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운항’ 정부에 공식 건의
입력 2025.02.18 (19:12)
수정 2025.02.18 (20: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주시가 광주공항의 국제선 임시 운항을 정부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무안공항 폐쇄로 인한 관광 업계 피해와 시민 불편을 덜기 위한 조치라는 게 광주시의 설명인데요.
무안공항 재개항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온 전라남도와 갈등이 반복되지 않을지 우려됩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12월 29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두 달 가까이 폐쇄된 무안국제공항.
방위각 시설의 콘크리트 둔덕 제거 등 시설 개선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광주시가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을 정부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매출 손실 300억여 원의 타격으로 위기를 겪고 있다는 보고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지역민과 지역 관광업계는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광주시는 조만간 국제선 임시 운항 사전협의서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하고, 본격적인 협의에 나설 예정입니다.
이후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국토교통부 허가를 받아야 국제선 운항이 가능합니다.
허가 이후에도 검역시스템 구축 등 국제선 준비 절차에만 최소 두 달에서 길게는 여섯달까지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선 운항을 위한 공식 절차에 나선 광주시는, 전라남도와의 별도 협의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협의는 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이번에 참사를 겪으면서 무안공항이 무안에 있을 뿐이지 (이용객) 절대적 다수가 광주시민들(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전라남도 관계자는 KBS와의 통화에서 "광주공항 역시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설 보수가 필요한 상태이고, 국제선 운항을 위한 준비를 마치려면 무안공항 재개항 시기보다 늦어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전라남도는 최근 관광업계의 국제선 요구에도 부정적 입장을 내비친 상황이어서 국제선 운항을 둘러싼 이견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
광주시가 광주공항의 국제선 임시 운항을 정부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무안공항 폐쇄로 인한 관광 업계 피해와 시민 불편을 덜기 위한 조치라는 게 광주시의 설명인데요.
무안공항 재개항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온 전라남도와 갈등이 반복되지 않을지 우려됩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12월 29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두 달 가까이 폐쇄된 무안국제공항.
방위각 시설의 콘크리트 둔덕 제거 등 시설 개선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광주시가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을 정부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매출 손실 300억여 원의 타격으로 위기를 겪고 있다는 보고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지역민과 지역 관광업계는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광주시는 조만간 국제선 임시 운항 사전협의서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하고, 본격적인 협의에 나설 예정입니다.
이후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국토교통부 허가를 받아야 국제선 운항이 가능합니다.
허가 이후에도 검역시스템 구축 등 국제선 준비 절차에만 최소 두 달에서 길게는 여섯달까지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선 운항을 위한 공식 절차에 나선 광주시는, 전라남도와의 별도 협의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협의는 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이번에 참사를 겪으면서 무안공항이 무안에 있을 뿐이지 (이용객) 절대적 다수가 광주시민들(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전라남도 관계자는 KBS와의 통화에서 "광주공항 역시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설 보수가 필요한 상태이고, 국제선 운항을 위한 준비를 마치려면 무안공항 재개항 시기보다 늦어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전라남도는 최근 관광업계의 국제선 요구에도 부정적 입장을 내비친 상황이어서 국제선 운항을 둘러싼 이견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운항’ 정부에 공식 건의
-
- 입력 2025-02-18 19:12:00
- 수정2025-02-18 20:28:24

[앵커]
광주시가 광주공항의 국제선 임시 운항을 정부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무안공항 폐쇄로 인한 관광 업계 피해와 시민 불편을 덜기 위한 조치라는 게 광주시의 설명인데요.
무안공항 재개항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온 전라남도와 갈등이 반복되지 않을지 우려됩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12월 29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두 달 가까이 폐쇄된 무안국제공항.
방위각 시설의 콘크리트 둔덕 제거 등 시설 개선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광주시가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을 정부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매출 손실 300억여 원의 타격으로 위기를 겪고 있다는 보고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지역민과 지역 관광업계는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광주시는 조만간 국제선 임시 운항 사전협의서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하고, 본격적인 협의에 나설 예정입니다.
이후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국토교통부 허가를 받아야 국제선 운항이 가능합니다.
허가 이후에도 검역시스템 구축 등 국제선 준비 절차에만 최소 두 달에서 길게는 여섯달까지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선 운항을 위한 공식 절차에 나선 광주시는, 전라남도와의 별도 협의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협의는 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이번에 참사를 겪으면서 무안공항이 무안에 있을 뿐이지 (이용객) 절대적 다수가 광주시민들(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전라남도 관계자는 KBS와의 통화에서 "광주공항 역시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설 보수가 필요한 상태이고, 국제선 운항을 위한 준비를 마치려면 무안공항 재개항 시기보다 늦어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전라남도는 최근 관광업계의 국제선 요구에도 부정적 입장을 내비친 상황이어서 국제선 운항을 둘러싼 이견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
광주시가 광주공항의 국제선 임시 운항을 정부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무안공항 폐쇄로 인한 관광 업계 피해와 시민 불편을 덜기 위한 조치라는 게 광주시의 설명인데요.
무안공항 재개항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온 전라남도와 갈등이 반복되지 않을지 우려됩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12월 29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두 달 가까이 폐쇄된 무안국제공항.
방위각 시설의 콘크리트 둔덕 제거 등 시설 개선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광주시가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을 정부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매출 손실 300억여 원의 타격으로 위기를 겪고 있다는 보고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지역민과 지역 관광업계는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광주시는 조만간 국제선 임시 운항 사전협의서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하고, 본격적인 협의에 나설 예정입니다.
이후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국토교통부 허가를 받아야 국제선 운항이 가능합니다.
허가 이후에도 검역시스템 구축 등 국제선 준비 절차에만 최소 두 달에서 길게는 여섯달까지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선 운항을 위한 공식 절차에 나선 광주시는, 전라남도와의 별도 협의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협의는 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이번에 참사를 겪으면서 무안공항이 무안에 있을 뿐이지 (이용객) 절대적 다수가 광주시민들(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전라남도 관계자는 KBS와의 통화에서 "광주공항 역시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설 보수가 필요한 상태이고, 국제선 운항을 위한 준비를 마치려면 무안공항 재개항 시기보다 늦어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전라남도는 최근 관광업계의 국제선 요구에도 부정적 입장을 내비친 상황이어서 국제선 운항을 둘러싼 이견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
-
-
김호 기자 kh@kbs.co.kr
김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