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 국민연금 수급자 절반, 40만 원도 못 받아…최상목 “연금개혁 시급”

입력 2025.02.11 (21:47) 수정 2025.02.11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초고령사회 연속 보도, 오늘(11일)은 국민연금 문제 짚어봅니다.

현재 국민연금 수급자의 절반가량은 한 달에 40만 원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을 내는 사람은 줄고, 받아야 할 사람은 늘면서 기금 소진 우려도 꾸준히 제기되는데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연금 개혁이 시급하다며 여야 합의를 촉구했습니다.

홍성희 기잡니다.

[리포트]

복지관에서 만난 어르신들, 기댈 건 국민연금뿐인데 살기가 빠듯하다고 하소연합니다.

[A 씨/78살 : "27만 원 정도던가. 기간도 짧고 금액도 조금 부어서 그렇게 타고 있어요."]

[B 씨/81살 : "그냥 그걸(국민연금)로 어영부영 사는 거지. 의료비가 좀 부담되지만, 그것도 병원 안 다닐 수도 없고."]

국민연금 수급자는 전국에 695만여 명.

이 가운데 절반가량인 349만 명은 매달 수령액이 40만 원도 안 됩니다.

게다가 연금 수령액이 생애 평균소득의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실질 소득대체율은 31%로, OECD 평균보다 10%포인트 이상 낮습니다.

저출생과 고령화 여파로 보험료를 내는 가입자는 1년 전보다 57만 명 줄었지만, 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41만 명 늘었습니다.

국민연금 개혁이 미뤄진다면 이런 추세는 가속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주은선/경기대 사회복지학 교수 : "국민연금을 받아도 중위소득의 50%, 즉 빈곤선에 크게 못 미친다, 즉 국민연금으로 노후 빈곤 예방 효과를 제대로 거두기가 상당히 어렵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도 연금 개혁은 하루가 급하다며 이달 중 합의안을 내달라고 국회에 촉구했습니다.

[최상목/대통령 권한대행 : "국민연금이 지금처럼 운영된다면 2041년에 적자로 전환되고 2056년에는 기금이 완전히 소진될 것입니다."]

여야는 시급성에 공감하지만, 탄핵 정국 속 신경전을 이어가며 논의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간 18년 만의 연금 개혁이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촬영기자:왕인흡/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초고령] 국민연금 수급자 절반, 40만 원도 못 받아…최상목 “연금개혁 시급”
    • 입력 2025-02-11 21:47:24
    • 수정2025-02-11 22:09:54
    뉴스 9
[앵커]

초고령사회 연속 보도, 오늘(11일)은 국민연금 문제 짚어봅니다.

현재 국민연금 수급자의 절반가량은 한 달에 40만 원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을 내는 사람은 줄고, 받아야 할 사람은 늘면서 기금 소진 우려도 꾸준히 제기되는데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연금 개혁이 시급하다며 여야 합의를 촉구했습니다.

홍성희 기잡니다.

[리포트]

복지관에서 만난 어르신들, 기댈 건 국민연금뿐인데 살기가 빠듯하다고 하소연합니다.

[A 씨/78살 : "27만 원 정도던가. 기간도 짧고 금액도 조금 부어서 그렇게 타고 있어요."]

[B 씨/81살 : "그냥 그걸(국민연금)로 어영부영 사는 거지. 의료비가 좀 부담되지만, 그것도 병원 안 다닐 수도 없고."]

국민연금 수급자는 전국에 695만여 명.

이 가운데 절반가량인 349만 명은 매달 수령액이 40만 원도 안 됩니다.

게다가 연금 수령액이 생애 평균소득의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실질 소득대체율은 31%로, OECD 평균보다 10%포인트 이상 낮습니다.

저출생과 고령화 여파로 보험료를 내는 가입자는 1년 전보다 57만 명 줄었지만, 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41만 명 늘었습니다.

국민연금 개혁이 미뤄진다면 이런 추세는 가속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주은선/경기대 사회복지학 교수 : "국민연금을 받아도 중위소득의 50%, 즉 빈곤선에 크게 못 미친다, 즉 국민연금으로 노후 빈곤 예방 효과를 제대로 거두기가 상당히 어렵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도 연금 개혁은 하루가 급하다며 이달 중 합의안을 내달라고 국회에 촉구했습니다.

[최상목/대통령 권한대행 : "국민연금이 지금처럼 운영된다면 2041년에 적자로 전환되고 2056년에는 기금이 완전히 소진될 것입니다."]

여야는 시급성에 공감하지만, 탄핵 정국 속 신경전을 이어가며 논의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간 18년 만의 연금 개혁이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촬영기자:왕인흡/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여현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