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강국도 발사 연기 사례 허다

입력 2010.06.09 (2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조바심만 낼 상황은 물론 아닙니다.

우주발사체는 전기와 전자, 또 화학, 이런 현대 과학의 총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주강국이라는 선진국에서도 발사 중단이 드문 일은 아닙니다.

윤영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03년, 본격적인 대형 위성 운송용 로켓을 쏘려던 일본은 발사 직전 전압변환기 이상으로 발사를 중단했습니다.

초기 로켓 발사만 연속 4차례 실패, 본격적인 우주 개발 뒤에도 일본은 3번의 큰 실패를 경험했습니다.

<인터뷰> 고다이(전 일본우주항공학회장) : "5호기도 실패했고 다음도 실패했어요. 최초 10개는 실패할 확률이 높습니다."

세계 상용 위성 발사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유럽의 아리안 5호 로켓은 지난 4월, 발사 42초 전에 발사를 중단했습니다.

4년전에는 세 번이나 연기된 바 있습니다.

또 다른 우주 선진국 인도에서는 불과 이륙 1초 전에 중단되는가 하면 지난 2007년엔 급작스런 정전으로 이륙 15초 전에 발사가 멈추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윤웅섭(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 : "여러 조건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그것이 고장이 아니더라도 멈춥니다. 일단 떠오르면 비행기와 자동차와 달리 멈출 수 없다는 거 때문입니다."

미국도 지난해 무려 7번째 시도만에야 우주왕복선 엔데버호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KBS 뉴스 윤영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주 강국도 발사 연기 사례 허다
    • 입력 2010-06-09 21:57:57
    뉴스 9
<앵커 멘트> 조바심만 낼 상황은 물론 아닙니다. 우주발사체는 전기와 전자, 또 화학, 이런 현대 과학의 총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주강국이라는 선진국에서도 발사 중단이 드문 일은 아닙니다. 윤영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03년, 본격적인 대형 위성 운송용 로켓을 쏘려던 일본은 발사 직전 전압변환기 이상으로 발사를 중단했습니다. 초기 로켓 발사만 연속 4차례 실패, 본격적인 우주 개발 뒤에도 일본은 3번의 큰 실패를 경험했습니다. <인터뷰> 고다이(전 일본우주항공학회장) : "5호기도 실패했고 다음도 실패했어요. 최초 10개는 실패할 확률이 높습니다." 세계 상용 위성 발사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유럽의 아리안 5호 로켓은 지난 4월, 발사 42초 전에 발사를 중단했습니다. 4년전에는 세 번이나 연기된 바 있습니다. 또 다른 우주 선진국 인도에서는 불과 이륙 1초 전에 중단되는가 하면 지난 2007년엔 급작스런 정전으로 이륙 15초 전에 발사가 멈추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윤웅섭(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 : "여러 조건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그것이 고장이 아니더라도 멈춥니다. 일단 떠오르면 비행기와 자동차와 달리 멈출 수 없다는 거 때문입니다." 미국도 지난해 무려 7번째 시도만에야 우주왕복선 엔데버호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KBS 뉴스 윤영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