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 뒤 한일정상회담…야권 “굴욕외교 되풀이해선 안 돼”

입력 2023.05.04 (19:06) 수정 2023.05.04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사흘 뒤인 오는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윤 대통령의 두 번째 한일정상회담을 앞두고 야권은 굴욕 외교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쏟아냈습니다.

이현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지난 3월 윤 대통령이 일본을 찾은 지 한 달 반만입니다.

이명박 정부 이후 12년 만의 셔틀 외교 복원이기도 합니다.

[이도운/대통령실 대변인 : "기시다 총리는 앞서 한일관계 개선을 주도한 윤 대통령님의 용기 있는 결단을 높이 평가하며, 이에 조금이나마 보답하는 마음으로 이번 답방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주요 회담 의제로는 안보와 첨단산업, 과학기술, 청년 문화협력 등이 우선 꼽힙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한일공동 조사 등 예민한 문제는 조율 중인데 "굳이 현안에서 제외할 필요는 없다"는게 대통령실 설명입니다.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들은 강제 동원 문제에 대한 사죄가 우선이라며, 기시다 총리의 전향적인 입장을 요구했습니다.

["일본은 강제동원 일본군 성노예제 사죄 배상하라."]

우리 정부의 대일 외교 기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높였습니다.

특히 지난 3월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방문과 일제 강제동원 제3자 배상안은 최악의 굴욕 외교라고 평가했습니다.

[김상희/더불어민주당 대일굴욕외교대책위원장 : "굴욕적인 대일 외교에 대한 국민의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해서 당당한 국격 외교, 실용적인 국익외교를 펼쳐 줄 것을 요청입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에 대해선 일본에 면죄부를 줘선 안 된다며 정부의 단호한 대응을 요구했습니다.

일본의 한 시민단체도 기시다 총리가 한국에서 식민 지배와 강제동원에 대한 사과를 해야 미래지향적 한일관계가 열린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고영민/영상편집:이형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흘 뒤 한일정상회담…야권 “굴욕외교 되풀이해선 안 돼”
    • 입력 2023-05-04 19:05:59
    • 수정2023-05-04 22:04:46
    뉴스 7
[앵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사흘 뒤인 오는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윤 대통령의 두 번째 한일정상회담을 앞두고 야권은 굴욕 외교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쏟아냈습니다.

이현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지난 3월 윤 대통령이 일본을 찾은 지 한 달 반만입니다.

이명박 정부 이후 12년 만의 셔틀 외교 복원이기도 합니다.

[이도운/대통령실 대변인 : "기시다 총리는 앞서 한일관계 개선을 주도한 윤 대통령님의 용기 있는 결단을 높이 평가하며, 이에 조금이나마 보답하는 마음으로 이번 답방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주요 회담 의제로는 안보와 첨단산업, 과학기술, 청년 문화협력 등이 우선 꼽힙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한일공동 조사 등 예민한 문제는 조율 중인데 "굳이 현안에서 제외할 필요는 없다"는게 대통령실 설명입니다.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들은 강제 동원 문제에 대한 사죄가 우선이라며, 기시다 총리의 전향적인 입장을 요구했습니다.

["일본은 강제동원 일본군 성노예제 사죄 배상하라."]

우리 정부의 대일 외교 기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높였습니다.

특히 지난 3월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방문과 일제 강제동원 제3자 배상안은 최악의 굴욕 외교라고 평가했습니다.

[김상희/더불어민주당 대일굴욕외교대책위원장 : "굴욕적인 대일 외교에 대한 국민의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해서 당당한 국격 외교, 실용적인 국익외교를 펼쳐 줄 것을 요청입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에 대해선 일본에 면죄부를 줘선 안 된다며 정부의 단호한 대응을 요구했습니다.

일본의 한 시민단체도 기시다 총리가 한국에서 식민 지배와 강제동원에 대한 사과를 해야 미래지향적 한일관계가 열린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고영민/영상편집:이형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