리 양식장이 특히 피해가 막심합니다.
이성각 기자입니다.
<리포트>
땅끝 마을에서 뱃길로 40여 분 떨어진 전남 완도군 보길도.
1km가 넘는 백사장이 온통 전복 양식시설로 뒤덮였습니다.
전복은 폐사하고, 그물 등 양식시설은 모두 찢겨져 나갔습니다.
밧줄로 단단히 묶여 있었지만 태풍이 몰고 온 강한 파도에 휩쓸려 2km나 떠밀려 온 겁니다.
<인터뷰> 김하순(전복 양식 어민) : "남의 빚을 내서..이자 물고 미치지 미쳐..말로는 못하지.."
행여 1마리라도 살아있지 않을까 찢어진 그물 곳곳을 뒤적입니다.
수년 동안 정성껏 기른 전복을 포기해야 하는 현실이 믿어지지 않습니다.
<인터뷰> 이주연(전복 양식 어민) : "처음에 왔을 때는 참말로 겁이 나서 말을 못했어요. 그래서 정신 차려서 이렇게 나와서 (한마리라도)"
이 같은 양식장 피해는 전남 완도와 진도, 고흥 등 서남해안에서 속속 확인되고 있습니다.
전국 전복 생산량의 60%가 나오는 전남 완도에서만, 3만 4천 제곱미터에 1,300만 마리가 폐사해 200억 원이 넘는 피해가 난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습니다.
또 돔과 우럭 등을 키우는 해상 가두리 양식장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어민들 역시 망연자실합니다.
서남해안 가두리 양식장이 특히 피해가 막심합니다.
이성각 기자입니다.
<리포트>
땅끝 마을에서 뱃길로 40여 분 떨어진 전남 완도군 보길도.
1km가 넘는 백사장이 온통 전복 양식시설로 뒤덮였습니다.
전복은 폐사하고, 그물 등 양식시설은 모두 찢겨져 나갔습니다.
밧줄로 단단히 묶여 있었지만 태풍이 몰고 온 강한 파도에 휩쓸려 2km나 떠밀려 온 겁니다.
<인터뷰> 김하순(전복 양식 어민) : "남의 빚을 내서..이자 물고 미치지 미쳐..말로는 못하지.."
행여 1마리라도 살아있지 않을까 찢어진 그물 곳곳을 뒤적입니다.
수년 동안 정성껏 기른 전복을 포기해야 하는 현실이 믿어지지 않습니다.
<인터뷰> 이주연(전복 양식 어민) : "처음에 왔을 때는 참말로 겁이 나서 말을 못했어요. 그래서 정신 차려서 이렇게 나와서 (한마리라도)"
이 같은 양식장 피해는 전남 완도와 진도, 고흥 등 서남해안에서 속속 확인되고 있습니다.
전국 전복 생산량의 60%가 나오는 전남 완도에서만, 3만 4천 제곱미터에 1,300만 마리가 폐사해 200억 원이 넘는 피해가 난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습니다.
또 돔과 우럭 등을 키우는 해상 가두리 양식장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해안 양식장 초토화…어민들 ‘망연자실’
-
- 입력 2011-08-08 22:03:03

<앵커 멘트>
어민들 역시 망연자실합니다.
서남해안 가두리 양식장이 특히 피해가 막심합니다.
이성각 기자입니다.
<리포트>
땅끝 마을에서 뱃길로 40여 분 떨어진 전남 완도군 보길도.
1km가 넘는 백사장이 온통 전복 양식시설로 뒤덮였습니다.
전복은 폐사하고, 그물 등 양식시설은 모두 찢겨져 나갔습니다.
밧줄로 단단히 묶여 있었지만 태풍이 몰고 온 강한 파도에 휩쓸려 2km나 떠밀려 온 겁니다.
<인터뷰> 김하순(전복 양식 어민) : "남의 빚을 내서..이자 물고 미치지 미쳐..말로는 못하지.."
행여 1마리라도 살아있지 않을까 찢어진 그물 곳곳을 뒤적입니다.
수년 동안 정성껏 기른 전복을 포기해야 하는 현실이 믿어지지 않습니다.
<인터뷰> 이주연(전복 양식 어민) : "처음에 왔을 때는 참말로 겁이 나서 말을 못했어요. 그래서 정신 차려서 이렇게 나와서 (한마리라도)"
이 같은 양식장 피해는 전남 완도와 진도, 고흥 등 서남해안에서 속속 확인되고 있습니다.
전국 전복 생산량의 60%가 나오는 전남 완도에서만, 3만 4천 제곱미터에 1,300만 마리가 폐사해 200억 원이 넘는 피해가 난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습니다.
또 돔과 우럭 등을 키우는 해상 가두리 양식장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
-
이성각 기자 drill@kbs.co.kr
이성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기상ㆍ재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