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코로나]③ 미·중 ‘탈협력’ 가속화…코로나 책임론 무역전쟁

입력 2020.05.13 (21:30) 수정 2020.05.13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G2로 불리는 미국과 중국의 대립이 그야말로 점입가경입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책임론을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 경제, 외교 전 분야에 걸친 압박과 반발의 연속입니다.

워싱턴과 베이징을 연결해서 얘기나눠봅니다.

워싱턴 금철영 특파원! 먼저 미국에서 강하게 제기하고 있는 코로나19 책임론, 이제는 외교문제로 번진 상태죠?

[기자]

네,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압박에 다른 나라들의 동참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직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상황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 중국의존도를 줄이는 것을 넘어, 아예 글로벌공급망을 약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미국내에서 나오는 가운데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지난달 말, 한국 일본 호주 인도 등과 세계경제 진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발언을 내놓아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도 가까운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중국이 발병원인을 국제사회에 제대로 설명하지 못할 경우, 광범위한 제재를 부과한다는 내용의 이른바 '코로나19 책임법'을 추진중입니다.

[앵커]

베이징 안양봉 특파원에게 질문하겠습니다.

중국은 코로나19 책임론에 대해서 그냥 넘기지 않겠다는 반응이죠?

[기자]

네, 중국에선 8일 뒤면 양회가 열립니다.

중국 국정방향을 밝히는 최대 정치 행사인데요.

이 자리에서 '코로나19 중국 책임론'에 대해 중국이 정면 대결을 선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책임을 인정할 경우 따라올 후폭풍, 그러니까 배상 문제와 시진핑 주석 책임론이 만만찮기 때문인데요.

중국은 '중국 책임론'을 미국이 자국의 방역 실패를 떠넘기는 술수라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한 마디로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전략이다" 이런 입장입니다.

[앵커]

베이징 특파원의 언급대로 올해 11월 미국 대선일정이 최대 변수일텐데, 갈등국면을 대선에 이용한다는 분석도 있다면서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더이상 경제를 치적으로 내세울 수 없게된 만큼, 선거전략은 중국책임론 부각과 중국 때리기에 맞춰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중국에 대한 미국 내 반중정서가 높아졌다는 판단으로 보입니다.

이 문제에서 만큼은 사실상 민주당 대선후보로 결정된 바이든 전 부통령보다 더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트럼프 선거캠프가 보고 있다는 겁니다.

[앵커]

말싸움을 넘어서 당장 미국과 중국이 맞붙을 이슈라면 무역전쟁을 꼽을 수 있을텐데, 중국의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기자]

어제, 이에 대한 중국 외교부의 논평이 나왔는데요.

"1단계 무역합의는 미중은 물론 전 세계의 이익"이라며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흘 전 중국이 미국산 대두 24만톤을 구매했다는 보도도 나왔는데요.

일단, 중국은 판을 깨지는 않겠다는 뜻을 계속 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여파로 중국이 실제, 합의 사항을 이행할 수 있겠느냐는 회의론이 제기되고 있구요.

미국 기업의 탈중국 움직임도 가시화되고 있어서 '미국 설계-중국 제조'라는 글로벌 분업체제가 깨지는 거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런 대결 국면에서 미국은 향후 국제질서를 어떻게 끌고 가겠다는 걸까요?

[기자]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코로나19의 전세계 확산이 중국 당국이 관련 정보를 통제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고, 이 과정에서 세계보건기구 WHO에 압력을 행사해 정보제공은 물론 대유행, 이른바 '팬더믹' 선언까지 지연시켰다는 입장입니다.

세계보건기구에 대한 지원금 중단 배경이기도 합니다.

공화당 일각에선 세계무역기구 WTO에서 중국을 퇴출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무역과 기술전쟁은 물론 국제관계에서의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치열한 미중 대결이 예상되는 이윱니다.

[앵커]

중국 역시 강경한 태도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 남중국해와 타이완 해협인데, 중국의 향후 외교안보 전략은 어떨 것으로 전망됩니까?

[기자]

네, 중국이 미국의 전력 공백을 틈타 남중국해를 행정구역에 편입하는 등 사실상 영토화하고 있습니다.

양국의 우발적 군사 충돌 가능성까지 거론되는데요.

지난달 중국 항공모함 전단이 한달 가까이 훈련을 했구요.

미국은 올들어서만 39차례 항공작전을 펴는 등 연일 경고를 보내고 있습니다.

미중의 패권대결이 신냉전 시대에 돌입했다는 해석이 나오는데요.

미국은 물론 중국도 전세계를 상대로 줄세우기에 나설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문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악화하는 미중 관계는 우리에게도 악잽니다.

[앵커]

미국과 중국의 갈등상황 짚어봤습니다.

금철영, 안양봉 특파원이었습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포스트코로나]③ 미·중 ‘탈협력’ 가속화…코로나 책임론 무역전쟁
    • 입력 2020-05-13 21:30:46
    • 수정2020-05-13 22:05:41
    뉴스 9
[앵커]

G2로 불리는 미국과 중국의 대립이 그야말로 점입가경입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책임론을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 경제, 외교 전 분야에 걸친 압박과 반발의 연속입니다.

워싱턴과 베이징을 연결해서 얘기나눠봅니다.

워싱턴 금철영 특파원! 먼저 미국에서 강하게 제기하고 있는 코로나19 책임론, 이제는 외교문제로 번진 상태죠?

[기자]

네,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압박에 다른 나라들의 동참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직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상황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 중국의존도를 줄이는 것을 넘어, 아예 글로벌공급망을 약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미국내에서 나오는 가운데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지난달 말, 한국 일본 호주 인도 등과 세계경제 진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발언을 내놓아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도 가까운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중국이 발병원인을 국제사회에 제대로 설명하지 못할 경우, 광범위한 제재를 부과한다는 내용의 이른바 '코로나19 책임법'을 추진중입니다.

[앵커]

베이징 안양봉 특파원에게 질문하겠습니다.

중국은 코로나19 책임론에 대해서 그냥 넘기지 않겠다는 반응이죠?

[기자]

네, 중국에선 8일 뒤면 양회가 열립니다.

중국 국정방향을 밝히는 최대 정치 행사인데요.

이 자리에서 '코로나19 중국 책임론'에 대해 중국이 정면 대결을 선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책임을 인정할 경우 따라올 후폭풍, 그러니까 배상 문제와 시진핑 주석 책임론이 만만찮기 때문인데요.

중국은 '중국 책임론'을 미국이 자국의 방역 실패를 떠넘기는 술수라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한 마디로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전략이다" 이런 입장입니다.

[앵커]

베이징 특파원의 언급대로 올해 11월 미국 대선일정이 최대 변수일텐데, 갈등국면을 대선에 이용한다는 분석도 있다면서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더이상 경제를 치적으로 내세울 수 없게된 만큼, 선거전략은 중국책임론 부각과 중국 때리기에 맞춰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중국에 대한 미국 내 반중정서가 높아졌다는 판단으로 보입니다.

이 문제에서 만큼은 사실상 민주당 대선후보로 결정된 바이든 전 부통령보다 더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트럼프 선거캠프가 보고 있다는 겁니다.

[앵커]

말싸움을 넘어서 당장 미국과 중국이 맞붙을 이슈라면 무역전쟁을 꼽을 수 있을텐데, 중국의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기자]

어제, 이에 대한 중국 외교부의 논평이 나왔는데요.

"1단계 무역합의는 미중은 물론 전 세계의 이익"이라며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흘 전 중국이 미국산 대두 24만톤을 구매했다는 보도도 나왔는데요.

일단, 중국은 판을 깨지는 않겠다는 뜻을 계속 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여파로 중국이 실제, 합의 사항을 이행할 수 있겠느냐는 회의론이 제기되고 있구요.

미국 기업의 탈중국 움직임도 가시화되고 있어서 '미국 설계-중국 제조'라는 글로벌 분업체제가 깨지는 거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런 대결 국면에서 미국은 향후 국제질서를 어떻게 끌고 가겠다는 걸까요?

[기자]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코로나19의 전세계 확산이 중국 당국이 관련 정보를 통제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고, 이 과정에서 세계보건기구 WHO에 압력을 행사해 정보제공은 물론 대유행, 이른바 '팬더믹' 선언까지 지연시켰다는 입장입니다.

세계보건기구에 대한 지원금 중단 배경이기도 합니다.

공화당 일각에선 세계무역기구 WTO에서 중국을 퇴출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무역과 기술전쟁은 물론 국제관계에서의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치열한 미중 대결이 예상되는 이윱니다.

[앵커]

중국 역시 강경한 태도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 남중국해와 타이완 해협인데, 중국의 향후 외교안보 전략은 어떨 것으로 전망됩니까?

[기자]

네, 중국이 미국의 전력 공백을 틈타 남중국해를 행정구역에 편입하는 등 사실상 영토화하고 있습니다.

양국의 우발적 군사 충돌 가능성까지 거론되는데요.

지난달 중국 항공모함 전단이 한달 가까이 훈련을 했구요.

미국은 올들어서만 39차례 항공작전을 펴는 등 연일 경고를 보내고 있습니다.

미중의 패권대결이 신냉전 시대에 돌입했다는 해석이 나오는데요.

미국은 물론 중국도 전세계를 상대로 줄세우기에 나설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문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악화하는 미중 관계는 우리에게도 악잽니다.

[앵커]

미국과 중국의 갈등상황 짚어봤습니다.

금철영, 안양봉 특파원이었습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