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포로 “한국 오고 싶다”…정부 “전원 수용 원칙하에 지원”

입력 2025.02.19 (21:28) 수정 2025.02.19 (22: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포로가 한국에 오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귀순 의사가 확인되면 수용한단 방침이지만, 그 과정에 변수가 많아 보입니다.

송금한 기자가 보도.

[리포트]

지난달 러시아 쿠르스크에서 생포된 20대 북한군 병사 중 한 명이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귀순 의사를 밝혔습니다.

"우선 난민 신청을 해서 대한민국에 갈 생각"이라며, 난민 신청을 하면 받아줄 것 같냐고 묻기도 했습니다.

북한군 포로가 한국행 의사를 밝힌 건 처음입니다.

북한에 돌아간다 해도 고초를 겪을 거란 우려를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북한군 포로가 한국행을 요청할 경우 전원 수용한다는 원칙하에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북한군은 헌법상 우리 국민이고, 본인 의사에 반해 박해받을 위협이 있는 곳으로 송환돼선 안 된다는 겁니다.

이 같은 뜻을 우크라이나 측에도 전달했고 계속 협의하겠다는 입장인데,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

우선 '제네바 협약'에 따라 전쟁 포로는 본국 송환이 원칙인데, 다만, 파병 사실을 부인해 온 북한과 러시아가 끝내 외면하면 이들은 포로 지위를 얻지 못합니다.

이 경우 이들이 인권침해 우려 등을 들어 난민 신청을 해 인정받고 한국행을 강력히 원하면, 그때 협상의 여지가 생깁니다.

[변상정/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북한연구실장 : "우크라이나 정부가 난민 지위를 인정할 수 있도록, 난민 신청할 수 있는 절차를 북한군들한테 설명할 수 있는 외교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미국이 서두르고 있는 종전협상에서 포로 맞교환 협의가 포함될 가능성이 큰데, 여기서 북한군 포로 문제는 뒷전으로 밀릴 수도 있습니다.

또 북미 대화를 추진하는 미국이 어떤 입장을 취할것인지도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송금한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영상출처:우크라이나 보안국/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군 포로 “한국 오고 싶다”…정부 “전원 수용 원칙하에 지원”
    • 입력 2025-02-19 21:28:39
    • 수정2025-02-19 22:40:23
    뉴스 9
[앵커]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포로가 한국에 오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귀순 의사가 확인되면 수용한단 방침이지만, 그 과정에 변수가 많아 보입니다.

송금한 기자가 보도.

[리포트]

지난달 러시아 쿠르스크에서 생포된 20대 북한군 병사 중 한 명이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귀순 의사를 밝혔습니다.

"우선 난민 신청을 해서 대한민국에 갈 생각"이라며, 난민 신청을 하면 받아줄 것 같냐고 묻기도 했습니다.

북한군 포로가 한국행 의사를 밝힌 건 처음입니다.

북한에 돌아간다 해도 고초를 겪을 거란 우려를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북한군 포로가 한국행을 요청할 경우 전원 수용한다는 원칙하에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북한군은 헌법상 우리 국민이고, 본인 의사에 반해 박해받을 위협이 있는 곳으로 송환돼선 안 된다는 겁니다.

이 같은 뜻을 우크라이나 측에도 전달했고 계속 협의하겠다는 입장인데,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

우선 '제네바 협약'에 따라 전쟁 포로는 본국 송환이 원칙인데, 다만, 파병 사실을 부인해 온 북한과 러시아가 끝내 외면하면 이들은 포로 지위를 얻지 못합니다.

이 경우 이들이 인권침해 우려 등을 들어 난민 신청을 해 인정받고 한국행을 강력히 원하면, 그때 협상의 여지가 생깁니다.

[변상정/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북한연구실장 : "우크라이나 정부가 난민 지위를 인정할 수 있도록, 난민 신청할 수 있는 절차를 북한군들한테 설명할 수 있는 외교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미국이 서두르고 있는 종전협상에서 포로 맞교환 협의가 포함될 가능성이 큰데, 여기서 북한군 포로 문제는 뒷전으로 밀릴 수도 있습니다.

또 북미 대화를 추진하는 미국이 어떤 입장을 취할것인지도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송금한입니다.

영상편집:이형주/영상출처:우크라이나 보안국/그래픽:김성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