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② 북핵 신고 임박…향후 일정은?
입력 2008.04.29 (22:07)
수정 2008.04.29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런 분위기 속에 이제 관심은 북한의 핵 신고 내용에 쏠리고 있습니다.
어느 수준의 신고가 이뤄지느냐가 향후 일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정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미, 북-중 네 나라는 약속이나 한 듯, 한 목소리로 6자회담 진전을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시리아 핵 협력 확인 발표에 침묵함으로써 미국의 체면을 세워줬습니다.
<인터뷰> 김성배(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 "북한이 시리아 핵 협력 의혹에 입을 다물고 있었다는 자체가 긍정적 신호로 보여진다."
미국 정부는 핵 협력은 과거의 일로, 이제 핵 폐기라는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며 국내 강경파를 다독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조민(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미국은 부시 행정부 임기 내에 비핵화하려고 하고, 북한도 2단계 비핵화를 빨리 이루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걸림돌이 많습니다.
우선, 조만간 있을 북한의 핵 신고서 내용입니다.
미국은 우라늄 농축과 핵 협력 부분에선 낮은 수준에서 신고를 받되, 플루토늄에 관해서는 강도 높은 신고를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철저한 검증의 잣대를 들이대, 미국 의회나 행정부의 대북 강경 여론을 누그러뜨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핵 신고 즈음에 착수할 테러지원국 해제 절차에서, 미 의회에 발목이 잡힐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얼마나 성의있는 신고를 하느냐에 따라 사실상 올해 실현 가능한 목표인 2단계 비핵화 마무리의 성공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 이제 관심은 북한의 핵 신고 내용에 쏠리고 있습니다.
어느 수준의 신고가 이뤄지느냐가 향후 일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정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미, 북-중 네 나라는 약속이나 한 듯, 한 목소리로 6자회담 진전을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시리아 핵 협력 확인 발표에 침묵함으로써 미국의 체면을 세워줬습니다.
<인터뷰> 김성배(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 "북한이 시리아 핵 협력 의혹에 입을 다물고 있었다는 자체가 긍정적 신호로 보여진다."
미국 정부는 핵 협력은 과거의 일로, 이제 핵 폐기라는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며 국내 강경파를 다독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조민(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미국은 부시 행정부 임기 내에 비핵화하려고 하고, 북한도 2단계 비핵화를 빨리 이루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걸림돌이 많습니다.
우선, 조만간 있을 북한의 핵 신고서 내용입니다.
미국은 우라늄 농축과 핵 협력 부분에선 낮은 수준에서 신고를 받되, 플루토늄에 관해서는 강도 높은 신고를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철저한 검증의 잣대를 들이대, 미국 의회나 행정부의 대북 강경 여론을 누그러뜨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핵 신고 즈음에 착수할 테러지원국 해제 절차에서, 미 의회에 발목이 잡힐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얼마나 성의있는 신고를 하느냐에 따라 사실상 올해 실현 가능한 목표인 2단계 비핵화 마무리의 성공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② 북핵 신고 임박…향후 일정은?
-
- 입력 2008-04-29 21:07:33
- 수정2008-04-29 22:20:56

<앵커 멘트>
이런 분위기 속에 이제 관심은 북한의 핵 신고 내용에 쏠리고 있습니다.
어느 수준의 신고가 이뤄지느냐가 향후 일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정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미, 북-중 네 나라는 약속이나 한 듯, 한 목소리로 6자회담 진전을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시리아 핵 협력 확인 발표에 침묵함으로써 미국의 체면을 세워줬습니다.
<인터뷰> 김성배(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 "북한이 시리아 핵 협력 의혹에 입을 다물고 있었다는 자체가 긍정적 신호로 보여진다."
미국 정부는 핵 협력은 과거의 일로, 이제 핵 폐기라는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며 국내 강경파를 다독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조민(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미국은 부시 행정부 임기 내에 비핵화하려고 하고, 북한도 2단계 비핵화를 빨리 이루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걸림돌이 많습니다.
우선, 조만간 있을 북한의 핵 신고서 내용입니다.
미국은 우라늄 농축과 핵 협력 부분에선 낮은 수준에서 신고를 받되, 플루토늄에 관해서는 강도 높은 신고를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철저한 검증의 잣대를 들이대, 미국 의회나 행정부의 대북 강경 여론을 누그러뜨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핵 신고 즈음에 착수할 테러지원국 해제 절차에서, 미 의회에 발목이 잡힐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얼마나 성의있는 신고를 하느냐에 따라 사실상 올해 실현 가능한 목표인 2단계 비핵화 마무리의 성공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
이정민 기자 mani@kbs.co.kr
이정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핵 6자회담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