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앵커]
지금부터는 강릉 소식 알아봅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이 3백 명 가까이 계속 대피소에 머물고 있습니다.
대부분 노인들입니다.
임시로 조립주택이나 임대아파트로 옮기는 것도 언제가 될지 알 수 없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5년 전 동계올림픽이 열린 경기장이 거대한 텐트촌으로 변했습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 144가구, 297명이 머무르고 있습니다.
옷이나 생활용품 등 부족한 게 한 둘이 아닙니다.
[조병옥/이재민 : "많이 못 가지고 나왔으니까 필요한 게 많죠. (지금 입은 옷도) 동네 형님이 춥다고 입으라고 갖다 준 거예요."]
차가운 바닥, 냉기를 막으려 돗자리와 전기장판, 이불을 켜켜이 쌓았습니다.
몸이 불편한 80대 할머니는 50년 넘게 살았던 집 생각이 간절합니다.
[김복례/이재민 : "허리가 아프니까 (집에서) 침대 생활을 하다가 (여기는) 땅바닥에서 자니까 그게 좀 불편하고 그런거죠. 빨리 얼른 여기서 벗어나야 되는데."]
대부분이 고령이어서 공동 생활 자체가 너무 낯설고 힘겹습니다.
그나마 급식과 세탁, 목욕 서비스까지, 헌신적인 자원봉사자들은 낯설기만 한 대피소 생활의 고단함을 덜어주고 있습니다.
이 불편한 생활을 마치고 언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점도 이재민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펜션과 리조트, 자치단체 소유의 숙박시설 등을 임시 주거 시설로 지원하는 방안을 먼저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성호/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 "좀 더 편안한 시설로 모시기 위해서 임시 조립주택이라든지 주택공사의 임대아파트를 저희가 확인하고 있습니다."]
2차로 조립주택을 지원하지만 제작과 설치, 입주에만 최소한 두 달 정도 시간이 필요해 이재민들의 불편한 대피소 생활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지금부터는 강릉 소식 알아봅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이 3백 명 가까이 계속 대피소에 머물고 있습니다.
대부분 노인들입니다.
임시로 조립주택이나 임대아파트로 옮기는 것도 언제가 될지 알 수 없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5년 전 동계올림픽이 열린 경기장이 거대한 텐트촌으로 변했습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 144가구, 297명이 머무르고 있습니다.
옷이나 생활용품 등 부족한 게 한 둘이 아닙니다.
[조병옥/이재민 : "많이 못 가지고 나왔으니까 필요한 게 많죠. (지금 입은 옷도) 동네 형님이 춥다고 입으라고 갖다 준 거예요."]
차가운 바닥, 냉기를 막으려 돗자리와 전기장판, 이불을 켜켜이 쌓았습니다.
몸이 불편한 80대 할머니는 50년 넘게 살았던 집 생각이 간절합니다.
[김복례/이재민 : "허리가 아프니까 (집에서) 침대 생활을 하다가 (여기는) 땅바닥에서 자니까 그게 좀 불편하고 그런거죠. 빨리 얼른 여기서 벗어나야 되는데."]
대부분이 고령이어서 공동 생활 자체가 너무 낯설고 힘겹습니다.
그나마 급식과 세탁, 목욕 서비스까지, 헌신적인 자원봉사자들은 낯설기만 한 대피소 생활의 고단함을 덜어주고 있습니다.
이 불편한 생활을 마치고 언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점도 이재민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펜션과 리조트, 자치단체 소유의 숙박시설 등을 임시 주거 시설로 지원하는 방안을 먼저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성호/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 "좀 더 편안한 시설로 모시기 위해서 임시 조립주택이라든지 주택공사의 임대아파트를 저희가 확인하고 있습니다."]
2차로 조립주택을 지원하지만 제작과 설치, 입주에만 최소한 두 달 정도 시간이 필요해 이재민들의 불편한 대피소 생활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 힘겨운 대피소 생활…임시 주택은 언제나?
-
- 입력 2023-04-14 21:18:48
- 수정2023-04-15 08:00:32

[앵커]
지금부터는 강릉 소식 알아봅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이 3백 명 가까이 계속 대피소에 머물고 있습니다.
대부분 노인들입니다.
임시로 조립주택이나 임대아파트로 옮기는 것도 언제가 될지 알 수 없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5년 전 동계올림픽이 열린 경기장이 거대한 텐트촌으로 변했습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 144가구, 297명이 머무르고 있습니다.
옷이나 생활용품 등 부족한 게 한 둘이 아닙니다.
[조병옥/이재민 : "많이 못 가지고 나왔으니까 필요한 게 많죠. (지금 입은 옷도) 동네 형님이 춥다고 입으라고 갖다 준 거예요."]
차가운 바닥, 냉기를 막으려 돗자리와 전기장판, 이불을 켜켜이 쌓았습니다.
몸이 불편한 80대 할머니는 50년 넘게 살았던 집 생각이 간절합니다.
[김복례/이재민 : "허리가 아프니까 (집에서) 침대 생활을 하다가 (여기는) 땅바닥에서 자니까 그게 좀 불편하고 그런거죠. 빨리 얼른 여기서 벗어나야 되는데."]
대부분이 고령이어서 공동 생활 자체가 너무 낯설고 힘겹습니다.
그나마 급식과 세탁, 목욕 서비스까지, 헌신적인 자원봉사자들은 낯설기만 한 대피소 생활의 고단함을 덜어주고 있습니다.
이 불편한 생활을 마치고 언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점도 이재민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펜션과 리조트, 자치단체 소유의 숙박시설 등을 임시 주거 시설로 지원하는 방안을 먼저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성호/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 "좀 더 편안한 시설로 모시기 위해서 임시 조립주택이라든지 주택공사의 임대아파트를 저희가 확인하고 있습니다."]
2차로 조립주택을 지원하지만 제작과 설치, 입주에만 최소한 두 달 정도 시간이 필요해 이재민들의 불편한 대피소 생활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지금부터는 강릉 소식 알아봅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이 3백 명 가까이 계속 대피소에 머물고 있습니다.
대부분 노인들입니다.
임시로 조립주택이나 임대아파트로 옮기는 것도 언제가 될지 알 수 없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5년 전 동계올림픽이 열린 경기장이 거대한 텐트촌으로 변했습니다.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 144가구, 297명이 머무르고 있습니다.
옷이나 생활용품 등 부족한 게 한 둘이 아닙니다.
[조병옥/이재민 : "많이 못 가지고 나왔으니까 필요한 게 많죠. (지금 입은 옷도) 동네 형님이 춥다고 입으라고 갖다 준 거예요."]
차가운 바닥, 냉기를 막으려 돗자리와 전기장판, 이불을 켜켜이 쌓았습니다.
몸이 불편한 80대 할머니는 50년 넘게 살았던 집 생각이 간절합니다.
[김복례/이재민 : "허리가 아프니까 (집에서) 침대 생활을 하다가 (여기는) 땅바닥에서 자니까 그게 좀 불편하고 그런거죠. 빨리 얼른 여기서 벗어나야 되는데."]
대부분이 고령이어서 공동 생활 자체가 너무 낯설고 힘겹습니다.
그나마 급식과 세탁, 목욕 서비스까지, 헌신적인 자원봉사자들은 낯설기만 한 대피소 생활의 고단함을 덜어주고 있습니다.
이 불편한 생활을 마치고 언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점도 이재민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펜션과 리조트, 자치단체 소유의 숙박시설 등을 임시 주거 시설로 지원하는 방안을 먼저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성호/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 "좀 더 편안한 시설로 모시기 위해서 임시 조립주택이라든지 주택공사의 임대아파트를 저희가 확인하고 있습니다."]
2차로 조립주택을 지원하지만 제작과 설치, 입주에만 최소한 두 달 정도 시간이 필요해 이재민들의 불편한 대피소 생활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정면구 기자 nine@kbs.co.kr
정면구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