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20·30대vs50·60대 ‘세대 갈등’ 어떻게 푸나?

입력 2013.11.20 (21:26) 수정 2013.11.21 (22: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이번주 연속기획으로 다루고 있는 '갈등사회를 넘어', 오늘은 세대간 갈등 문제를 짚어봅니다.

한 대학도서관입니다.

취업을 위해 밤낮 없이 이른바 스펙 올리기에 열중하는 모습인데요,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지난달 청년 실업률은 7.8%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높아졌습니다.

그만큼 자녀들 뒷바라지 기간이 늘어나고, 노후 준비를 해야하는 중.장년층도 부담이 커졌습니다.

불투명한 미래 앞에 놓인 20대와, 퇴직 후가 막막한 50대의 삶을 남승우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학 캠퍼스.

졸업을 1년 남긴 24살 우상준 씨의 일상은 숨 돌릴 틈 없는 일정의 연속입니다.

전공 강의를 듣고, 부랴부랴 부전공 강의로 향합니다.

퇴직하신 아버지의 부담을 생각해 도서관 아르바이트도 하고, 저녁을 넘기면서 친구들과 수업 과제를 합니다.

이렇게 열심히 사는데도, 취업문은 갈수록 좁아지는 상황.

정년연장에 중장년층 재취업까지, 세상은 '어르신'들만 챙기는 것 같아 답답합니다.

<인터뷰> 우상준(대학교 3학년/24살) : "저희보다 앞선 세대들을 위한 정책이나 그런 변동은 참 많은 것 같은데, 젋은층을 위한 정책 같은 것은 크게 많은 변동이 있지가 않은 것 같아요."

정년을 1년 남겨둔 57살 김상배 씨, 내년이면 직장을 떠나야 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듭니다.

퇴근 뒤에도 생소한 부동산책을 붙잡고 자격증 공부에 여념 없습니다.

앞으로 몇 년 동안 갚아야 할 두 자녀의 학자금 대출 상환금만 매달 150만 원, 얼마 전 딸의 혼사로 목돈을 치른 데다,, 미혼인 맏아들의 결혼까지 앞두고 있어 현실이 두렵기까지 합니다.

부부의 노후 준비는 사실상 전무한 상태.

<인터뷰> 김상배(직장인/57살) : "아니, 우리 자녀 세대를 위해서 희생을 하고, 지금도 희생하기 위해서 지금 그러는 거 아닙니까. 우리 젋은 세대는 그걸 '밥그릇 싸움'이라고 그렇게까지 가니까.."

왜 노년층만 챙기느냐는 젊은층의 불만을 이해하기 힘듭니다.

<기자 멘트>

요즘 취업박람회가 많이 열리죠?

수십 곳에 원서를 내보지만 취업문은 그야말로 바늘구멍입니다.

30년 전과 비교해 볼까요?

지금의 50대들이 20대일 때 경제성장률은 12.2%, 한창 경제가 팽창할 시기여서 한 사람을 대기업 대여섯 곳에서 모셔가려고 영입 경쟁을 벌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2.7%로 뚝 떨어지면서 전체적인 일자리가 줄어들었습니다.

그런데 대학진학률은 37%에서 84%로 크게 높아져 고학력자가 많이 늘었는데요, 좋은 일자리를 놓고 경쟁은 더 치열해 졌습니다.

실제로 20-30대의 고용률은 평균 65%, 50대 고용률 74.6%에 크게 못미칩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년연장까지 된다니 청년 입장에선 불안감이 들 수밖에 없는데요, 여기에 미래세대들에겐 노인 부양 부담까지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청년 100명당 부양해야 할 노인 수는 16.7명인데, 2050년엔 71명으로 네 배나 증가합니다.

청년 입장에선 기회를 얻지도 못한 채 책임만 늘고, 50-60대들은 경제를 일으키느라 애썼는데 나이가 들고 보니 노후 보장이 안돼 걱정입니다.

이런 시대적 상황이 세대 갈등이라는 이름으로 불거지고 있는데요, 그런데 면밀하게 살펴보면 세대갈등의 이슈에는 이면이 있습니다.

<리포트>

고령층이 물러나야 청년실업을 해소할 수 있다.

1994년 OECD의 일자리 전략은 12년만에 폐기됐습니다.

나이 많은 노동자를 해고해도 청년 실업은 여전했기 때문입니다.

국내에서도 청년과 고령층 일자리는 겹치지 않습니다.

사무·전문직에는 고령층이 드물고 농림어업과 단순 노무직에는 청년층이 관심을 보이지 않습니다.

조화가 가능한 겁니다.

<인터뷰> 박경숙(서울대사회학과) : "일자리 경쟁의 근본적인 원인은 세대간 일자리 착취가 아니고 우리들의 일자리가 전반적으로 취약하고 불안한 현실에서 비롯됩니다."

빗나간 복지재원 논의가 세대 갈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복지 비용만 강조하다 보니, 이를 떠받쳐야 할 젊은 세대의 불만을 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인터뷰> 김연명(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국가 재정 부담론을 너무 강조하다 보면 당연히 복지 축소가 나타나게 됩니다. 개인이나 가족이 책임져야 할 부분이 너무 커져서 사회가 전체적으로 불균형해지고..."

세대 갈등론은 정부나 기업이 당연히 해야 할 책임과 역할을 회피하게 하는 장벽일 수도 있습니다.

갈등보다 연대와 토론이 필요한 이유기도 합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20·30대vs50·60대 ‘세대 갈등’ 어떻게 푸나?
    • 입력 2013-11-20 21:29:49
    • 수정2013-11-21 22:26:26
    뉴스 9
<기자 멘트>

이번주 연속기획으로 다루고 있는 '갈등사회를 넘어', 오늘은 세대간 갈등 문제를 짚어봅니다.

한 대학도서관입니다.

취업을 위해 밤낮 없이 이른바 스펙 올리기에 열중하는 모습인데요,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지난달 청년 실업률은 7.8%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높아졌습니다.

그만큼 자녀들 뒷바라지 기간이 늘어나고, 노후 준비를 해야하는 중.장년층도 부담이 커졌습니다.

불투명한 미래 앞에 놓인 20대와, 퇴직 후가 막막한 50대의 삶을 남승우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학 캠퍼스.

졸업을 1년 남긴 24살 우상준 씨의 일상은 숨 돌릴 틈 없는 일정의 연속입니다.

전공 강의를 듣고, 부랴부랴 부전공 강의로 향합니다.

퇴직하신 아버지의 부담을 생각해 도서관 아르바이트도 하고, 저녁을 넘기면서 친구들과 수업 과제를 합니다.

이렇게 열심히 사는데도, 취업문은 갈수록 좁아지는 상황.

정년연장에 중장년층 재취업까지, 세상은 '어르신'들만 챙기는 것 같아 답답합니다.

<인터뷰> 우상준(대학교 3학년/24살) : "저희보다 앞선 세대들을 위한 정책이나 그런 변동은 참 많은 것 같은데, 젋은층을 위한 정책 같은 것은 크게 많은 변동이 있지가 않은 것 같아요."

정년을 1년 남겨둔 57살 김상배 씨, 내년이면 직장을 떠나야 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듭니다.

퇴근 뒤에도 생소한 부동산책을 붙잡고 자격증 공부에 여념 없습니다.

앞으로 몇 년 동안 갚아야 할 두 자녀의 학자금 대출 상환금만 매달 150만 원, 얼마 전 딸의 혼사로 목돈을 치른 데다,, 미혼인 맏아들의 결혼까지 앞두고 있어 현실이 두렵기까지 합니다.

부부의 노후 준비는 사실상 전무한 상태.

<인터뷰> 김상배(직장인/57살) : "아니, 우리 자녀 세대를 위해서 희생을 하고, 지금도 희생하기 위해서 지금 그러는 거 아닙니까. 우리 젋은 세대는 그걸 '밥그릇 싸움'이라고 그렇게까지 가니까.."

왜 노년층만 챙기느냐는 젊은층의 불만을 이해하기 힘듭니다.

<기자 멘트>

요즘 취업박람회가 많이 열리죠?

수십 곳에 원서를 내보지만 취업문은 그야말로 바늘구멍입니다.

30년 전과 비교해 볼까요?

지금의 50대들이 20대일 때 경제성장률은 12.2%, 한창 경제가 팽창할 시기여서 한 사람을 대기업 대여섯 곳에서 모셔가려고 영입 경쟁을 벌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2.7%로 뚝 떨어지면서 전체적인 일자리가 줄어들었습니다.

그런데 대학진학률은 37%에서 84%로 크게 높아져 고학력자가 많이 늘었는데요, 좋은 일자리를 놓고 경쟁은 더 치열해 졌습니다.

실제로 20-30대의 고용률은 평균 65%, 50대 고용률 74.6%에 크게 못미칩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년연장까지 된다니 청년 입장에선 불안감이 들 수밖에 없는데요, 여기에 미래세대들에겐 노인 부양 부담까지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청년 100명당 부양해야 할 노인 수는 16.7명인데, 2050년엔 71명으로 네 배나 증가합니다.

청년 입장에선 기회를 얻지도 못한 채 책임만 늘고, 50-60대들은 경제를 일으키느라 애썼는데 나이가 들고 보니 노후 보장이 안돼 걱정입니다.

이런 시대적 상황이 세대 갈등이라는 이름으로 불거지고 있는데요, 그런데 면밀하게 살펴보면 세대갈등의 이슈에는 이면이 있습니다.

<리포트>

고령층이 물러나야 청년실업을 해소할 수 있다.

1994년 OECD의 일자리 전략은 12년만에 폐기됐습니다.

나이 많은 노동자를 해고해도 청년 실업은 여전했기 때문입니다.

국내에서도 청년과 고령층 일자리는 겹치지 않습니다.

사무·전문직에는 고령층이 드물고 농림어업과 단순 노무직에는 청년층이 관심을 보이지 않습니다.

조화가 가능한 겁니다.

<인터뷰> 박경숙(서울대사회학과) : "일자리 경쟁의 근본적인 원인은 세대간 일자리 착취가 아니고 우리들의 일자리가 전반적으로 취약하고 불안한 현실에서 비롯됩니다."

빗나간 복지재원 논의가 세대 갈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복지 비용만 강조하다 보니, 이를 떠받쳐야 할 젊은 세대의 불만을 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인터뷰> 김연명(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국가 재정 부담론을 너무 강조하다 보면 당연히 복지 축소가 나타나게 됩니다. 개인이나 가족이 책임져야 할 부분이 너무 커져서 사회가 전체적으로 불균형해지고..."

세대 갈등론은 정부나 기업이 당연히 해야 할 책임과 역할을 회피하게 하는 장벽일 수도 있습니다.

갈등보다 연대와 토론이 필요한 이유기도 합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