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 시설 폐쇄 시한 연장 불가피

입력 2007.04.14 (08: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의 2.13 합의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이 오늘입니다.

그러나 북한 측은 아직도 BDA 해법의 실효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는 원칙을 거듭 천명함으로써 시한 연장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카오에서 김진수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오늘은 6자회담 2.13 합의 이후 꼭 60일 되는 날입니다.

그러나 아직 BDA 문제도 매듭짓지 못하고 있어 영변의 핵 시설 동결 조치 등 북한은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의 연장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대신 북한은 어제 외무성 발표를 통해 미국의 BDA 해법에 대해 실효성 여부를 확인해 본 뒤 현실로 증명됐을 때 행동할 것이라고만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13 합의를 이행하려는 의지에는 변함이 없음도 밝히긴 했지만 지난 10일 BDA 자금의 해제 조치 이후 처음으로 낸 공식 입장을 통해서도 지금까지 견지해 온 '행동 대 행동' 원칙만을 강조한 것입니다.

주말인 오늘도 BDA는 오전 영업을 하지만 BDA 문제의 해결은 다음주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북한 내 유일한 외국계 은행인 대동 신용은행의 콜린 매카스킬 대표가 BDA에 동결됐던 2500만 달러 가운데 700만 달러가 자신의 소유임을 주장하기 위해 다음주 월요일 마카오를 방문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가 매듭지어져야 북한의 자금 인출도 현실적으로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BDA 문제조차 일단락 짓지 못한 관계로 시한 준수가 불가능하게 된 것이 거의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6자회담의 관련 대상국들도 '시한'보다는 '합의 이행' 쪽에 더욱 큰 무게를 두고 있어 북한의 초기 조치 시행 시한의 연장은 이미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분위깁니다.

마카오에서 KBS 뉴스 김진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핵 시설 폐쇄 시한 연장 불가피
    • 입력 2007-04-14 06:55:59
    뉴스광장
<앵커 멘트> 북한의 2.13 합의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이 오늘입니다. 그러나 북한 측은 아직도 BDA 해법의 실효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는 원칙을 거듭 천명함으로써 시한 연장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카오에서 김진수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오늘은 6자회담 2.13 합의 이후 꼭 60일 되는 날입니다. 그러나 아직 BDA 문제도 매듭짓지 못하고 있어 영변의 핵 시설 동결 조치 등 북한은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의 연장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대신 북한은 어제 외무성 발표를 통해 미국의 BDA 해법에 대해 실효성 여부를 확인해 본 뒤 현실로 증명됐을 때 행동할 것이라고만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13 합의를 이행하려는 의지에는 변함이 없음도 밝히긴 했지만 지난 10일 BDA 자금의 해제 조치 이후 처음으로 낸 공식 입장을 통해서도 지금까지 견지해 온 '행동 대 행동' 원칙만을 강조한 것입니다. 주말인 오늘도 BDA는 오전 영업을 하지만 BDA 문제의 해결은 다음주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북한 내 유일한 외국계 은행인 대동 신용은행의 콜린 매카스킬 대표가 BDA에 동결됐던 2500만 달러 가운데 700만 달러가 자신의 소유임을 주장하기 위해 다음주 월요일 마카오를 방문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가 매듭지어져야 북한의 자금 인출도 현실적으로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BDA 문제조차 일단락 짓지 못한 관계로 시한 준수가 불가능하게 된 것이 거의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6자회담의 관련 대상국들도 '시한'보다는 '합의 이행' 쪽에 더욱 큰 무게를 두고 있어 북한의 초기 조치 시행 시한의 연장은 이미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분위깁니다. 마카오에서 KBS 뉴스 김진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