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역사부정 실체]③ 日-美-韓 역사수정주의 ‘문옥주 왜곡’…“이쯤 되면 복사”

입력 2021.04.12 (08:00) 수정 2021.04.13 (1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 시작된 위안부 역사부정은 한국, 미국으로 확산했다. 그들의 주장은 마치 복사해 붙인 것처럼 똑같다. "위안부는 성 노예가 아니라 자유인이었다" "위안소는 공창제라는 매춘 역사의 일부다" "위안부는 높은 수익을 올렸다."

역사부정주의자들은 위안부 증언을 "구름 잡는 이야기"라며 진실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자신들의 논리를 풀어갈 때는 증언을 '대목, 대목' 잘라 인용한다. 증언의 전체 맥락을 왜곡하는 절취다.

일본, 한국, 미국의 역사수정주의자들이 왜곡하는 대표적 증언이 고 문옥주 할머니 이야기다. 일본 하타 이쿠히코 <위안부와 전장의 성, 1999년>을 시작으로, 한국 이영훈 전 교수 <반일 종족주의, 2019년>, 미국 램지어의 이번 논문 <태평양 전쟁 중 성을 위한 계약, 2021년>으로 이어진다.

그들은 할머니 증언을 어떻게 왜곡했을까? 그리고 문옥주가 실제 전한 말은 무엇이었을까?


■ "문옥주는 자유인이었다"

위안부 피해자 문옥주는 1924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일본인 작가 모리카와 마치코는 문옥주와 3년간의 인터뷰를 토대로 <문옥주, 버마전선 방패사단의 위안부였던 나>라는 기록을 남겼다. 이 책은 한국에서도 발간됐다.


16살이던 1940년, 문옥주는 귀가 중 헌병대에게 붙잡혀 위안부로 끌려간다. 중국과 미얀마에서 성 노예 생활을 하던 그녀는 전쟁이 끝난 1946년 귀환했다. 그녀의 귀환을 두고 하타 이쿠히코는 이렇게 설명한다.

"미얀마의 문옥주도 동료와 귀향하기 위해 사이공까지 갔다가, 항해가 위험한 것 같다고 판단, 중지하고 돌아갔다는 것에서 전쟁 중에 일을 그만두고 고국에 돌아간 위안부는 적지 않았다고 생각한다."(위안부와 전장의 성, 395쪽, 1999년)

이영훈은 여기에 더해 문옥주가 성 노예는 커녕 '제국의 위안부'라는 책무를 인식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문옥주와 위안부 일동은 "우리도 일본인이다. 창녀가 아니다. 일본군을 위안하는 신성한 책무를 부여받은 제국의 위안부다"라는 의식을 가졌습니다.”(반일 종족주의 326쪽, 2019)

두 사람은 문옥주가 증언한 미얀마 탈출기, 그리고 군사 법정 진술을 가져와 마치 위안부가 언제든 귀환할 수 있었던 자유인, 또 위안부를 신성한 책무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문옥주는 돈을 많이 벌었다."

역사수정주의자들이 빼놓지 않는 주장 중의 하나가 위안부는 '돈을 많이 벌었던 자발적 매춘부'라는 주장이다.

하타 이쿠히코는 위안부가 일본 공창 수입의 5배 이상, 평양 유곽 여성보다 10배 이상 많은 돈을 벌었다며 그 사례로 문옥주 증언을 든다.

"문옥주의 경우는 잘 나가는 사람이었다는 것만으로 3년이 안 되어 2만 5천 엔을 저금하고, 그 가운데 5천 엔을 가족에게 송금했다. 지금이라면 1억 엔 전후의 큰돈이다." (위안부와 전장의 성, 392쪽)

램지어도 "계좌를 둔 한국인 위안부들 가운데, 가장 대담하게 잘했던 이는 문옥주 이었던 듯하다. 그녀는 자신의 회고록에 이렇게 기록했다."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문옥주 원본 증언집이 아닌 역사수정주의적 글만 게재하는 익명의 일베 같은 블로그에서 선별적으로 짜깁기되고 왜곡된 문옥주 증언을 든다.

"어머니에게 안락한 삶을 살게 해드릴 수 있을 거 같다. 나는 매우 행복하고 뿌듯했다. 저금통장은 나의 보물이 되었다."(태평양 전쟁 중 성을 위한 계약, 6쪽, 2021년)

일본군 위안부 故 문옥주 할머니일본군 위안부 故 문옥주 할머니

■ 문옥주가 실제 전한 말은?

먼저 문옥주가 미얀마 위안소를 어떻게 탈출할 수 있었는지 살펴보자

"손님으로 오는 군의관에게 이 문제에 대해 상의하였다. "귀국하기 위한 증명서가 필요한데요. 손에 넣을 수 없을까요?"라고, 그러자 그 군의관은 "내가 폐병이 났다는 진단서를 써주겠다. 건강해 보이면 거짓 진단서가 들통 나서 내 목이 날아가니 꼭 병자처럼 행동해요."라고 당부했다." <버마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 중에서

폐병에 걸려 군인들에게 병이나 옮기는 쓸모없는 몸을 만들지 않고서는 문옥주는 위안부 생활을 끝낼 수 없었다. 이것이 문옥주가 전하는 진심 아닐까?

그럼 문옥주는 "우리도 일본인이다. 창녀가 아니다" 이런 말은 군사 법정에서 또 왜 했을까? 문옥주는 위안소에서 칼을 빼 들고 행패를 부린 군인과 승강이를 벌이다 살해한다.

"조선인인 내가 일본 군인을 죽였으니 아무 일 없었던 것처럼 넘어가지 않을 것은 불을 보듯 훤했다. 어떻게 하지, 어떻게 하면 되지 ~~~~ 내가 그렇게 말했을 때 재판관은 고개를 끄덕였고, 순간적으로 얼굴색이 싹 변했다. 뭔가 좋은 느낌이 들었다." <버마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 중에서

문옥주가 '일본인'이라는 자의식을 갖고 "우리는 일본인이다."라고 발언했다고 읽히지 않는다. 그런데 역사수정주의자들은 그렇게 믿는다.

역사수정주의자들은 또 위안부 수입을 '오늘날의 가치' 운운하면서 '거액'이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 역시 위안부 전문가들 사이에선 재론의 여지 없는 터무니없는 주장으로 평가된다. KBS와 공동연구를 진행한 성공회대 강성현 교수는 당시 일본군 점령지에서 급격하게 치솟은 전시 초인플레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옥주의 군사우편저금 원부 조서문옥주의 군사우편저금 원부 조서

강 교수는 "1944년 4월과 5월 문옥주 저금액 20,560엔을 당시 도쿄의 엔화 가치로 환산해 보면 도쿄 물가지수는 152, 양곤은 30,629이어서, 문옥주 저금액이 도쿄에서는 102엔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오늘날의 가치'라는 분석 자체가 의미 없는 숫자 놀음이라는 거다. 그리고 무엇보다 문옥주는 이 돈마저 돌려받지 못했다.

"역사부정주의자들이야말로 1944-45년에 업자들이 아닌 일본군 '위안부'가 한 강제저축을 돌려받거나 집(조선)으로 송금했던 돈을 본가에서 인출한 사례를, 그것도 오늘날의 가치 운운할 만큼 '거액'의 사례를 근거로 들어 입증해야 한다."고 강 교수는 반론했다.


■ 위안부 증언을 어떻게 들을 것인가?

"일상이 전장이었으니 전쟁 또한 삶이었다. 살아남았으니 살고자 했다."는 말은 일본군 '위안부’ 증언을 어떻게 들을 것인가 많은 고민을 안겨준다.

문옥주 할머니 회고록 작가 모리카와는 1992년 문옥주가 코를 골며 자는 모습을 보고 감동을 하였다고 했다. 모리카와는 ""당신이 위안부였다는 사실은 당신 개인의 수치도, 당신 집안의 수치도, 동네의 수치도 아닙니다. 그것은 일본이 저지른 전쟁범죄였습니다."라고 말해주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썼다.

문옥주 할머니는 1996년 10월 26일 생을 달리했다. 영면에 든 할머니는 본인의 증언이 '대목, 대목' 잘려 찬탈되고 있다는 걸 알고 있을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日역사부정 실체]③ 日-美-韓 역사수정주의 ‘문옥주 왜곡’…“이쯤 되면 복사”
    • 입력 2021-04-12 08:00:29
    • 수정2021-04-13 19:26:55
    취재K
일본에서 시작된 위안부 역사부정은 한국, 미국으로 확산했다. 그들의 주장은 마치 복사해 붙인 것처럼 똑같다. "위안부는 성 노예가 아니라 자유인이었다" "위안소는 공창제라는 매춘 역사의 일부다" "위안부는 높은 수익을 올렸다."

역사부정주의자들은 위안부 증언을 "구름 잡는 이야기"라며 진실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자신들의 논리를 풀어갈 때는 증언을 '대목, 대목' 잘라 인용한다. 증언의 전체 맥락을 왜곡하는 절취다.

일본, 한국, 미국의 역사수정주의자들이 왜곡하는 대표적 증언이 고 문옥주 할머니 이야기다. 일본 하타 이쿠히코 <위안부와 전장의 성, 1999년>을 시작으로, 한국 이영훈 전 교수 <반일 종족주의, 2019년>, 미국 램지어의 이번 논문 <태평양 전쟁 중 성을 위한 계약, 2021년>으로 이어진다.

그들은 할머니 증언을 어떻게 왜곡했을까? 그리고 문옥주가 실제 전한 말은 무엇이었을까?


■ "문옥주는 자유인이었다"

위안부 피해자 문옥주는 1924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일본인 작가 모리카와 마치코는 문옥주와 3년간의 인터뷰를 토대로 <문옥주, 버마전선 방패사단의 위안부였던 나>라는 기록을 남겼다. 이 책은 한국에서도 발간됐다.


16살이던 1940년, 문옥주는 귀가 중 헌병대에게 붙잡혀 위안부로 끌려간다. 중국과 미얀마에서 성 노예 생활을 하던 그녀는 전쟁이 끝난 1946년 귀환했다. 그녀의 귀환을 두고 하타 이쿠히코는 이렇게 설명한다.

"미얀마의 문옥주도 동료와 귀향하기 위해 사이공까지 갔다가, 항해가 위험한 것 같다고 판단, 중지하고 돌아갔다는 것에서 전쟁 중에 일을 그만두고 고국에 돌아간 위안부는 적지 않았다고 생각한다."(위안부와 전장의 성, 395쪽, 1999년)

이영훈은 여기에 더해 문옥주가 성 노예는 커녕 '제국의 위안부'라는 책무를 인식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문옥주와 위안부 일동은 "우리도 일본인이다. 창녀가 아니다. 일본군을 위안하는 신성한 책무를 부여받은 제국의 위안부다"라는 의식을 가졌습니다.”(반일 종족주의 326쪽, 2019)

두 사람은 문옥주가 증언한 미얀마 탈출기, 그리고 군사 법정 진술을 가져와 마치 위안부가 언제든 귀환할 수 있었던 자유인, 또 위안부를 신성한 책무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문옥주는 돈을 많이 벌었다."

역사수정주의자들이 빼놓지 않는 주장 중의 하나가 위안부는 '돈을 많이 벌었던 자발적 매춘부'라는 주장이다.

하타 이쿠히코는 위안부가 일본 공창 수입의 5배 이상, 평양 유곽 여성보다 10배 이상 많은 돈을 벌었다며 그 사례로 문옥주 증언을 든다.

"문옥주의 경우는 잘 나가는 사람이었다는 것만으로 3년이 안 되어 2만 5천 엔을 저금하고, 그 가운데 5천 엔을 가족에게 송금했다. 지금이라면 1억 엔 전후의 큰돈이다." (위안부와 전장의 성, 392쪽)

램지어도 "계좌를 둔 한국인 위안부들 가운데, 가장 대담하게 잘했던 이는 문옥주 이었던 듯하다. 그녀는 자신의 회고록에 이렇게 기록했다."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문옥주 원본 증언집이 아닌 역사수정주의적 글만 게재하는 익명의 일베 같은 블로그에서 선별적으로 짜깁기되고 왜곡된 문옥주 증언을 든다.

"어머니에게 안락한 삶을 살게 해드릴 수 있을 거 같다. 나는 매우 행복하고 뿌듯했다. 저금통장은 나의 보물이 되었다."(태평양 전쟁 중 성을 위한 계약, 6쪽, 2021년)

일본군 위안부 故 문옥주 할머니
■ 문옥주가 실제 전한 말은?

먼저 문옥주가 미얀마 위안소를 어떻게 탈출할 수 있었는지 살펴보자

"손님으로 오는 군의관에게 이 문제에 대해 상의하였다. "귀국하기 위한 증명서가 필요한데요. 손에 넣을 수 없을까요?"라고, 그러자 그 군의관은 "내가 폐병이 났다는 진단서를 써주겠다. 건강해 보이면 거짓 진단서가 들통 나서 내 목이 날아가니 꼭 병자처럼 행동해요."라고 당부했다." <버마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 중에서

폐병에 걸려 군인들에게 병이나 옮기는 쓸모없는 몸을 만들지 않고서는 문옥주는 위안부 생활을 끝낼 수 없었다. 이것이 문옥주가 전하는 진심 아닐까?

그럼 문옥주는 "우리도 일본인이다. 창녀가 아니다" 이런 말은 군사 법정에서 또 왜 했을까? 문옥주는 위안소에서 칼을 빼 들고 행패를 부린 군인과 승강이를 벌이다 살해한다.

"조선인인 내가 일본 군인을 죽였으니 아무 일 없었던 것처럼 넘어가지 않을 것은 불을 보듯 훤했다. 어떻게 하지, 어떻게 하면 되지 ~~~~ 내가 그렇게 말했을 때 재판관은 고개를 끄덕였고, 순간적으로 얼굴색이 싹 변했다. 뭔가 좋은 느낌이 들었다." <버마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 중에서

문옥주가 '일본인'이라는 자의식을 갖고 "우리는 일본인이다."라고 발언했다고 읽히지 않는다. 그런데 역사수정주의자들은 그렇게 믿는다.

역사수정주의자들은 또 위안부 수입을 '오늘날의 가치' 운운하면서 '거액'이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 역시 위안부 전문가들 사이에선 재론의 여지 없는 터무니없는 주장으로 평가된다. KBS와 공동연구를 진행한 성공회대 강성현 교수는 당시 일본군 점령지에서 급격하게 치솟은 전시 초인플레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옥주의 군사우편저금 원부 조서
강 교수는 "1944년 4월과 5월 문옥주 저금액 20,560엔을 당시 도쿄의 엔화 가치로 환산해 보면 도쿄 물가지수는 152, 양곤은 30,629이어서, 문옥주 저금액이 도쿄에서는 102엔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오늘날의 가치'라는 분석 자체가 의미 없는 숫자 놀음이라는 거다. 그리고 무엇보다 문옥주는 이 돈마저 돌려받지 못했다.

"역사부정주의자들이야말로 1944-45년에 업자들이 아닌 일본군 '위안부'가 한 강제저축을 돌려받거나 집(조선)으로 송금했던 돈을 본가에서 인출한 사례를, 그것도 오늘날의 가치 운운할 만큼 '거액'의 사례를 근거로 들어 입증해야 한다."고 강 교수는 반론했다.


■ 위안부 증언을 어떻게 들을 것인가?

"일상이 전장이었으니 전쟁 또한 삶이었다. 살아남았으니 살고자 했다."는 말은 일본군 '위안부’ 증언을 어떻게 들을 것인가 많은 고민을 안겨준다.

문옥주 할머니 회고록 작가 모리카와는 1992년 문옥주가 코를 골며 자는 모습을 보고 감동을 하였다고 했다. 모리카와는 ""당신이 위안부였다는 사실은 당신 개인의 수치도, 당신 집안의 수치도, 동네의 수치도 아닙니다. 그것은 일본이 저지른 전쟁범죄였습니다."라고 말해주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썼다.

문옥주 할머니는 1996년 10월 26일 생을 달리했다. 영면에 든 할머니는 본인의 증언이 '대목, 대목' 잘려 찬탈되고 있다는 걸 알고 있을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