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일장학회

입력 2005.02.10 (22:03)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다음 소식입니다. 국정원의 7대 의혹사건, 오늘은 5.16 직후 강제 헌납된 의혹을 사고 있는 부일장학회와 경향신문 강제매각사건을 살펴보겠습니다.
이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5.16쿠데타 직후인 지난 62년 부산지역 기업인이었던 고 김지태 삼화고무 사장은 갑자기 중앙정보부에 끌려갔습니다.
몇 달간의 조사 끝에 김 씨는 국내 재산 해외도피 등의 혐의로 검찰에 의해 징역 7년을 구형받습니다.
김 씨는 구속된 상태에서 자신이 58년 설립한 부일장학회의 기반이었던 부산 서면 일대 땅 10만평과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 등의 언론사 주식을 국가에 헌납했습니다.그리고 이틀 뒤 김 씨는 공소 취하로 풀려났습니다.
⊙김종환(당시 문화방송 사장 대리): 토지 10만 평하고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 서울문화방송을 5.16장학회로 넘기라고...
도장 안 찍으면 석방이 안 된다...
⊙기자: 이후 김 씨가 헌납한 부일장학회를 모태로 지난 62년 7월, 5.16장학회가 출범했고 82년 재단 이름을 정수장학회로 바꾸었습니다.
문제는 헌납과정의 강제성 여부입니다.
정수장학회측은 정당한 헌납이었다고 주장하지만 유가족들은 군부가 사유재산을 빼앗았다는 입장입니다.
⊙김영구(고 김지태 씨 장남): 비망록을 보면 아버님께서 모르는 물목이 거기에 있더라 그겁니다.
그러니까 이건 자의에 의한 헌납이 아니라는 명백한...
⊙기자: 이 사건은 특히 정수장학회 이사장으로 있는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이사장직 사퇴논란으로 번지면서 정치적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편 경향신문 강제매각은 지난 66년 군사정권이 정부에 비판적이었던 경향신문의 경영권을 다른 기업에 넘긴 사건으로 매각과정에 중앙정보부가 개입했는지 등이 쟁점입니다.
⊙김경래(당시 경향신문 정치부장): 이 신문을 없애는데, 회사를 없애기 위해서는 사장을 바꿔야 한다, 이 회사의 체제를, 구조를 변형시켜야 한다.
⊙기자: 두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에서는 정권이 어떻게 언론을 통제하고 경제인들을 정경유착에 끌여들였는지 등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이경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일장학회
    • 입력 2005-02-10 21:37:13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다음 소식입니다. 국정원의 7대 의혹사건, 오늘은 5.16 직후 강제 헌납된 의혹을 사고 있는 부일장학회와 경향신문 강제매각사건을 살펴보겠습니다. 이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5.16쿠데타 직후인 지난 62년 부산지역 기업인이었던 고 김지태 삼화고무 사장은 갑자기 중앙정보부에 끌려갔습니다. 몇 달간의 조사 끝에 김 씨는 국내 재산 해외도피 등의 혐의로 검찰에 의해 징역 7년을 구형받습니다. 김 씨는 구속된 상태에서 자신이 58년 설립한 부일장학회의 기반이었던 부산 서면 일대 땅 10만평과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 등의 언론사 주식을 국가에 헌납했습니다.그리고 이틀 뒤 김 씨는 공소 취하로 풀려났습니다. ⊙김종환(당시 문화방송 사장 대리): 토지 10만 평하고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 서울문화방송을 5.16장학회로 넘기라고... 도장 안 찍으면 석방이 안 된다... ⊙기자: 이후 김 씨가 헌납한 부일장학회를 모태로 지난 62년 7월, 5.16장학회가 출범했고 82년 재단 이름을 정수장학회로 바꾸었습니다. 문제는 헌납과정의 강제성 여부입니다. 정수장학회측은 정당한 헌납이었다고 주장하지만 유가족들은 군부가 사유재산을 빼앗았다는 입장입니다. ⊙김영구(고 김지태 씨 장남): 비망록을 보면 아버님께서 모르는 물목이 거기에 있더라 그겁니다. 그러니까 이건 자의에 의한 헌납이 아니라는 명백한... ⊙기자: 이 사건은 특히 정수장학회 이사장으로 있는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이사장직 사퇴논란으로 번지면서 정치적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편 경향신문 강제매각은 지난 66년 군사정권이 정부에 비판적이었던 경향신문의 경영권을 다른 기업에 넘긴 사건으로 매각과정에 중앙정보부가 개입했는지 등이 쟁점입니다. ⊙김경래(당시 경향신문 정치부장): 이 신문을 없애는데, 회사를 없애기 위해서는 사장을 바꿔야 한다, 이 회사의 체제를, 구조를 변형시켜야 한다. ⊙기자: 두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에서는 정권이 어떻게 언론을 통제하고 경제인들을 정경유착에 끌여들였는지 등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이경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