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미국에 ‘확전 원치 않는다’ 메시지 전달”
입력 2023.11.17 (19:45)
수정 2023.11.17 (19: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란이 비공식 채널을 통해 미국에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의 확전을 원하지 않는다’는 뜻을 전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가 현지시각으로 17일 보도했습니다.
호세인 아미르압둘라히안 이란 외무부 장관은 인터뷰에서 지난 40일 사이에 테헤란 주재 스위스 대사관의 미국측 대표부를 통해 메시지가 오갔다며, “이란은 확전을 원치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 장관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접근법 때문에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 주민들을 상대로 한 범죄가 중단되지 않는다면, 어떤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으며 더 넓은 범위에 걸친 충돌은 불가피해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앞서 지난 15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가 최근 하마스 정치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를 만나 ‘이란이 하마스를 정치적·정신적으로 계속 지원하겠지만 전쟁에 직접 개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등 서방에서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에 헤즈볼라와 예멘 후티 반군 등 이란의 지원을 받는 대리 세력이 개입해 확전할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호세인 아미르압둘라히안 이란 외무부 장관은 인터뷰에서 지난 40일 사이에 테헤란 주재 스위스 대사관의 미국측 대표부를 통해 메시지가 오갔다며, “이란은 확전을 원치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 장관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접근법 때문에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 주민들을 상대로 한 범죄가 중단되지 않는다면, 어떤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으며 더 넓은 범위에 걸친 충돌은 불가피해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앞서 지난 15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가 최근 하마스 정치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를 만나 ‘이란이 하마스를 정치적·정신적으로 계속 지원하겠지만 전쟁에 직접 개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등 서방에서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에 헤즈볼라와 예멘 후티 반군 등 이란의 지원을 받는 대리 세력이 개입해 확전할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란 “미국에 ‘확전 원치 않는다’ 메시지 전달”
-
- 입력 2023-11-17 19:45:23
- 수정2023-11-17 19:47:58

이란이 비공식 채널을 통해 미국에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의 확전을 원하지 않는다’는 뜻을 전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가 현지시각으로 17일 보도했습니다.
호세인 아미르압둘라히안 이란 외무부 장관은 인터뷰에서 지난 40일 사이에 테헤란 주재 스위스 대사관의 미국측 대표부를 통해 메시지가 오갔다며, “이란은 확전을 원치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 장관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접근법 때문에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 주민들을 상대로 한 범죄가 중단되지 않는다면, 어떤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으며 더 넓은 범위에 걸친 충돌은 불가피해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앞서 지난 15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가 최근 하마스 정치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를 만나 ‘이란이 하마스를 정치적·정신적으로 계속 지원하겠지만 전쟁에 직접 개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등 서방에서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에 헤즈볼라와 예멘 후티 반군 등 이란의 지원을 받는 대리 세력이 개입해 확전할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호세인 아미르압둘라히안 이란 외무부 장관은 인터뷰에서 지난 40일 사이에 테헤란 주재 스위스 대사관의 미국측 대표부를 통해 메시지가 오갔다며, “이란은 확전을 원치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 장관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접근법 때문에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 주민들을 상대로 한 범죄가 중단되지 않는다면, 어떤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으며 더 넓은 범위에 걸친 충돌은 불가피해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앞서 지난 15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가 최근 하마스 정치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를 만나 ‘이란이 하마스를 정치적·정신적으로 계속 지원하겠지만 전쟁에 직접 개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등 서방에서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에 헤즈볼라와 예멘 후티 반군 등 이란의 지원을 받는 대리 세력이 개입해 확전할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양민효 기자 gonggam@kbs.co.kr
양민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