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미국과 북한은 명분과 실리를 주고 받으면서 이번 타협을 이끌어냈습니다.
중국도 중재자 역할을 과시했는데, 세나라의 셈법을 김태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북한은 실리를, 미국은 명분을 주고받았습니다. 법 집행의 문제라던 '미국'이 인도적 쓰임을 전제로 전면해제를 결정, 불법은 없었다며 버티던 '북한'이 이를 수용한 것은 절충의 결과였습니다.
풀린 돈을 중국내 은행으로 이체하기로 한 것도 윈윈의 결과로 받아들여집니다.
북한으로선 향후 대외 금융거래의 숨통을 틔웠고, 미국은 불법 혐의자에게 직접 자금을 전달하지 않는 선에서 체면을 세웠습니다.
애초 국무부와 달리 강력응징 쪽이었던 미 재무부, 그러나, 예상외의 거센 반발에 북한 자금의 과거는 묻지 않겠지만, 은행의 불법 행위는 용납 않는다는 분리 대응 방안을 받아들였습니다.
<인터뷰>(글레이져 미 재무부 부차관보): "(이번 조치와는) 별개로 애국법 311조에 따라 재무부가 BDA에 내린 최종 결정은 유효합니다."
6자회담을 위해 베이징에 도착한 김계관 부상은 완전해제를 요구하며 두문불출, 또한번의 벼랑끝 전술을 구사했습니다.
<인터뷰>(김계관)<북한 외무성 부상>: "BDA가 전액 해제되기 전에는 핵시설 가동중단 들어가지 않을 것"
중국은 이번에도 양측을 오가며 타협안을 만들어냈고 여전한 대북 영향력을 보여줬습니다.
이번 타협에는 이 문제로 판을 깰 수는 없다는 세나라 모두의 판단이 깔려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김태선입니다.
미국과 북한은 명분과 실리를 주고 받으면서 이번 타협을 이끌어냈습니다.
중국도 중재자 역할을 과시했는데, 세나라의 셈법을 김태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북한은 실리를, 미국은 명분을 주고받았습니다. 법 집행의 문제라던 '미국'이 인도적 쓰임을 전제로 전면해제를 결정, 불법은 없었다며 버티던 '북한'이 이를 수용한 것은 절충의 결과였습니다.
풀린 돈을 중국내 은행으로 이체하기로 한 것도 윈윈의 결과로 받아들여집니다.
북한으로선 향후 대외 금융거래의 숨통을 틔웠고, 미국은 불법 혐의자에게 직접 자금을 전달하지 않는 선에서 체면을 세웠습니다.
애초 국무부와 달리 강력응징 쪽이었던 미 재무부, 그러나, 예상외의 거센 반발에 북한 자금의 과거는 묻지 않겠지만, 은행의 불법 행위는 용납 않는다는 분리 대응 방안을 받아들였습니다.
<인터뷰>(글레이져 미 재무부 부차관보): "(이번 조치와는) 별개로 애국법 311조에 따라 재무부가 BDA에 내린 최종 결정은 유효합니다."
6자회담을 위해 베이징에 도착한 김계관 부상은 완전해제를 요구하며 두문불출, 또한번의 벼랑끝 전술을 구사했습니다.
<인터뷰>(김계관)<북한 외무성 부상>: "BDA가 전액 해제되기 전에는 핵시설 가동중단 들어가지 않을 것"
중국은 이번에도 양측을 오가며 타협안을 만들어냈고 여전한 대북 영향력을 보여줬습니다.
이번 타협에는 이 문제로 판을 깰 수는 없다는 세나라 모두의 판단이 깔려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김태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미·중 각각의 셈법은?
-
- 입력 2007-03-19 21:04:49

<앵커 멘트>
미국과 북한은 명분과 실리를 주고 받으면서 이번 타협을 이끌어냈습니다.
중국도 중재자 역할을 과시했는데, 세나라의 셈법을 김태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북한은 실리를, 미국은 명분을 주고받았습니다. 법 집행의 문제라던 '미국'이 인도적 쓰임을 전제로 전면해제를 결정, 불법은 없었다며 버티던 '북한'이 이를 수용한 것은 절충의 결과였습니다.
풀린 돈을 중국내 은행으로 이체하기로 한 것도 윈윈의 결과로 받아들여집니다.
북한으로선 향후 대외 금융거래의 숨통을 틔웠고, 미국은 불법 혐의자에게 직접 자금을 전달하지 않는 선에서 체면을 세웠습니다.
애초 국무부와 달리 강력응징 쪽이었던 미 재무부, 그러나, 예상외의 거센 반발에 북한 자금의 과거는 묻지 않겠지만, 은행의 불법 행위는 용납 않는다는 분리 대응 방안을 받아들였습니다.
<인터뷰>(글레이져 미 재무부 부차관보): "(이번 조치와는) 별개로 애국법 311조에 따라 재무부가 BDA에 내린 최종 결정은 유효합니다."
6자회담을 위해 베이징에 도착한 김계관 부상은 완전해제를 요구하며 두문불출, 또한번의 벼랑끝 전술을 구사했습니다.
<인터뷰>(김계관)<북한 외무성 부상>: "BDA가 전액 해제되기 전에는 핵시설 가동중단 들어가지 않을 것"
중국은 이번에도 양측을 오가며 타협안을 만들어냈고 여전한 대북 영향력을 보여줬습니다.
이번 타협에는 이 문제로 판을 깰 수는 없다는 세나라 모두의 판단이 깔려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김태선입니다.
-
-
김태선 기자 tskim0369@gmail.com
김태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핵 6자회담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