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이슈 이태원 참사
[여론조사]④ “이상민 사퇴 48% vs 45%…강제동원 해법 미흡 59.6%”
입력 2023.01.22 (21:07) 수정 2023.01.23 (09:36) 뉴스 9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이태원 참사에 책임을 묻기 위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물러나야 하는지 물었는데, 찬반 의견이 오차범위 안이었습니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를 위해 정부가 내놓은 대안에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어서 임종빈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거취에 대해 물었습니다.

'참사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는 응답은 48.7%, '참사 책임으로 물러날 필요는 없다' 45.7%로 나타났습니다.

차이는 3%p, 오차범위 안입니다.

희생자 세 명 중 두 명이 20대였는데, 이들 연령대 60% 가량은 물러날 필요는 없다고 한 반면, 이들의 부모 연령대인 4, 50대 응답자들의 60% 이상은 이 장관이 물러나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이태원 참사에 대해 경찰에 이어 검찰이 보강 수사에 착수한 가운데, 특검 수사가 필요한지 물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검찰 수사에 맡기면 된다는 응답이 51% 였고, 특검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44.7%였습니다.

참사 발생지역인 서울과, 부모 연령대인 4,50대에서 특검 필요 의견이 많았습니다.

특별법 제정을 통한 독립적 진상조사 기구 설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도 물었습니다.

응답자 55%가 설치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고.

40.2%가 설치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최근 정부가 공개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안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일본의 전범 기업이 아니라 제 3자인 피해자지원재단이 대신 지급하는 방식인데, 피해자 의견 반영이 미흡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0% 가까이 나왔습니다.

한일 관계 회복을 위해 동의한다는 응답은 33.3% 였습니다.

대구 경북에서만 오차범위 내였고 다른 모든 지역에선 반대 의견이 훨씬 더 많았습니다.

이번 조사는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지난 18일부터 사흘간 전화 면접 조사했으며, 자세한 내용은 KBS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임종빈입니다.

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채상우 이경민

[KBS-한국리서치] 2023년 설 특집 여론조사_결과표2.pdf
https://news.kbs.co.kr/datafile/2023/01/22/308261674226974791.pdf
  • [여론조사]④ “이상민 사퇴 48% vs 45%…강제동원 해법 미흡 59.6%”
    • 입력 2023-01-22 21:07:46
    • 수정2023-01-23 09:36:40
    뉴스 9
[앵커]

이태원 참사에 책임을 묻기 위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물러나야 하는지 물었는데, 찬반 의견이 오차범위 안이었습니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를 위해 정부가 내놓은 대안에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어서 임종빈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거취에 대해 물었습니다.

'참사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는 응답은 48.7%, '참사 책임으로 물러날 필요는 없다' 45.7%로 나타났습니다.

차이는 3%p, 오차범위 안입니다.

희생자 세 명 중 두 명이 20대였는데, 이들 연령대 60% 가량은 물러날 필요는 없다고 한 반면, 이들의 부모 연령대인 4, 50대 응답자들의 60% 이상은 이 장관이 물러나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이태원 참사에 대해 경찰에 이어 검찰이 보강 수사에 착수한 가운데, 특검 수사가 필요한지 물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검찰 수사에 맡기면 된다는 응답이 51% 였고, 특검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44.7%였습니다.

참사 발생지역인 서울과, 부모 연령대인 4,50대에서 특검 필요 의견이 많았습니다.

특별법 제정을 통한 독립적 진상조사 기구 설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도 물었습니다.

응답자 55%가 설치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고.

40.2%가 설치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최근 정부가 공개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안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일본의 전범 기업이 아니라 제 3자인 피해자지원재단이 대신 지급하는 방식인데, 피해자 의견 반영이 미흡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0% 가까이 나왔습니다.

한일 관계 회복을 위해 동의한다는 응답은 33.3% 였습니다.

대구 경북에서만 오차범위 내였고 다른 모든 지역에선 반대 의견이 훨씬 더 많았습니다.

이번 조사는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지난 18일부터 사흘간 전화 면접 조사했으며, 자세한 내용은 KBS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임종빈입니다.

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채상우 이경민

[KBS-한국리서치] 2023년 설 특집 여론조사_결과표2.pdf
https://news.kbs.co.kr/datafile/2023/01/22/308261674226974791.pdf

이 기사는 건전한 댓글 문화와 원활한 운영을 위해 댓글사용이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