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북한의 포격을 받은 연평도 주민들에 대한 사망자 위로금과 장례비용, 주택피해 복구 비용, 그리고 부상자 치료비 전액이 지원됩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이주를 요구하고 있어 정부가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였습니다.
김상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포격으로 피해를 입은 민간 주택은 모두 31동, 이 가운데 25채는 완전히 불에 타버렸고 6채는 일부 파손됐습니다.
인명 피해는 민간인 2명 사망에 18명이 다쳤습니다.
정부는 이같은 피해를 입은 연평도 주민들을 위해 주택피해 복구비용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사망자에겐 위로금을, 부상자에겐 치료비를 대줄 예정입니다.
<녹취> 안양호(행정안전부 1차관) : "민방위기본법에 의해서 적의 공격으로 인해서 피해를 입었을 때 사태 수습을 위해 재정 지원을 할 수 있다는 법 근거를 가지고 가능한한 최대한 실비 보상이 이뤄지도록..."
정부는 연평도 주민 지원을 위한 예비비 지출안을 오는 30일 국무회의에 상정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지급될 수 있도록 할 방침입니다.
그러나 연평도를 떠나겠다며 영구 이주을 요구하는 데 대해선 뾰족한 대책이 없습니다.
연평도 주민들의 불안을 외면할 수도 없겠지만 시행 기준이나 선례가 없는 상황에서 대책을 마련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사람은 살지 않고 군부대만 존재한다, 그렇게 된다면 실효적 지배에 대한 국제 사회에 대한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서해 5도를 지키면서 거주 주민들의 안전과 생업을 보장하는 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입니다.
KBS 뉴스 김상협입니다.
북한의 포격을 받은 연평도 주민들에 대한 사망자 위로금과 장례비용, 주택피해 복구 비용, 그리고 부상자 치료비 전액이 지원됩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이주를 요구하고 있어 정부가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였습니다.
김상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포격으로 피해를 입은 민간 주택은 모두 31동, 이 가운데 25채는 완전히 불에 타버렸고 6채는 일부 파손됐습니다.
인명 피해는 민간인 2명 사망에 18명이 다쳤습니다.
정부는 이같은 피해를 입은 연평도 주민들을 위해 주택피해 복구비용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사망자에겐 위로금을, 부상자에겐 치료비를 대줄 예정입니다.
<녹취> 안양호(행정안전부 1차관) : "민방위기본법에 의해서 적의 공격으로 인해서 피해를 입었을 때 사태 수습을 위해 재정 지원을 할 수 있다는 법 근거를 가지고 가능한한 최대한 실비 보상이 이뤄지도록..."
정부는 연평도 주민 지원을 위한 예비비 지출안을 오는 30일 국무회의에 상정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지급될 수 있도록 할 방침입니다.
그러나 연평도를 떠나겠다며 영구 이주을 요구하는 데 대해선 뾰족한 대책이 없습니다.
연평도 주민들의 불안을 외면할 수도 없겠지만 시행 기준이나 선례가 없는 상황에서 대책을 마련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사람은 살지 않고 군부대만 존재한다, 그렇게 된다면 실효적 지배에 대한 국제 사회에 대한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서해 5도를 지키면서 거주 주민들의 안전과 생업을 보장하는 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입니다.
KBS 뉴스 김상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복구는 지원…이주는 곤혹”
-
- 입력 2010-11-27 13:59:51

<앵커 멘트>
북한의 포격을 받은 연평도 주민들에 대한 사망자 위로금과 장례비용, 주택피해 복구 비용, 그리고 부상자 치료비 전액이 지원됩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이주를 요구하고 있어 정부가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였습니다.
김상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포격으로 피해를 입은 민간 주택은 모두 31동, 이 가운데 25채는 완전히 불에 타버렸고 6채는 일부 파손됐습니다.
인명 피해는 민간인 2명 사망에 18명이 다쳤습니다.
정부는 이같은 피해를 입은 연평도 주민들을 위해 주택피해 복구비용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사망자에겐 위로금을, 부상자에겐 치료비를 대줄 예정입니다.
<녹취> 안양호(행정안전부 1차관) : "민방위기본법에 의해서 적의 공격으로 인해서 피해를 입었을 때 사태 수습을 위해 재정 지원을 할 수 있다는 법 근거를 가지고 가능한한 최대한 실비 보상이 이뤄지도록..."
정부는 연평도 주민 지원을 위한 예비비 지출안을 오는 30일 국무회의에 상정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지급될 수 있도록 할 방침입니다.
그러나 연평도를 떠나겠다며 영구 이주을 요구하는 데 대해선 뾰족한 대책이 없습니다.
연평도 주민들의 불안을 외면할 수도 없겠지만 시행 기준이나 선례가 없는 상황에서 대책을 마련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사람은 살지 않고 군부대만 존재한다, 그렇게 된다면 실효적 지배에 대한 국제 사회에 대한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서해 5도를 지키면서 거주 주민들의 안전과 생업을 보장하는 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입니다.
KBS 뉴스 김상협입니다.
-
-
김상협 기자 kshsg89@kbs.co.kr
김상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 연평도에 포격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