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태그(RFID)

입력 2006.02.22 (08:32) 수정 2006.02.22 (09: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생활 속의 유비쿼터스 오늘은 3번째로 RFID,즉 전자 태그에 대해 알아봅니다.

RFID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식 기술로 물류와 쇼핑,식.의약품, 교통 안전 등에 속속 응용되고 있습니다.

이재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공장에서 생산한 물건들이 물류창고에 속속 도착하고 있습니다.

정문에 설치된 무선통신 인식 기술인 RFID를 이용하기때문에 차량이 지나가면 전체 물건 정보를 곧바로 알 수 있습니다.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창고에 들어가는 물건들도 1초에 20개 씩 빠르게 인식하는 RFID 리더기를 통해 자동 분류됩니다.

물류창고 안에서도 2~3 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리더기를 한번 훑어주면 20여 개의 물건이 한꺼번에 인식됩니다.

이런 각종 물류 정보들은 이 곳 종합상황실에 실시간으로 자동 취합돼 신속.정확한 주문과 배송이 이뤄지게 됩니다.

<인터뷰> 방채원 : "소비자 측면에서는 물건을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받아볼 수 있으며 국가적으로는 물류비가 획기적으로 감소함으로 인하여 국가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고 봅니다."

장을 볼 때도 물건을 고르면 RFID를 통해 생산자와 재배 과정,출하 날짜 등 생산 정보를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또 장을 본 물건을 갖고 계산대를 그대로 통과하면 전자태그가 자동으로 인식해 모든 계산이 끝나게 됩니다.

시각 장애인들은 보도 블럭과 자신의 지팡이에 내장된 RFID 칩이 서로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을 이용해 혼자서도 안전하게 걸을 수 있습니다.

약품에 대면 무슨 약인지,그리고 유통 기한이 지나지는 않았는지 우리말 음성으로 자세하게 알려줍니다.

<현장화면> "이 약은 유통기한이 지났습니다."

<인터뷰> 사카누마 켄 : "모든 것에 RFID가 부착되는 것은 10 년 뒤에나 가능합니다. 내년부터는 실제 긴급한 것부터 RFID 칩이 부착되기 시작할 것입니다."

이 RFID 기술은 응용 분야가 무궁 무진해 생활 구석구석 안 쓰이는 곳이 없게 됩니다.

오는 2010 년 5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RFID 시장 선점을 놓고 세계는 지금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재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자 태그(RFID)
    • 입력 2006-02-22 07:11:52
    • 수정2006-02-22 09:20:50
    뉴스광장
<앵커 멘트> 생활 속의 유비쿼터스 오늘은 3번째로 RFID,즉 전자 태그에 대해 알아봅니다. RFID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식 기술로 물류와 쇼핑,식.의약품, 교통 안전 등에 속속 응용되고 있습니다. 이재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공장에서 생산한 물건들이 물류창고에 속속 도착하고 있습니다. 정문에 설치된 무선통신 인식 기술인 RFID를 이용하기때문에 차량이 지나가면 전체 물건 정보를 곧바로 알 수 있습니다.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창고에 들어가는 물건들도 1초에 20개 씩 빠르게 인식하는 RFID 리더기를 통해 자동 분류됩니다. 물류창고 안에서도 2~3 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리더기를 한번 훑어주면 20여 개의 물건이 한꺼번에 인식됩니다. 이런 각종 물류 정보들은 이 곳 종합상황실에 실시간으로 자동 취합돼 신속.정확한 주문과 배송이 이뤄지게 됩니다. <인터뷰> 방채원 : "소비자 측면에서는 물건을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받아볼 수 있으며 국가적으로는 물류비가 획기적으로 감소함으로 인하여 국가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고 봅니다." 장을 볼 때도 물건을 고르면 RFID를 통해 생산자와 재배 과정,출하 날짜 등 생산 정보를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또 장을 본 물건을 갖고 계산대를 그대로 통과하면 전자태그가 자동으로 인식해 모든 계산이 끝나게 됩니다. 시각 장애인들은 보도 블럭과 자신의 지팡이에 내장된 RFID 칩이 서로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을 이용해 혼자서도 안전하게 걸을 수 있습니다. 약품에 대면 무슨 약인지,그리고 유통 기한이 지나지는 않았는지 우리말 음성으로 자세하게 알려줍니다. <현장화면> "이 약은 유통기한이 지났습니다." <인터뷰> 사카누마 켄 : "모든 것에 RFID가 부착되는 것은 10 년 뒤에나 가능합니다. 내년부터는 실제 긴급한 것부터 RFID 칩이 부착되기 시작할 것입니다." 이 RFID 기술은 응용 분야가 무궁 무진해 생활 구석구석 안 쓰이는 곳이 없게 됩니다. 오는 2010 년 5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RFID 시장 선점을 놓고 세계는 지금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재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