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시위 문화 바뀌어야

입력 2005.12.29 (22:13)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허청장의 자진사퇴로 농민 사망 파문이 일단락되는 계기가 마련됐지만 시위문화가 바로서지 않으면 이같은 일이 또 일어날 수 있습니다.
폭력시위, 또 강경진압을 없애는 방안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조종옥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사퇴를 결심하고 출근하는 길에, 허준영 청장은 언론에 대한 서운한 감정을 그대로 드러냅니다.

<인터뷰>허준영 (경찰청장): "언론이 제대로 안해주니까 아무말도 하지 않겠습니다."

언론이, 경찰의 과잉진압만 부각했을 뿐, 원인이 됐던 불법 폭력 시위는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또 농민 2명이 숨진 것만 강조하고 농민들의 폭행으로 진압 경찰 200여명이 다친 사실은 애써 외면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허 청장의 퇴진을 놓고 네티즌과 정치권 일부에서 동정론이 일고 있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인터뷰>이계진 (한나라당 대변인): " 경찰청장은 질서유지를 위해 공권력을 집행했을 뿐이므로 이번 일에 책임이 없다고 봅니다."

갈수록 격렬해지는 폭력 시위 문화에 외국인들도 혀를 내두르고 있습니다.

주한 외국 대사들은 하나같이, 지난달 15일의 농민집회에 대해 걱정과 놀라움을 가득 담은 보고서를 본국에 보냈습니다.

<인터뷰>조현오 (경찰청 외사관리관): " 우리 시위대가 천명이나 홍콩에서 연행된 걸 보면 우리 시위가 얼마나 글로벌 스탠다드에 뒤지는지 알 수 있습니다."

경찰 내부에서는 경찰청장의 중도 퇴진으로 자칫, 폭력 시위가 만성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98년 무최루탄 원칙이 채택된 이후, 불붙은 LP 가스통까지 나뒹구는 집회 현장에서 진압 대원들이 사용할 수 있는 합법적인 장비는 방패와 곤봉 뿐.

그러다보니, 시위대의 폭력에 맞서 방패를 휘두르는 일이 다반사가 돼 왔습니다.

찻길을 가로막고 인도에 천막을 치고 확성기를 마구 틀어대는 불법 행위를 해도 처벌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인터뷰>김유한 (이화여대 교수): "새로운 시대에 있어서는 시위문화도 새롭게 정립돼야 한다고 봅니다."

법과 제도의 틀 속에서 자신의 주장을 펼쳐나가는 쪽으로 시위문화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공권력도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현장에서의 진압보다는 법규 위반자를 사후에 법에 따라 처벌하는 최근 홍콩 경찰의 사례는 공권력 집행의 좋은 본보기로 꼽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종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시위 문화 바뀌어야
    • 입력 2005-12-29 21:14:43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멘트> 허청장의 자진사퇴로 농민 사망 파문이 일단락되는 계기가 마련됐지만 시위문화가 바로서지 않으면 이같은 일이 또 일어날 수 있습니다. 폭력시위, 또 강경진압을 없애는 방안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조종옥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사퇴를 결심하고 출근하는 길에, 허준영 청장은 언론에 대한 서운한 감정을 그대로 드러냅니다. <인터뷰>허준영 (경찰청장): "언론이 제대로 안해주니까 아무말도 하지 않겠습니다." 언론이, 경찰의 과잉진압만 부각했을 뿐, 원인이 됐던 불법 폭력 시위는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또 농민 2명이 숨진 것만 강조하고 농민들의 폭행으로 진압 경찰 200여명이 다친 사실은 애써 외면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허 청장의 퇴진을 놓고 네티즌과 정치권 일부에서 동정론이 일고 있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인터뷰>이계진 (한나라당 대변인): " 경찰청장은 질서유지를 위해 공권력을 집행했을 뿐이므로 이번 일에 책임이 없다고 봅니다." 갈수록 격렬해지는 폭력 시위 문화에 외국인들도 혀를 내두르고 있습니다. 주한 외국 대사들은 하나같이, 지난달 15일의 농민집회에 대해 걱정과 놀라움을 가득 담은 보고서를 본국에 보냈습니다. <인터뷰>조현오 (경찰청 외사관리관): " 우리 시위대가 천명이나 홍콩에서 연행된 걸 보면 우리 시위가 얼마나 글로벌 스탠다드에 뒤지는지 알 수 있습니다." 경찰 내부에서는 경찰청장의 중도 퇴진으로 자칫, 폭력 시위가 만성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98년 무최루탄 원칙이 채택된 이후, 불붙은 LP 가스통까지 나뒹구는 집회 현장에서 진압 대원들이 사용할 수 있는 합법적인 장비는 방패와 곤봉 뿐. 그러다보니, 시위대의 폭력에 맞서 방패를 휘두르는 일이 다반사가 돼 왔습니다. 찻길을 가로막고 인도에 천막을 치고 확성기를 마구 틀어대는 불법 행위를 해도 처벌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인터뷰>김유한 (이화여대 교수): "새로운 시대에 있어서는 시위문화도 새롭게 정립돼야 한다고 봅니다." 법과 제도의 틀 속에서 자신의 주장을 펼쳐나가는 쪽으로 시위문화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공권력도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현장에서의 진압보다는 법규 위반자를 사후에 법에 따라 처벌하는 최근 홍콩 경찰의 사례는 공권력 집행의 좋은 본보기로 꼽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종옥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