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에도 과감한 투자

입력 2005.05.03 (21:5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타이완의 중소기업 환경을 돌아보고 있습니다.
정부의 자금지원이 없어도 타이완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것은 바로 기업을 믿고 투자하는 든든한 자본시장이 있기 때문입니다.
유원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친구 5명이 모여 창업한 이 회사는 타이완의 주식시장에서 대박을 터뜨렸습니다.
한때 자본금의 절반이 잠식당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던 이 회사는 PC의 USB포트저장 장치를 세계 처음으로 개발하면서 일약 스타 기업으로 떠올랐습니다.
소꿉장난 같았던 회사는 이어 주식시장에 등록돼 주가가 13배나 뛰었고 지금은 풍부한 자금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더 강화할 수 있는 여력이 생겼습니다.
⊙판젠청(PMISON전자 대표 이사): 타이완 사회에는 축적된 여유 자금이 많아 신흥 산업이나 새로운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기자: 한국사람들은 여유자금을 주로 부동산에 투자하는 데 반해 대만 사람들은 주식이나 벤처캐피탈 회사를 통해 기업에 투자하려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 결과 타이완의 GDP는 우리나라에 비해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지만 중소기업 위주의 타이완 주가지수는 한국보다 6배가 높습니다.
기업에 대한 믿음이 커서 전체 주식거래의 80%는 개인투자자입니다.
주로 중소기업에 투자하는 창업투자회사들의 자금 운용규모도 우리나라보다 2배나 큽니다.
이처럼 활발한 직접 금융시장은 중소기업들의 부채비율을 60%대로 떨어뜨려 튼튼한 재무구조를 갖게 했습니다.
아시아를 휩쓴 지난 97년 외환위기 때 타이완이 영향을 가장 덜 받은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쑤송친(타이완 증권거래소 부이사장): 상장된 회사들의 부채가 적어 국제적인 경기 조정이 와도 타이완 기업들은 견디는 능력이 상당히 높습니다.
⊙기자: 타이완의 경기전문가들은 한국이 타이완보다 훨씬 좋은 기업이 많은데 국민들이 기업에 투자를 꺼리는 이유가 아리송하다고 말합니다.
타이베이에서 KBS뉴스 유원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소기업에도 과감한 투자
    • 입력 2005-05-03 21:37:14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타이완의 중소기업 환경을 돌아보고 있습니다. 정부의 자금지원이 없어도 타이완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것은 바로 기업을 믿고 투자하는 든든한 자본시장이 있기 때문입니다. 유원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친구 5명이 모여 창업한 이 회사는 타이완의 주식시장에서 대박을 터뜨렸습니다. 한때 자본금의 절반이 잠식당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던 이 회사는 PC의 USB포트저장 장치를 세계 처음으로 개발하면서 일약 스타 기업으로 떠올랐습니다. 소꿉장난 같았던 회사는 이어 주식시장에 등록돼 주가가 13배나 뛰었고 지금은 풍부한 자금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더 강화할 수 있는 여력이 생겼습니다. ⊙판젠청(PMISON전자 대표 이사): 타이완 사회에는 축적된 여유 자금이 많아 신흥 산업이나 새로운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기자: 한국사람들은 여유자금을 주로 부동산에 투자하는 데 반해 대만 사람들은 주식이나 벤처캐피탈 회사를 통해 기업에 투자하려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 결과 타이완의 GDP는 우리나라에 비해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지만 중소기업 위주의 타이완 주가지수는 한국보다 6배가 높습니다. 기업에 대한 믿음이 커서 전체 주식거래의 80%는 개인투자자입니다. 주로 중소기업에 투자하는 창업투자회사들의 자금 운용규모도 우리나라보다 2배나 큽니다. 이처럼 활발한 직접 금융시장은 중소기업들의 부채비율을 60%대로 떨어뜨려 튼튼한 재무구조를 갖게 했습니다. 아시아를 휩쓴 지난 97년 외환위기 때 타이완이 영향을 가장 덜 받은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쑤송친(타이완 증권거래소 부이사장): 상장된 회사들의 부채가 적어 국제적인 경기 조정이 와도 타이완 기업들은 견디는 능력이 상당히 높습니다. ⊙기자: 타이완의 경기전문가들은 한국이 타이완보다 훨씬 좋은 기업이 많은데 국민들이 기업에 투자를 꺼리는 이유가 아리송하다고 말합니다. 타이베이에서 KBS뉴스 유원중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