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정원의 7대 의혹사건, 오늘은 유신시대 대표적인 용공조작사건으로 의심받고 있는 민청학련과 인혁당 사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법사상 가장 치욕스러운 사건으로도 꼽히고 있습니다.
이영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유신 반대투쟁이 거세던 지난 1974년, 위기를 느낀 박정희 정권은 잇따라 긴급조치를 발표합니다.
4월에 발표된 긴급조치 4호는 학생조직인 전국민주청련학생동맹, 즉 민청학련을 범죄단체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관련자 검거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민청학련의 배후로 대구, 경북지역에서 민주화운동을 해 온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를 지목합니다.
이 사건으로 1000여 명의 학생과 지식인 등이 연행돼 모진 고문수사를 당했고 이 가운데 590여 명이 구속됐습니다.
이 철 전 의원과 김지하 시인 등 민청학련 관련자들은 대부분 재판 과정에서 감형과 형집행정지로 석방됐지만 인혁당 관련자들에게는 사형과 무기징역 등 중형이 선고됐습니다.
특히 사형을 언도받은 8명은 법원 결정 바로 다음날 가족들도 모른 채 사형이 집행됐습니다.
이 때문에 인혁당 사건은 그 이후 사법살인, 한국 사법사상 가장 수치스러운 재판이라는 오명을 얻게 됐습니다.
이 사건에 대한 진실규명의 핵심은 박정희 정권에 의한 용공조작 여부입니다.
⊙정만진(인혁당 사건 당시 20년 선고): 하부 조직원으로 포섭됐다고 마음대로 쓰더라고요.
나하고는 하등의 관계 없이 자기들 마음대로 써서 하재만 씨한테 포섭됐다고 쓰더라고요.
⊙기자: 이 과정에서 행해진 숱한 고문의 진상과 재판기록의 조작 여부, 그리고 청와대의 개입 여부 등이 규명해야 할 대상입니다.
진실규명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3년 전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이 사건을 중앙정보부의 조작사건으로 규정했고 인혁당사건에 대한 재심도 청구됐습니다.
⊙유인태(열린우리당 의원(민청학련 피해자)): 재심의 사유라는 게 하도 두꺼운 벽이라, 두터운 벽이라 저것을 뚫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고요.
⊙기자: 사건 발생 30년이 넘도록 실체적 진실조차 규명되지 못하고 있는 민청학련과 인혁당 사건, 이번만은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의 계기가 되기를 희생자들은 간절히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영석입니다.
사법사상 가장 치욕스러운 사건으로도 꼽히고 있습니다.
이영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유신 반대투쟁이 거세던 지난 1974년, 위기를 느낀 박정희 정권은 잇따라 긴급조치를 발표합니다.
4월에 발표된 긴급조치 4호는 학생조직인 전국민주청련학생동맹, 즉 민청학련을 범죄단체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관련자 검거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민청학련의 배후로 대구, 경북지역에서 민주화운동을 해 온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를 지목합니다.
이 사건으로 1000여 명의 학생과 지식인 등이 연행돼 모진 고문수사를 당했고 이 가운데 590여 명이 구속됐습니다.
이 철 전 의원과 김지하 시인 등 민청학련 관련자들은 대부분 재판 과정에서 감형과 형집행정지로 석방됐지만 인혁당 관련자들에게는 사형과 무기징역 등 중형이 선고됐습니다.
특히 사형을 언도받은 8명은 법원 결정 바로 다음날 가족들도 모른 채 사형이 집행됐습니다.
이 때문에 인혁당 사건은 그 이후 사법살인, 한국 사법사상 가장 수치스러운 재판이라는 오명을 얻게 됐습니다.
이 사건에 대한 진실규명의 핵심은 박정희 정권에 의한 용공조작 여부입니다.
⊙정만진(인혁당 사건 당시 20년 선고): 하부 조직원으로 포섭됐다고 마음대로 쓰더라고요.
나하고는 하등의 관계 없이 자기들 마음대로 써서 하재만 씨한테 포섭됐다고 쓰더라고요.
⊙기자: 이 과정에서 행해진 숱한 고문의 진상과 재판기록의 조작 여부, 그리고 청와대의 개입 여부 등이 규명해야 할 대상입니다.
진실규명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3년 전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이 사건을 중앙정보부의 조작사건으로 규정했고 인혁당사건에 대한 재심도 청구됐습니다.
⊙유인태(열린우리당 의원(민청학련 피해자)): 재심의 사유라는 게 하도 두꺼운 벽이라, 두터운 벽이라 저것을 뚫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고요.
⊙기자: 사건 발생 30년이 넘도록 실체적 진실조차 규명되지 못하고 있는 민청학련과 인혁당 사건, 이번만은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의 계기가 되기를 희생자들은 간절히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영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민청학련 인혁당
-
- 입력 2005-02-09 21:37:35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국정원의 7대 의혹사건, 오늘은 유신시대 대표적인 용공조작사건으로 의심받고 있는 민청학련과 인혁당 사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법사상 가장 치욕스러운 사건으로도 꼽히고 있습니다.
이영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유신 반대투쟁이 거세던 지난 1974년, 위기를 느낀 박정희 정권은 잇따라 긴급조치를 발표합니다.
4월에 발표된 긴급조치 4호는 학생조직인 전국민주청련학생동맹, 즉 민청학련을 범죄단체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관련자 검거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민청학련의 배후로 대구, 경북지역에서 민주화운동을 해 온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를 지목합니다.
이 사건으로 1000여 명의 학생과 지식인 등이 연행돼 모진 고문수사를 당했고 이 가운데 590여 명이 구속됐습니다.
이 철 전 의원과 김지하 시인 등 민청학련 관련자들은 대부분 재판 과정에서 감형과 형집행정지로 석방됐지만 인혁당 관련자들에게는 사형과 무기징역 등 중형이 선고됐습니다.
특히 사형을 언도받은 8명은 법원 결정 바로 다음날 가족들도 모른 채 사형이 집행됐습니다.
이 때문에 인혁당 사건은 그 이후 사법살인, 한국 사법사상 가장 수치스러운 재판이라는 오명을 얻게 됐습니다.
이 사건에 대한 진실규명의 핵심은 박정희 정권에 의한 용공조작 여부입니다.
⊙정만진(인혁당 사건 당시 20년 선고): 하부 조직원으로 포섭됐다고 마음대로 쓰더라고요.
나하고는 하등의 관계 없이 자기들 마음대로 써서 하재만 씨한테 포섭됐다고 쓰더라고요.
⊙기자: 이 과정에서 행해진 숱한 고문의 진상과 재판기록의 조작 여부, 그리고 청와대의 개입 여부 등이 규명해야 할 대상입니다.
진실규명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3년 전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이 사건을 중앙정보부의 조작사건으로 규정했고 인혁당사건에 대한 재심도 청구됐습니다.
⊙유인태(열린우리당 의원(민청학련 피해자)): 재심의 사유라는 게 하도 두꺼운 벽이라, 두터운 벽이라 저것을 뚫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고요.
⊙기자: 사건 발생 30년이 넘도록 실체적 진실조차 규명되지 못하고 있는 민청학련과 인혁당 사건, 이번만은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의 계기가 되기를 희생자들은 간절히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영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그 때 그 사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