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점검 현장을 가다] 방화 셔터·비상구 제 기능 못 해

입력 2014.09.02 (21:32) 수정 2014.09.03 (22: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안전 점검 연속 기획, 오늘은 그 두 번째 시간입니다.

터미널이나 쇼핑몰처럼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곳에서 평소 화재 대비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살펴봤더니, 상당수의 방화 셔터나 비상구가 제 기능을 못하고 있었습니다.

정새배 기자입니다.

<리포트>

120여 명의 사상자가 난 지난 5월 경기도 고양 터미널 화재.

유독 가스 확산을 막는 방화 셔터가 작동하지 않아 피해가 커졌습니다.

2년 전 9명이 숨진 부산 노래방 화재때는 비상구가 무용지물이었습니다.

서울의 한 복합 상가의 화재 대비 태세를 점검해 봤습니다.

화재 시 방화 셔터가 내려와야 할 곳을 진열된 옷들이 가로막고 있습니다.

항상 닫혀 있어야 할 방화문은 열려 있고, 소화기는 제자리를 벗어나 엉뚱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화재 시 불길과 연기의 차단이 불가능한 상탭니다.

<녹취> 상가 관계자 : "저희는 닫으라고 해도 열어 놓는...그건 어떻게 방법이 없는데. 24시간 붙어 있을 수는 없으니까."

비상구 관리도 엉터리입니다.

비상구 표시등을 따라가봤더니 출구가 아닌 안경점을 거쳐 막다른 장소로 이어집니다.

다른 층의 표시등도 엉뚱한 곳으로 안내하긴 마찬가집니다.

어렵게 비상계단 입구까지 도착한다 해도 탈출은 쉽지 않습니다.

이처럼 비상계단을 따라 대피한다 하더라도 비상구 표시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번에는 평일에도 수백 명이 이용하는 클럽을 점검해봤습니다.

비상구 표시를 따라갔더니 평소엔 쓰지 않는다며, 가로막습니다.

<녹취> 클럽 관리자 : "거기 아니에요.입구는 여기 하나에요"

또 다른 클럽은 비상계단에 맥주통이 가득해 신속한 탈출을 방해합니다.

이렇게 비상구 사용이 어려우면, 화재 시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대피 시뮬레이션 실험을 해봤습니다.

비상구가 2개인 건물에서 하나가 막힌 상황을 상정하고, 건물 면적을 고려해 700명이 대피하는 데 걸린 시간을 계산하니 12분이 나왔습니다.

화재 시 구조 한계 시간인 5분을 2배 이상 넘겼습니다.

<인터뷰> 이영주(시립대교수) : "피난 출구 주변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등의 관리적인 측면은 항상 신경을 써야 될 것 으로 판단이 되고요"

지난 한해 동안만 다중이용업소 화재로 4백여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안전점검 현장을 가다] 방화 셔터·비상구 제 기능 못 해
    • 입력 2014-09-02 21:34:08
    • 수정2014-09-03 22:21:28
    뉴스 9
<앵커 멘트>

안전 점검 연속 기획, 오늘은 그 두 번째 시간입니다.

터미널이나 쇼핑몰처럼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곳에서 평소 화재 대비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살펴봤더니, 상당수의 방화 셔터나 비상구가 제 기능을 못하고 있었습니다.

정새배 기자입니다.

<리포트>

120여 명의 사상자가 난 지난 5월 경기도 고양 터미널 화재.

유독 가스 확산을 막는 방화 셔터가 작동하지 않아 피해가 커졌습니다.

2년 전 9명이 숨진 부산 노래방 화재때는 비상구가 무용지물이었습니다.

서울의 한 복합 상가의 화재 대비 태세를 점검해 봤습니다.

화재 시 방화 셔터가 내려와야 할 곳을 진열된 옷들이 가로막고 있습니다.

항상 닫혀 있어야 할 방화문은 열려 있고, 소화기는 제자리를 벗어나 엉뚱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화재 시 불길과 연기의 차단이 불가능한 상탭니다.

<녹취> 상가 관계자 : "저희는 닫으라고 해도 열어 놓는...그건 어떻게 방법이 없는데. 24시간 붙어 있을 수는 없으니까."

비상구 관리도 엉터리입니다.

비상구 표시등을 따라가봤더니 출구가 아닌 안경점을 거쳐 막다른 장소로 이어집니다.

다른 층의 표시등도 엉뚱한 곳으로 안내하긴 마찬가집니다.

어렵게 비상계단 입구까지 도착한다 해도 탈출은 쉽지 않습니다.

이처럼 비상계단을 따라 대피한다 하더라도 비상구 표시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번에는 평일에도 수백 명이 이용하는 클럽을 점검해봤습니다.

비상구 표시를 따라갔더니 평소엔 쓰지 않는다며, 가로막습니다.

<녹취> 클럽 관리자 : "거기 아니에요.입구는 여기 하나에요"

또 다른 클럽은 비상계단에 맥주통이 가득해 신속한 탈출을 방해합니다.

이렇게 비상구 사용이 어려우면, 화재 시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대피 시뮬레이션 실험을 해봤습니다.

비상구가 2개인 건물에서 하나가 막힌 상황을 상정하고, 건물 면적을 고려해 700명이 대피하는 데 걸린 시간을 계산하니 12분이 나왔습니다.

화재 시 구조 한계 시간인 5분을 2배 이상 넘겼습니다.

<인터뷰> 이영주(시립대교수) : "피난 출구 주변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등의 관리적인 측면은 항상 신경을 써야 될 것 으로 판단이 되고요"

지난 한해 동안만 다중이용업소 화재로 4백여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시리즈

안전점검 현장을 가다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