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직원, 이스라엘 여성 납치 가담”…‘하마스 연계’ 일파만파

입력 2024.01.30 (19:11) 수정 2024.01.30 (22: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구 직원들이 지난해 10월 하마스의 기습 공격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습니다.

납치에까지 가담한 구체적인 정황들이 이스라엘 정보기관 보고서로 드러나자, 지원 중단을 밝히는 서방 국가들이 늘고 있습니다.

두바이 우수경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10월 7일 첫 기습 공격 당시 하마스는 이스라엘 주민 2백여 명을 납치했습니다.

이 과정에,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구 직원들이 연루됐다는 구체적인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이스라엘 정보기관 보고서를 인용해 이 기구의 한 직원이 아들과 납치에 가담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다른 직원은 탄환 배급과 차량 제공을 맡았고, 수십 명이 총에 맞아 숨졌던 현장에도 직원이 머물렀습니다.

의혹이 커지자 유엔은 자체적으로 엄중하게 조사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스테판 두자릭/유엔 대변인 : "조사는 최대한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겁니다. 테러 행위에 연루된 직원 누구라도 기소를 포함한 모든 형사적 책임을 지게 될 겁니다."]

이스라엘은 이 기구 직원 만 2천 명 가운데 10%가 하마스 등 무장조직에 연관됐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구는 1949년 팔레스타인 난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됐습니다.

미국과 프랑스 등 많은 국가들이 이미 지원 중단을 결정했고, 중립국 스위스도 지원을 보류했습니다.

하마스는 즉각 서방 국가들의 결정을 비판했습니다.

[오사마 함단/하마스 정치국 위원 : "이 국가들의 결정은 무책임합니다. 난민구호기구를 해산·제거하려는 시온주의(이스라엘) 생각과 일치합니다."]

유엔은 의혹이 드러난 직원 12명 가운데 9명을 해고했지만, 가자지구 내 구호 활동 중단은 안 된다며 지원을 재개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영상편집:김인수/자료조사:오지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엔 직원, 이스라엘 여성 납치 가담”…‘하마스 연계’ 일파만파
    • 입력 2024-01-30 19:11:58
    • 수정2024-01-30 22:15:04
    뉴스 7
[앵커]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구 직원들이 지난해 10월 하마스의 기습 공격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습니다.

납치에까지 가담한 구체적인 정황들이 이스라엘 정보기관 보고서로 드러나자, 지원 중단을 밝히는 서방 국가들이 늘고 있습니다.

두바이 우수경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10월 7일 첫 기습 공격 당시 하마스는 이스라엘 주민 2백여 명을 납치했습니다.

이 과정에,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구 직원들이 연루됐다는 구체적인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이스라엘 정보기관 보고서를 인용해 이 기구의 한 직원이 아들과 납치에 가담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다른 직원은 탄환 배급과 차량 제공을 맡았고, 수십 명이 총에 맞아 숨졌던 현장에도 직원이 머물렀습니다.

의혹이 커지자 유엔은 자체적으로 엄중하게 조사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스테판 두자릭/유엔 대변인 : "조사는 최대한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겁니다. 테러 행위에 연루된 직원 누구라도 기소를 포함한 모든 형사적 책임을 지게 될 겁니다."]

이스라엘은 이 기구 직원 만 2천 명 가운데 10%가 하마스 등 무장조직에 연관됐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구는 1949년 팔레스타인 난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됐습니다.

미국과 프랑스 등 많은 국가들이 이미 지원 중단을 결정했고, 중립국 스위스도 지원을 보류했습니다.

하마스는 즉각 서방 국가들의 결정을 비판했습니다.

[오사마 함단/하마스 정치국 위원 : "이 국가들의 결정은 무책임합니다. 난민구호기구를 해산·제거하려는 시온주의(이스라엘) 생각과 일치합니다."]

유엔은 의혹이 드러난 직원 12명 가운데 9명을 해고했지만, 가자지구 내 구호 활동 중단은 안 된다며 지원을 재개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영상편집:김인수/자료조사:오지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