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는 ‘미니 취임식’…“규모 축소 또는 생략”

입력 2017.04.14 (21:20) 수정 2017.04.14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대선은 대통령 궐위 상태에서 치러져 당선이 확정되는 순간 당선인 신분 없이 새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됩니다.

따라서 취임식도 과거와는 크게 다를 것으로 보입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녹취>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1987년 대통령 직선제 실시 이후 대통령 당선인들은 취임식에 많은 공을 들여왔습니다.

새 정부의 국정 철학과 비전 등을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취임식 준비위원회를 꾸리는 등 보통 준비에만 한 달 이상 걸렸습니다.

하지만 다음 달 치러질 19대 대통령 취임식은 규모가 대폭 축소될 전망입니다.

대통령 궐위에 따른 보궐선거여서 당선일이 곧바로 취임일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해외 정상급 외빈은 초청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정부는 일단 선거 다음날인 다음 달 10일이나 11일에 국회에서 규모가 대폭 축소된 미니 취임식을 거행하는 방안을 놓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중입니다.

국회에서 대통령 당선인이 중앙선거관리위원장으로부터 당선증을 전달받은 뒤 대통령 취임 선서를 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 최종 결정은 당선인의 몫입니다.

<녹취> 행정자치부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가 여러 가지 대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최종적인 것은 당선인 측에서 결정하는 거예요. 현재까지 확정된 건 없어요."

취임식이 아예 안 열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경우 만일 당선된다면 국회에서 선서만 하고 일을 시작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9대는 ‘미니 취임식’…“규모 축소 또는 생략”
    • 입력 2017-04-14 21:22:57
    • 수정2017-04-14 22:05:15
    뉴스 9
<앵커 멘트>

이번 대선은 대통령 궐위 상태에서 치러져 당선이 확정되는 순간 당선인 신분 없이 새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됩니다.

따라서 취임식도 과거와는 크게 다를 것으로 보입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녹취>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1987년 대통령 직선제 실시 이후 대통령 당선인들은 취임식에 많은 공을 들여왔습니다.

새 정부의 국정 철학과 비전 등을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취임식 준비위원회를 꾸리는 등 보통 준비에만 한 달 이상 걸렸습니다.

하지만 다음 달 치러질 19대 대통령 취임식은 규모가 대폭 축소될 전망입니다.

대통령 궐위에 따른 보궐선거여서 당선일이 곧바로 취임일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해외 정상급 외빈은 초청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정부는 일단 선거 다음날인 다음 달 10일이나 11일에 국회에서 규모가 대폭 축소된 미니 취임식을 거행하는 방안을 놓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중입니다.

국회에서 대통령 당선인이 중앙선거관리위원장으로부터 당선증을 전달받은 뒤 대통령 취임 선서를 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 최종 결정은 당선인의 몫입니다.

<녹취> 행정자치부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가 여러 가지 대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최종적인 것은 당선인 측에서 결정하는 거예요. 현재까지 확정된 건 없어요."

취임식이 아예 안 열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경우 만일 당선된다면 국회에서 선서만 하고 일을 시작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