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인정 놓고 노사 갈등
입력 2005.06.16 (22:0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국노총 충주지부 의장이 레미콘노조의 파업을 지원하다 숨지면서 특수고용직 문제를 둘러싼 노사간 갈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수고용직을 노동자로 인정하라는 노동계와 자영업자로 보고 있는 경영계가 팽팽히 맞서 있습니다.
박정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4일 한국노총 김태환 충주지구 의장이 차량에 깔려 숨진 사건은 특수고용직을 둘러싼 노사의 첨예한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습니다.
사건이 나기 전 특수고용직인 레미콘 운전사들과 회사의 단체협상이 결렬되면서 갈등이 커지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노사갈등의 핵심원인은 특수고용직을 노동자로 인정하느냐의 여부입니다.
근로기준법상 노동자는 사업장 내의 임금을 목적으로 일하는 사람으로 제한됩니다.
노동계는 이 근로기준법을 확대적용해 특수고용직도 넓은 의미의 노동자로 인정하라는 것입니다.
⊙이수봉(민주노총 교육선진실장): 실질적으로 노동자이면서도 노동자로서 보호받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노동 3권의 인정과 사용자의 책임성을 인정함으로써 이들을 보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자: 경영계는 현행 근로기준법대로 특수고용직은 자영업자라는 주장입니다.
⊙이동응(경총 상무): 특수 형태의 종사자들은 기본적으로 근로자가 아니고 자영업자기 때문에 공정거래법상의 보호를 받아야지 노동법이나 노동운동으로 해결할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기자: 서로 다른 주장 사이에서 정부 또한 결론을 쉽게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수고용직이 급증하면서 직군별, 개인별로 근무환경이 너무 다양해 법조항 한두 개를 고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장화익(노동부 비정규대책과장): 특고종사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명확한 방침이고요.
다만 근무형태가 다양하고 근로조건도 편차가 심해서 획일적인 대책을 강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기자: 특수고용직에 대한 해법찾기가 쉬운 일은 아닙니다.
하지만 특수고용직 문제는 비정규직 문제와 함께 우리 사회가 반드시 풀어야만 하는 과제입니다.
KBS뉴스 박정호입니다.
특수고용직을 노동자로 인정하라는 노동계와 자영업자로 보고 있는 경영계가 팽팽히 맞서 있습니다.
박정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4일 한국노총 김태환 충주지구 의장이 차량에 깔려 숨진 사건은 특수고용직을 둘러싼 노사의 첨예한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습니다.
사건이 나기 전 특수고용직인 레미콘 운전사들과 회사의 단체협상이 결렬되면서 갈등이 커지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노사갈등의 핵심원인은 특수고용직을 노동자로 인정하느냐의 여부입니다.
근로기준법상 노동자는 사업장 내의 임금을 목적으로 일하는 사람으로 제한됩니다.
노동계는 이 근로기준법을 확대적용해 특수고용직도 넓은 의미의 노동자로 인정하라는 것입니다.
⊙이수봉(민주노총 교육선진실장): 실질적으로 노동자이면서도 노동자로서 보호받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노동 3권의 인정과 사용자의 책임성을 인정함으로써 이들을 보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자: 경영계는 현행 근로기준법대로 특수고용직은 자영업자라는 주장입니다.
⊙이동응(경총 상무): 특수 형태의 종사자들은 기본적으로 근로자가 아니고 자영업자기 때문에 공정거래법상의 보호를 받아야지 노동법이나 노동운동으로 해결할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기자: 서로 다른 주장 사이에서 정부 또한 결론을 쉽게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수고용직이 급증하면서 직군별, 개인별로 근무환경이 너무 다양해 법조항 한두 개를 고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장화익(노동부 비정규대책과장): 특고종사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명확한 방침이고요.
다만 근무형태가 다양하고 근로조건도 편차가 심해서 획일적인 대책을 강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기자: 특수고용직에 대한 해법찾기가 쉬운 일은 아닙니다.
하지만 특수고용직 문제는 비정규직 문제와 함께 우리 사회가 반드시 풀어야만 하는 과제입니다.
KBS뉴스 박정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동자 인정 놓고 노사 갈등
-
- 입력 2005-06-16 21:38:26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한국노총 충주지부 의장이 레미콘노조의 파업을 지원하다 숨지면서 특수고용직 문제를 둘러싼 노사간 갈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수고용직을 노동자로 인정하라는 노동계와 자영업자로 보고 있는 경영계가 팽팽히 맞서 있습니다.
박정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4일 한국노총 김태환 충주지구 의장이 차량에 깔려 숨진 사건은 특수고용직을 둘러싼 노사의 첨예한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습니다.
사건이 나기 전 특수고용직인 레미콘 운전사들과 회사의 단체협상이 결렬되면서 갈등이 커지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노사갈등의 핵심원인은 특수고용직을 노동자로 인정하느냐의 여부입니다.
근로기준법상 노동자는 사업장 내의 임금을 목적으로 일하는 사람으로 제한됩니다.
노동계는 이 근로기준법을 확대적용해 특수고용직도 넓은 의미의 노동자로 인정하라는 것입니다.
⊙이수봉(민주노총 교육선진실장): 실질적으로 노동자이면서도 노동자로서 보호받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노동 3권의 인정과 사용자의 책임성을 인정함으로써 이들을 보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자: 경영계는 현행 근로기준법대로 특수고용직은 자영업자라는 주장입니다.
⊙이동응(경총 상무): 특수 형태의 종사자들은 기본적으로 근로자가 아니고 자영업자기 때문에 공정거래법상의 보호를 받아야지 노동법이나 노동운동으로 해결할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기자: 서로 다른 주장 사이에서 정부 또한 결론을 쉽게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수고용직이 급증하면서 직군별, 개인별로 근무환경이 너무 다양해 법조항 한두 개를 고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장화익(노동부 비정규대책과장): 특고종사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명확한 방침이고요.
다만 근무형태가 다양하고 근로조건도 편차가 심해서 획일적인 대책을 강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기자: 특수고용직에 대한 해법찾기가 쉬운 일은 아닙니다.
하지만 특수고용직 문제는 비정규직 문제와 함께 우리 사회가 반드시 풀어야만 하는 과제입니다.
KBS뉴스 박정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특수 고용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