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한국 시찰단, 오염수 안전성 평가 안해…이해 깊어지길”

입력 2023.05.09 (11:31) 수정 2023.05.09 (15: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일 양국이 한국 전문가의 후쿠시마 원전 시찰에 합의한 가운데, 일본 측이 한국 시찰단이 오염수의 안정성을 평가하거나 확인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단순 시찰에만 그칠 경우 일본 측의 오염수 방류를 위한 명분 쌓기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됩니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일본 경제산업상은 오늘(9일) 열린 정례 기자회견에서 오염수 방류의 안정성에 대한 한국 내 이해가 깊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하면서도, 한국 시찰단이 오염수의 안전성을 평가하거나 확인하지는 않을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니시무라 경제산업상은 다만 한국 시찰단에 오염수 저장 상황과 방류 설비 공사 현황을 설명하고, 오염수의 방사성물질 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낮춰 방류한다는 점을 전할 계획이라고 말하며 “올해 상반기에 나올 IAEA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매우 투명하게 정보를 발신하고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 역시 후쿠시마 원전 시찰이 한국 여론에 미칠 영향과 관련해 “앞으로 계속해서 높은 투명성을 갖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성실한 설명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하며, “한국 전문가 현지 시찰단 파견, 국장급 협의 등의 기회를 통해 ‘처리수(오염수의 일본 정부 명칭)’ 해양 방류의 안전성에 대한 한국의 이해가 깊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한일 양국은 지난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한국 전문가의 후쿠시마 원전 시찰에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국내 시민단체 등에서는 한국 시찰단이 오염수의 안전성을 직접 검증하지 못할 경우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위한 명분쌓기에 그칠 수 있다며, 오염수 방출 문제에 대한 정부의 분석 결론과 입장부터 확립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양국은 이른 시일 안에 국장급 협의를 개최해 오는 23∼24일 일본을 방문하는 시찰단의 구체적인 일정 등을 조율할 예정입니다.

시찰단 세부 일정으로는 경제산업성과 도쿄전력 관계자 면담,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시설인 해저터널 시찰 등이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한국 시찰단, 오염수 안전성 평가 안해…이해 깊어지길”
    • 입력 2023-05-09 11:31:46
    • 수정2023-05-09 15:13:55
    국제
한일 양국이 한국 전문가의 후쿠시마 원전 시찰에 합의한 가운데, 일본 측이 한국 시찰단이 오염수의 안정성을 평가하거나 확인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단순 시찰에만 그칠 경우 일본 측의 오염수 방류를 위한 명분 쌓기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됩니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일본 경제산업상은 오늘(9일) 열린 정례 기자회견에서 오염수 방류의 안정성에 대한 한국 내 이해가 깊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하면서도, 한국 시찰단이 오염수의 안전성을 평가하거나 확인하지는 않을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니시무라 경제산업상은 다만 한국 시찰단에 오염수 저장 상황과 방류 설비 공사 현황을 설명하고, 오염수의 방사성물질 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낮춰 방류한다는 점을 전할 계획이라고 말하며 “올해 상반기에 나올 IAEA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매우 투명하게 정보를 발신하고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 역시 후쿠시마 원전 시찰이 한국 여론에 미칠 영향과 관련해 “앞으로 계속해서 높은 투명성을 갖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성실한 설명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하며, “한국 전문가 현지 시찰단 파견, 국장급 협의 등의 기회를 통해 ‘처리수(오염수의 일본 정부 명칭)’ 해양 방류의 안전성에 대한 한국의 이해가 깊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한일 양국은 지난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한국 전문가의 후쿠시마 원전 시찰에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국내 시민단체 등에서는 한국 시찰단이 오염수의 안전성을 직접 검증하지 못할 경우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위한 명분쌓기에 그칠 수 있다며, 오염수 방출 문제에 대한 정부의 분석 결론과 입장부터 확립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양국은 이른 시일 안에 국장급 협의를 개최해 오는 23∼24일 일본을 방문하는 시찰단의 구체적인 일정 등을 조율할 예정입니다.

시찰단 세부 일정으로는 경제산업성과 도쿄전력 관계자 면담,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시설인 해저터널 시찰 등이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