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생활 속의 유비쿼터스 시리즈 오늘은 마지막으로 첨단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우리의 미래 가정생활이 어느 수준까지 발전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이재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욕실에서 주부가 거울을 통해 날씨와 뉴스를 검색하고 있습니다.
뒷 모습까지 볼 수 있는 거울을 통해 화장을 한 뒤, 욕실에서 곧바로 가족들에게 식사시간이 됐음을 알립니다.
아이는 양치질을 하면서 거울을 통해 에니메이션을 즐깁니다.
벽면의 TV는 화면 색조에 맞게 비슷한 색조의 조명을 투사해 눈의 피로를 최대한 줄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장 필립 페린(필립스 이사) : "저희 시스템의 장점은 가전제품들을 눈에 띄지 않게 아주 단순화시켜서 쉽게,그리고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거실 벽이 스크린으로 변해 자녀들에게 실감나게 동화도 들려줄 수 있습니다.
거울에 비친 여러가지 옷 가운데 하나를 고르면 옷장 문이 자동으로 열리면서 옷에 어울리는 구두와 가방까지 제공됩니다.
집 안에서 TV를 보면서 자녀가 어디에서 놀고 있는지 알 수 있고, 대화까지도 가능합니다.
또 외출했을 때 집에 도둑이 침입하면 경보와 함께 휴대전화 상에 도둑의 모습까지도 선명한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휴대전화와 집의 인터넷전화로 서로 얼굴을 보면서 하는 화상 대화도 자연스런 일이 됐습니다.
<인터뷰>엄주욱(KT 브로드밴드 팀장) : "미래 주택은 단순 주거공간을 벗어나서 자동화되고 정보화되면서 더욱 편리한 다목적 생활공간으로 무한 발전할 것으로 봅니다."
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통신과 방송,건설과 가전이 결합돼 관련산업의 신규 수요 창출 효과가 커 오는 2010 년에는 110조 원의 경제 유발 효과가 기대됩니다.
정부는 2008 년까지 전체 가구의 60 %인 천만 가구에 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급하고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출까지 추진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재호입니다.
생활 속의 유비쿼터스 시리즈 오늘은 마지막으로 첨단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우리의 미래 가정생활이 어느 수준까지 발전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이재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욕실에서 주부가 거울을 통해 날씨와 뉴스를 검색하고 있습니다.
뒷 모습까지 볼 수 있는 거울을 통해 화장을 한 뒤, 욕실에서 곧바로 가족들에게 식사시간이 됐음을 알립니다.
아이는 양치질을 하면서 거울을 통해 에니메이션을 즐깁니다.
벽면의 TV는 화면 색조에 맞게 비슷한 색조의 조명을 투사해 눈의 피로를 최대한 줄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장 필립 페린(필립스 이사) : "저희 시스템의 장점은 가전제품들을 눈에 띄지 않게 아주 단순화시켜서 쉽게,그리고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거실 벽이 스크린으로 변해 자녀들에게 실감나게 동화도 들려줄 수 있습니다.
거울에 비친 여러가지 옷 가운데 하나를 고르면 옷장 문이 자동으로 열리면서 옷에 어울리는 구두와 가방까지 제공됩니다.
집 안에서 TV를 보면서 자녀가 어디에서 놀고 있는지 알 수 있고, 대화까지도 가능합니다.
또 외출했을 때 집에 도둑이 침입하면 경보와 함께 휴대전화 상에 도둑의 모습까지도 선명한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휴대전화와 집의 인터넷전화로 서로 얼굴을 보면서 하는 화상 대화도 자연스런 일이 됐습니다.
<인터뷰>엄주욱(KT 브로드밴드 팀장) : "미래 주택은 단순 주거공간을 벗어나서 자동화되고 정보화되면서 더욱 편리한 다목적 생활공간으로 무한 발전할 것으로 봅니다."
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통신과 방송,건설과 가전이 결합돼 관련산업의 신규 수요 창출 효과가 커 오는 2010 년에는 110조 원의 경제 유발 효과가 기대됩니다.
정부는 2008 년까지 전체 가구의 60 %인 천만 가구에 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급하고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출까지 추진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재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꿈의 주택’ 눈앞
-
- 입력 2006-02-24 07:23:43
- 수정2006-02-24 09:55:07

<앵커 멘트>
생활 속의 유비쿼터스 시리즈 오늘은 마지막으로 첨단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우리의 미래 가정생활이 어느 수준까지 발전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이재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욕실에서 주부가 거울을 통해 날씨와 뉴스를 검색하고 있습니다.
뒷 모습까지 볼 수 있는 거울을 통해 화장을 한 뒤, 욕실에서 곧바로 가족들에게 식사시간이 됐음을 알립니다.
아이는 양치질을 하면서 거울을 통해 에니메이션을 즐깁니다.
벽면의 TV는 화면 색조에 맞게 비슷한 색조의 조명을 투사해 눈의 피로를 최대한 줄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장 필립 페린(필립스 이사) : "저희 시스템의 장점은 가전제품들을 눈에 띄지 않게 아주 단순화시켜서 쉽게,그리고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거실 벽이 스크린으로 변해 자녀들에게 실감나게 동화도 들려줄 수 있습니다.
거울에 비친 여러가지 옷 가운데 하나를 고르면 옷장 문이 자동으로 열리면서 옷에 어울리는 구두와 가방까지 제공됩니다.
집 안에서 TV를 보면서 자녀가 어디에서 놀고 있는지 알 수 있고, 대화까지도 가능합니다.
또 외출했을 때 집에 도둑이 침입하면 경보와 함께 휴대전화 상에 도둑의 모습까지도 선명한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휴대전화와 집의 인터넷전화로 서로 얼굴을 보면서 하는 화상 대화도 자연스런 일이 됐습니다.
<인터뷰>엄주욱(KT 브로드밴드 팀장) : "미래 주택은 단순 주거공간을 벗어나서 자동화되고 정보화되면서 더욱 편리한 다목적 생활공간으로 무한 발전할 것으로 봅니다."
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통신과 방송,건설과 가전이 결합돼 관련산업의 신규 수요 창출 효과가 커 오는 2010 년에는 110조 원의 경제 유발 효과가 기대됩니다.
정부는 2008 년까지 전체 가구의 60 %인 천만 가구에 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급하고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출까지 추진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재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유비쿼터스’ 현실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