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북한의 2.13 합의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이 오늘입니다.
그러나 북한 측은 아직도 BDA 해법의 실효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는 원칙을 거듭 천명함으로써 시한 연장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카오에서 김진수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오늘은 6자회담 2.13 합의 이후 꼭 60일 되는 날입니다.
그러나 아직 BDA 문제도 매듭짓지 못하고 있어 영변의 핵 시설 동결 조치 등 북한은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의 연장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대신 북한은 어제 외무성 발표를 통해 미국의 BDA 해법에 대해 실효성 여부를 확인해 본 뒤 현실로 증명됐을 때 행동할 것이라고만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13 합의를 이행하려는 의지에는 변함이 없음도 밝히긴 했지만 지난 10일 BDA 자금의 해제 조치 이후 처음으로 낸 공식 입장을 통해서도 지금까지 견지해 온 '행동 대 행동' 원칙만을 강조한 것입니다.
주말인 오늘도 BDA는 오전 영업을 하지만 BDA 문제의 해결은 다음주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북한 내 유일한 외국계 은행인 대동 신용은행의 콜린 매카스킬 대표가 BDA에 동결됐던 2500만 달러 가운데 700만 달러가 자신의 소유임을 주장하기 위해 다음주 월요일 마카오를 방문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가 매듭지어져야 북한의 자금 인출도 현실적으로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BDA 문제조차 일단락 짓지 못한 관계로 시한 준수가 불가능하게 된 것이 거의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6자회담의 관련 대상국들도 '시한'보다는 '합의 이행' 쪽에 더욱 큰 무게를 두고 있어 북한의 초기 조치 시행 시한의 연장은 이미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분위깁니다.
마카오에서 KBS 뉴스 김진수입니다.
북한의 2.13 합의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이 오늘입니다.
그러나 북한 측은 아직도 BDA 해법의 실효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는 원칙을 거듭 천명함으로써 시한 연장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카오에서 김진수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오늘은 6자회담 2.13 합의 이후 꼭 60일 되는 날입니다.
그러나 아직 BDA 문제도 매듭짓지 못하고 있어 영변의 핵 시설 동결 조치 등 북한은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의 연장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대신 북한은 어제 외무성 발표를 통해 미국의 BDA 해법에 대해 실효성 여부를 확인해 본 뒤 현실로 증명됐을 때 행동할 것이라고만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13 합의를 이행하려는 의지에는 변함이 없음도 밝히긴 했지만 지난 10일 BDA 자금의 해제 조치 이후 처음으로 낸 공식 입장을 통해서도 지금까지 견지해 온 '행동 대 행동' 원칙만을 강조한 것입니다.
주말인 오늘도 BDA는 오전 영업을 하지만 BDA 문제의 해결은 다음주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북한 내 유일한 외국계 은행인 대동 신용은행의 콜린 매카스킬 대표가 BDA에 동결됐던 2500만 달러 가운데 700만 달러가 자신의 소유임을 주장하기 위해 다음주 월요일 마카오를 방문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가 매듭지어져야 북한의 자금 인출도 현실적으로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BDA 문제조차 일단락 짓지 못한 관계로 시한 준수가 불가능하게 된 것이 거의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6자회담의 관련 대상국들도 '시한'보다는 '합의 이행' 쪽에 더욱 큰 무게를 두고 있어 북한의 초기 조치 시행 시한의 연장은 이미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분위깁니다.
마카오에서 KBS 뉴스 김진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핵 시설 폐쇄 시한 연장 불가피
-
- 입력 2007-04-14 06:55:59

<앵커 멘트>
북한의 2.13 합의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이 오늘입니다.
그러나 북한 측은 아직도 BDA 해법의 실효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는 원칙을 거듭 천명함으로써 시한 연장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카오에서 김진수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오늘은 6자회담 2.13 합의 이후 꼭 60일 되는 날입니다.
그러나 아직 BDA 문제도 매듭짓지 못하고 있어 영변의 핵 시설 동결 조치 등 북한은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의 연장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대신 북한은 어제 외무성 발표를 통해 미국의 BDA 해법에 대해 실효성 여부를 확인해 본 뒤 현실로 증명됐을 때 행동할 것이라고만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13 합의를 이행하려는 의지에는 변함이 없음도 밝히긴 했지만 지난 10일 BDA 자금의 해제 조치 이후 처음으로 낸 공식 입장을 통해서도 지금까지 견지해 온 '행동 대 행동' 원칙만을 강조한 것입니다.
주말인 오늘도 BDA는 오전 영업을 하지만 BDA 문제의 해결은 다음주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북한 내 유일한 외국계 은행인 대동 신용은행의 콜린 매카스킬 대표가 BDA에 동결됐던 2500만 달러 가운데 700만 달러가 자신의 소유임을 주장하기 위해 다음주 월요일 마카오를 방문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가 매듭지어져야 북한의 자금 인출도 현실적으로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BDA 문제조차 일단락 짓지 못한 관계로 시한 준수가 불가능하게 된 것이 거의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6자회담의 관련 대상국들도 '시한'보다는 '합의 이행' 쪽에 더욱 큰 무게를 두고 있어 북한의 초기 조치 시행 시한의 연장은 이미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분위깁니다.
마카오에서 KBS 뉴스 김진수입니다.
-
-
김진수 기자 jinnews@kbs.co.kr
김진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핵 6자회담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