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힌남노’ 북상…강원도 비상 대응 체제
입력 2022.09.04 (21:50)
수정 2022.09.04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강력한 위력을 유지한 채 북상해 모레(6일)쯤 제주와 남해안을 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원도는 강한 바람과 많은 비로 태풍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습니다.
고순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태풍 '매미'에 버금가는 위력을 유지한 채 한반도로 북상하고 있는 제11호 태풍 '힌남노'.
태풍의 영향권에 들게 되는 내일(5일)과 모레(6일) 강원 영동지역에는 초속 3~40m의 강풍과 함께, 시간당 50~100mm의 폭우가 쏟아지는 곳이 있겠습니다.
모레(6일)까지 강원도에는 100에서 300mm의 많은 비가 예상됩니다.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휴일인 오늘(4일) 상습 침수지역인 강릉시 포남동 배수펌프장을 찾아 시설을 점검하고 태풍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강원도도 18개 시군에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습니다.
특히, 지난달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횡성과 홍천에는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신속 대응팀이 파견됐습니다.
강원도는 상습 침수지역과 산사태 위험지역의 주민들은 안전한 장소로 긴급 대피시키고, 동해안의 어선들에는 모두 피항 조치를 내렸습니다.
[박동주/강원도 재난안전실장 : "한국전력공사라든지 수자원공사 이런 유관 기관하고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특히 태풍으로 인해서 인명피해 예방에 최우선을 두고 저희가 가용 가능한 것을 활용해서..."]
설악산 등 강원도 내 4개 국립공원의 입산은 전면 통제됐습니다.
태풍 '힌남노'는 강한 바람과 폭우로 인한 낙하물 피해와 저지대 침수, 산간계곡 고립 사고 등이 우려돼 시설물 관리와 안전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순정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강력한 위력을 유지한 채 북상해 모레(6일)쯤 제주와 남해안을 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원도는 강한 바람과 많은 비로 태풍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습니다.
고순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태풍 '매미'에 버금가는 위력을 유지한 채 한반도로 북상하고 있는 제11호 태풍 '힌남노'.
태풍의 영향권에 들게 되는 내일(5일)과 모레(6일) 강원 영동지역에는 초속 3~40m의 강풍과 함께, 시간당 50~100mm의 폭우가 쏟아지는 곳이 있겠습니다.
모레(6일)까지 강원도에는 100에서 300mm의 많은 비가 예상됩니다.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휴일인 오늘(4일) 상습 침수지역인 강릉시 포남동 배수펌프장을 찾아 시설을 점검하고 태풍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강원도도 18개 시군에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습니다.
특히, 지난달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횡성과 홍천에는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신속 대응팀이 파견됐습니다.
강원도는 상습 침수지역과 산사태 위험지역의 주민들은 안전한 장소로 긴급 대피시키고, 동해안의 어선들에는 모두 피항 조치를 내렸습니다.
[박동주/강원도 재난안전실장 : "한국전력공사라든지 수자원공사 이런 유관 기관하고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특히 태풍으로 인해서 인명피해 예방에 최우선을 두고 저희가 가용 가능한 것을 활용해서..."]
설악산 등 강원도 내 4개 국립공원의 입산은 전면 통제됐습니다.
태풍 '힌남노'는 강한 바람과 폭우로 인한 낙하물 피해와 저지대 침수, 산간계곡 고립 사고 등이 우려돼 시설물 관리와 안전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순정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태풍 ‘힌남노’ 북상…강원도 비상 대응 체제
-
- 입력 2022-09-04 21:50:30
- 수정2022-09-04 22:01:14

[앵커]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강력한 위력을 유지한 채 북상해 모레(6일)쯤 제주와 남해안을 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원도는 강한 바람과 많은 비로 태풍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습니다.
고순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태풍 '매미'에 버금가는 위력을 유지한 채 한반도로 북상하고 있는 제11호 태풍 '힌남노'.
태풍의 영향권에 들게 되는 내일(5일)과 모레(6일) 강원 영동지역에는 초속 3~40m의 강풍과 함께, 시간당 50~100mm의 폭우가 쏟아지는 곳이 있겠습니다.
모레(6일)까지 강원도에는 100에서 300mm의 많은 비가 예상됩니다.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휴일인 오늘(4일) 상습 침수지역인 강릉시 포남동 배수펌프장을 찾아 시설을 점검하고 태풍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강원도도 18개 시군에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습니다.
특히, 지난달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횡성과 홍천에는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신속 대응팀이 파견됐습니다.
강원도는 상습 침수지역과 산사태 위험지역의 주민들은 안전한 장소로 긴급 대피시키고, 동해안의 어선들에는 모두 피항 조치를 내렸습니다.
[박동주/강원도 재난안전실장 : "한국전력공사라든지 수자원공사 이런 유관 기관하고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특히 태풍으로 인해서 인명피해 예방에 최우선을 두고 저희가 가용 가능한 것을 활용해서..."]
설악산 등 강원도 내 4개 국립공원의 입산은 전면 통제됐습니다.
태풍 '힌남노'는 강한 바람과 폭우로 인한 낙하물 피해와 저지대 침수, 산간계곡 고립 사고 등이 우려돼 시설물 관리와 안전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순정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강력한 위력을 유지한 채 북상해 모레(6일)쯤 제주와 남해안을 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원도는 강한 바람과 많은 비로 태풍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습니다.
고순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태풍 '매미'에 버금가는 위력을 유지한 채 한반도로 북상하고 있는 제11호 태풍 '힌남노'.
태풍의 영향권에 들게 되는 내일(5일)과 모레(6일) 강원 영동지역에는 초속 3~40m의 강풍과 함께, 시간당 50~100mm의 폭우가 쏟아지는 곳이 있겠습니다.
모레(6일)까지 강원도에는 100에서 300mm의 많은 비가 예상됩니다.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휴일인 오늘(4일) 상습 침수지역인 강릉시 포남동 배수펌프장을 찾아 시설을 점검하고 태풍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강원도도 18개 시군에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습니다.
특히, 지난달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횡성과 홍천에는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신속 대응팀이 파견됐습니다.
강원도는 상습 침수지역과 산사태 위험지역의 주민들은 안전한 장소로 긴급 대피시키고, 동해안의 어선들에는 모두 피항 조치를 내렸습니다.
[박동주/강원도 재난안전실장 : "한국전력공사라든지 수자원공사 이런 유관 기관하고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특히 태풍으로 인해서 인명피해 예방에 최우선을 두고 저희가 가용 가능한 것을 활용해서..."]
설악산 등 강원도 내 4개 국립공원의 입산은 전면 통제됐습니다.
태풍 '힌남노'는 강한 바람과 폭우로 인한 낙하물 피해와 저지대 침수, 산간계곡 고립 사고 등이 우려돼 시설물 관리와 안전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순정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
고순정 기자 flyhigh@kbs.co.kr
고순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11호 태풍 힌남노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