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 ‘인재과학’ 새 이름 눈길

입력 2008.01.16 (16: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16일 정부 조직.기능 개편에 따라 2월 새 정부에서 명찰을 바꿔다는 부처들이 눈에 띈다.
정부조직은 앞으로 '18부 4처'에서 '13부 2처'로 축소되며, 이 과정에서 명칭을 그대로 유지하는 부처는 법무, 국방, 문화, 환경, 노동부 등 5개에 불과할 정도로 부처마다 간판을 새로 내건다.
가장 대표적인 부처는 '지식경제부'와 '인재과학부.' 김형오 인수위 부위원장은 두 부처 개편과 명칭을 두고 "획기적"이라고 평가했다.
지식경제부는 기존 산업자원부의 산업.에너지정책, 정보통신부의 IT산업정책, 과학기술부의 산업기술 R&D 정책이 통합된 새 브랜드. 이 명칭에는 융합과 지식정보화라는 최신의 실물경제 흐름이 그대로 스며들어 있다는 평가가 인수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인수위 관계자는 "우리 경제시스템을 지식기반형 경제, 기술혁신형 경제로 탈바꿈하겠다는 이 당선인의 의지가 고스란히 담겼다"고 말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과기부의 기초과학 부분을 넘겨받아 새 정부에서 '인재과학부'라는 다소 생경한 이름표를 부여받게 됐다. 인수위 산하 기획조정위 위원인 박형준 의원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반영해 '교육'이라는 문패를 내리고 '인재'를 표기하는 방안을 고안해 냈다.
박 의원은 "당선인도 교육개혁에 대한 의지가 깊고, 대학자율화와 교육기능 이관에 따라 기존 교육기능보다는 인재양성 등 새로운 기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인재(human resources)'라는 단어에서는 비즈니스 이미지가 느껴진다는 평가도 있다.
아울러 공급자(교육기관) 중심에서 수요자(학생) 중심으로 교육시스템을 개선하려는 의지도 읽을 수 있다.
정부혁신.규제개혁특위 위원인 박재완 의원은 "'교육'이라는 단어는 공급자의 관점에 서있는 느낌이 많다"면서 "교육(teaching)에서 학습(learning)으로, '연구(research)'에서 '발견(discovery)'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반영하고, 관치교육의 틀을 깨기 위해서는 내용 뿐 아니라 형식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토해양부'와 '행정안전부'는 새 정부의 국정운영 방침과 가치를 드러내는 이름으로 볼 수 있다.
기존 건설교통부에 해양수산부의 항만.물류기능이 합쳐진 국토해양부는 기존 건교부가 건설과 교통으로 의미가 한정되는 것과는 달리 육.해.공을 아우르는 우리 국토를 포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또 행정자치부에서 이름이 바뀐 행정안전부는 국민의 안전한 삶을 위해 각종 위기상황이나 재해, 재난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가 느껴진다.
이밖에 외교부와 통일부를 통합한 '외교통일부', 보건복지부와 여성부를 합친 '보건복지여성부', 기획예산처에 재정경제부의 주요 기능을 통합한 '기획재정부' 등은 조직개편에 따라 그동안 예상됐던 명칭을 그대로 사용했다.
이경숙 인수위원장은 정부조직 개편 방향에 대해 "정부시스템에서 군살을 빼고, 융합 흐름에 걸맞게 각 부처로 흩어진 비슷한 기능들을 한데 묶었다"면서 "그래야 갈등이 줄어들고 국민이 편해진다"며 수요자 중심의 조직개편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한편 새 부처의 이름을 관행상 축약해서 부를 때는 다소 낯선 이름이 나오게 돼 어떤 형태로 부처의 단축명이 결정될지도 관심이다.
통상 5자의 부처 이름은 첫 글자와 3번째 글자를 뽑아서 단축형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 새롭게 작명된 부처의 경우 아직 익숙하지 않은 탓도 있지만 단축형의 발음은 부자연스러운 측면이 있는 것이다.
이를테면 기획재정부는 `기재부', 지식경제부는 `지경부', 인재과학부는 `인과부', 국토해양부는 `국해부', 행정안전부는 `행안부' 등으로 줄여 부르게 되면 아무래도 귀에 낯설게 들리기 때문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식경제’ ‘인재과학’ 새 이름 눈길
    • 입력 2008-01-16 16:57:01
    연합뉴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16일 정부 조직.기능 개편에 따라 2월 새 정부에서 명찰을 바꿔다는 부처들이 눈에 띈다. 정부조직은 앞으로 '18부 4처'에서 '13부 2처'로 축소되며, 이 과정에서 명칭을 그대로 유지하는 부처는 법무, 국방, 문화, 환경, 노동부 등 5개에 불과할 정도로 부처마다 간판을 새로 내건다. 가장 대표적인 부처는 '지식경제부'와 '인재과학부.' 김형오 인수위 부위원장은 두 부처 개편과 명칭을 두고 "획기적"이라고 평가했다. 지식경제부는 기존 산업자원부의 산업.에너지정책, 정보통신부의 IT산업정책, 과학기술부의 산업기술 R&D 정책이 통합된 새 브랜드. 이 명칭에는 융합과 지식정보화라는 최신의 실물경제 흐름이 그대로 스며들어 있다는 평가가 인수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인수위 관계자는 "우리 경제시스템을 지식기반형 경제, 기술혁신형 경제로 탈바꿈하겠다는 이 당선인의 의지가 고스란히 담겼다"고 말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과기부의 기초과학 부분을 넘겨받아 새 정부에서 '인재과학부'라는 다소 생경한 이름표를 부여받게 됐다. 인수위 산하 기획조정위 위원인 박형준 의원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반영해 '교육'이라는 문패를 내리고 '인재'를 표기하는 방안을 고안해 냈다. 박 의원은 "당선인도 교육개혁에 대한 의지가 깊고, 대학자율화와 교육기능 이관에 따라 기존 교육기능보다는 인재양성 등 새로운 기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인재(human resources)'라는 단어에서는 비즈니스 이미지가 느껴진다는 평가도 있다. 아울러 공급자(교육기관) 중심에서 수요자(학생) 중심으로 교육시스템을 개선하려는 의지도 읽을 수 있다. 정부혁신.규제개혁특위 위원인 박재완 의원은 "'교육'이라는 단어는 공급자의 관점에 서있는 느낌이 많다"면서 "교육(teaching)에서 학습(learning)으로, '연구(research)'에서 '발견(discovery)'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반영하고, 관치교육의 틀을 깨기 위해서는 내용 뿐 아니라 형식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토해양부'와 '행정안전부'는 새 정부의 국정운영 방침과 가치를 드러내는 이름으로 볼 수 있다. 기존 건설교통부에 해양수산부의 항만.물류기능이 합쳐진 국토해양부는 기존 건교부가 건설과 교통으로 의미가 한정되는 것과는 달리 육.해.공을 아우르는 우리 국토를 포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또 행정자치부에서 이름이 바뀐 행정안전부는 국민의 안전한 삶을 위해 각종 위기상황이나 재해, 재난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가 느껴진다. 이밖에 외교부와 통일부를 통합한 '외교통일부', 보건복지부와 여성부를 합친 '보건복지여성부', 기획예산처에 재정경제부의 주요 기능을 통합한 '기획재정부' 등은 조직개편에 따라 그동안 예상됐던 명칭을 그대로 사용했다. 이경숙 인수위원장은 정부조직 개편 방향에 대해 "정부시스템에서 군살을 빼고, 융합 흐름에 걸맞게 각 부처로 흩어진 비슷한 기능들을 한데 묶었다"면서 "그래야 갈등이 줄어들고 국민이 편해진다"며 수요자 중심의 조직개편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한편 새 부처의 이름을 관행상 축약해서 부를 때는 다소 낯선 이름이 나오게 돼 어떤 형태로 부처의 단축명이 결정될지도 관심이다. 통상 5자의 부처 이름은 첫 글자와 3번째 글자를 뽑아서 단축형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 새롭게 작명된 부처의 경우 아직 익숙하지 않은 탓도 있지만 단축형의 발음은 부자연스러운 측면이 있는 것이다. 이를테면 기획재정부는 `기재부', 지식경제부는 `지경부', 인재과학부는 `인과부', 국토해양부는 `국해부', 행정안전부는 `행안부' 등으로 줄여 부르게 되면 아무래도 귀에 낯설게 들리기 때문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