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이슈] 속내 복잡한 미국

입력 2023.10.25 (23:15) 수정 2023.10.26 (01: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은 확전을 막기 위한 긴박한 외교전을 펼치고 있지만, 휴전에는 선을 긋고 있습니다.

그러는 사이,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은 임박해 온 상황이죠.

이제 미국에 남겨진 선택지는 무엇일지,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확전은 안 된다, 그렇지만 휴전도 안 된다, 그래서 미국이 들고 온 카드가 '적대행위 일시 중지', 뭔가 애매모호합니다.

미국의 셈법은 대체 뭡니까?

[앵커]

그렇다면 결국 미국은,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을 주저앉히지 못하는 겁니까?

확전의 우려가 있더라도요?

[앵커]

지상전이 시작되지 않은 지금도 가자지구에서의 민간인 피해는 속출하고 있습니다.

피해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이스라엘 더 나아가 미국을 향한 비판도 커져갈 텐데요.

그럼에도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미국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는 겁니까?

[앵커]

하마스의 기습 공격에 대해 이스라엘이 대응한 이후에는,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느냐는 책임론도 불거질 겁니다.

이 책임에서 미국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얘기가 미국 내부에서도 나오는데요.

교수님께선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영토 분쟁의 역사에서, 그나마 ‘두 국가 해법’을 끌어냈던 게 미국의 중재 아래에서 진행된 오슬로 협정입니다.

이때와 같은 적극적인 역할, 이제 기대할 수 없는 겁니까?

[앵커]

중동 분쟁이 해소 되지 않으면, 미국이 감당해야 할 전선은 넓어집니다.

우크라이나전은 장기전으로 이미 들어갔고, 반미 감정이 거세진 중동도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죠.

미국이 이 두 개의 전선을 감당할 수 있을까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드 이슈] 속내 복잡한 미국
    • 입력 2023-10-25 23:15:25
    • 수정2023-10-26 01:30:49
    뉴스라인 W
[앵커]

미국은 확전을 막기 위한 긴박한 외교전을 펼치고 있지만, 휴전에는 선을 긋고 있습니다.

그러는 사이,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은 임박해 온 상황이죠.

이제 미국에 남겨진 선택지는 무엇일지,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확전은 안 된다, 그렇지만 휴전도 안 된다, 그래서 미국이 들고 온 카드가 '적대행위 일시 중지', 뭔가 애매모호합니다.

미국의 셈법은 대체 뭡니까?

[앵커]

그렇다면 결국 미국은,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을 주저앉히지 못하는 겁니까?

확전의 우려가 있더라도요?

[앵커]

지상전이 시작되지 않은 지금도 가자지구에서의 민간인 피해는 속출하고 있습니다.

피해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이스라엘 더 나아가 미국을 향한 비판도 커져갈 텐데요.

그럼에도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미국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는 겁니까?

[앵커]

하마스의 기습 공격에 대해 이스라엘이 대응한 이후에는,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느냐는 책임론도 불거질 겁니다.

이 책임에서 미국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얘기가 미국 내부에서도 나오는데요.

교수님께선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영토 분쟁의 역사에서, 그나마 ‘두 국가 해법’을 끌어냈던 게 미국의 중재 아래에서 진행된 오슬로 협정입니다.

이때와 같은 적극적인 역할, 이제 기대할 수 없는 겁니까?

[앵커]

중동 분쟁이 해소 되지 않으면, 미국이 감당해야 할 전선은 넓어집니다.

우크라이나전은 장기전으로 이미 들어갔고, 반미 감정이 거세진 중동도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죠.

미국이 이 두 개의 전선을 감당할 수 있을까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