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위험 막을 치수 대책은?

입력 2006.08.20 (21:46)

수정 2006.08.20 (21:51)

<앵커 멘트>

수해 현장을 돌아보며 우리 방재 대책의 허실을 되짚어 보는 시간, 오늘은 댐 건설 논란까지 불러온 하천 유역의 치수 문제를 살펴봅니다.

김태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폭우가 쏟아지던 지난달 17일 남한강 수위가 급격히 불어납니다.

홍수위 10m까지 불과 10여cm 밖에 남지 않은 상황, 주민들은 홍수에 대한 공포로 밤을 새워야 했습니다.

<인터뷰> 남한강 주변 주민: "1층에 사는 주민은 4층까지 짐 올리고 강만 쳐다보고 있었지."

1차적으로 홍수를 방어하는 수단은 하천 제방, 하지만 안양천과 안성천에선 홍수위가 차기도 전에 뚝이 무너져 제방관리 부실이 결국 수해를 키운 꼴이 됐습니다.

남한강 유역의 경우, 주택이 마치 제방위에 들어선 듯 하천과 맞닿아 있다는 점도 문젭니다.

<인터뷰> 윤광석(박사/건설기술연구원): "직접적 피해가 커지고 응급복구 등 문제, 신도시 계획 때 고려해야 한다."

또 이번 폭우를 계기로 홍수조절을 위한 효과적인 댐 운용의 중요성도 확인됐습니다.

당시 충주댐에 유입된 물은 초당 2만2천6백 톤, 월드컵경기장 만큼의 물을 1분마다 3번씩 쏟아붓는 것과 같은 사상 초유의 유입량입니다.

하지만 사전에 댐 수위를 평소 제한수위 138미터보다 15미터나 낮은 122.5미터까지 낮춰뒀기 때문에 겨우 여주지역의 홍수를 피할 수 있었습니다.

좀 더 주의를 기울였다면 홍수위험을 아예 없앨 수 있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낙중(환경운동연합): "수위를 낮출 시간적 여유 있었는데 최대 64시간 동안 그럴 기회를 방기"

하지만 근본적인 홍수대책에 대한 논의는 무엇보다 댐 건설을 하느냐, 마느냐 하는 문제로 귀결됩니다.

남한강 홍수위험을 겪은 뒤 당정이 곧바로 다목적댐 추가 건설을 검토하기로 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충주댐이 홍수위까지 물을 가둘 경우, 무려 71.5km에 달하는 상류 하천의 물이 불어나 단양지역의 침수 위험이 높아지고 방류량을 늘리면 이번엔 여주를 비롯한 수도권이 홍수 위험에 빠집니다.

현재의 댐만으론 홍수조절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게 당국의 입장입니다.

<인터뷰> 충주댐 관리단장: "홍수를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은 댐 추가 건설밖에 없다."

반면 환경단체는 제방관리와 기존 댐의 효율적인 운용, 유수지 확보 등이 우선돼야한다고 맞서고 있어 홍수를 막기 위한 댐건설의 문제는 사회적 합의란 과제를 남겨놓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