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돌리는 사람이 임자?…154조 ‘치매 머니’ 관리 시급

입력 2025.05.28 (21:26) 수정 2025.05.28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혜정/64세 : "걱정과 염려들을 주변에서 많이 하시더라고요. 치매 문제만큼은 본인의 노력이나 의지로 되는 것 같지 않더라고요."]

환갑이 지나면 '치매'가 가장 큰 걱정거립니다.

100만 명 정도로 추정되는 우리나라 치매 인구는 25년 뒤엔 300만 명을 넘길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또 치매 환자들이 평생 일궈온 자산, '치매 머니'는 154조 원으로 우리나라 GDP의 6.4% 정도로 추산됩니다.

1인당 1억에서 2억 정도인데, 그대로 방치되기 일쑤여서 범죄의 표적이 되곤 합니다.

2050년이 되면 이 '치매 머니'가 5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치매 머니'를 어떻게 관리하느냐도 초고령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김성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남성은 지난해, 치매를 앓는 어머니의 통장에서 수억 원이 인출된 걸 확인했습니다.

친척이 돈을 빼돌린 걸로 추정되지만, 돌려받으려면 복잡한 송사를 거쳐야 합니다.

[치매 환자 보호자/음성변조 : "요양원에 있는 기간에 돈들을 다 출금해 간 거죠. (어머니는) 그걸 왜 쟤네들한테 주냐는 말들을 계속 반복하셨고."]

치매 환자의 예금을 은행 직원이 몰래 해지해 가로채는 일도 벌어졌습니다.

가족들은 곧바로 알기 어렵습니다.

미리 위임장을 받아놓지 않으면, 부모의 자산을 관리할 법적 권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장OO/치매 환자 보호자/음성변조 : "거동이 아예 안 되는 분인데 어떻게 (인출했나) 요양원, 시골에도 왔다 갔다 하고 수소문을 한 달 정도 하다가 이게 발견이…"]

이미 치매에 걸린 경우, 법원이 지정하는 '성년 후견인'한테 자산 관리를 맡길 수 있습니다.

진단서 제출과 법원 심사 등에 최대 1년 이상 걸려 치매 머니가 범행에 노출될 충분한 시간이 있습니다.

[치매 환자 보호자/음성변조 : "성년 후견인은 사실 준비하는 모든 과정이 굉장히 자료도 많이 필요하고 (그동안) 작정하고 숨겨 버리면…"]

월 20만 원 정도로 처우가 열악하다 보니 나서는 사람이 적습니다.

대안으로 제시되는 임의 후견 제도는, 치매에 걸리기 전에 미리 후견인을 지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 교수 : "판단을 못 하게 될 때 누가 나의 후견인이 되어 주고 누가 내 자산을 관리해 달라, 통제하에서 돈을 좀 쓸 수 있게…"]

정부나 공공기관이 치매 환자의 자산을 대신 관리해 주는 공공 신탁제도가 도입될 경우 잠자고 있는 치매 머니가 사회로 유입되는 효과가 기대됩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최상철 허수곤/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최창준 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빼돌리는 사람이 임자?…154조 ‘치매 머니’ 관리 시급
    • 입력 2025-05-28 21:26:15
    • 수정2025-05-28 22:04:02
    뉴스 9
[앵커]

["이혜정/64세 : "걱정과 염려들을 주변에서 많이 하시더라고요. 치매 문제만큼은 본인의 노력이나 의지로 되는 것 같지 않더라고요."]

환갑이 지나면 '치매'가 가장 큰 걱정거립니다.

100만 명 정도로 추정되는 우리나라 치매 인구는 25년 뒤엔 300만 명을 넘길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또 치매 환자들이 평생 일궈온 자산, '치매 머니'는 154조 원으로 우리나라 GDP의 6.4% 정도로 추산됩니다.

1인당 1억에서 2억 정도인데, 그대로 방치되기 일쑤여서 범죄의 표적이 되곤 합니다.

2050년이 되면 이 '치매 머니'가 5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치매 머니'를 어떻게 관리하느냐도 초고령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김성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남성은 지난해, 치매를 앓는 어머니의 통장에서 수억 원이 인출된 걸 확인했습니다.

친척이 돈을 빼돌린 걸로 추정되지만, 돌려받으려면 복잡한 송사를 거쳐야 합니다.

[치매 환자 보호자/음성변조 : "요양원에 있는 기간에 돈들을 다 출금해 간 거죠. (어머니는) 그걸 왜 쟤네들한테 주냐는 말들을 계속 반복하셨고."]

치매 환자의 예금을 은행 직원이 몰래 해지해 가로채는 일도 벌어졌습니다.

가족들은 곧바로 알기 어렵습니다.

미리 위임장을 받아놓지 않으면, 부모의 자산을 관리할 법적 권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장OO/치매 환자 보호자/음성변조 : "거동이 아예 안 되는 분인데 어떻게 (인출했나) 요양원, 시골에도 왔다 갔다 하고 수소문을 한 달 정도 하다가 이게 발견이…"]

이미 치매에 걸린 경우, 법원이 지정하는 '성년 후견인'한테 자산 관리를 맡길 수 있습니다.

진단서 제출과 법원 심사 등에 최대 1년 이상 걸려 치매 머니가 범행에 노출될 충분한 시간이 있습니다.

[치매 환자 보호자/음성변조 : "성년 후견인은 사실 준비하는 모든 과정이 굉장히 자료도 많이 필요하고 (그동안) 작정하고 숨겨 버리면…"]

월 20만 원 정도로 처우가 열악하다 보니 나서는 사람이 적습니다.

대안으로 제시되는 임의 후견 제도는, 치매에 걸리기 전에 미리 후견인을 지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 교수 : "판단을 못 하게 될 때 누가 나의 후견인이 되어 주고 누가 내 자산을 관리해 달라, 통제하에서 돈을 좀 쓸 수 있게…"]

정부나 공공기관이 치매 환자의 자산을 대신 관리해 주는 공공 신탁제도가 도입될 경우 잠자고 있는 치매 머니가 사회로 유입되는 효과가 기대됩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최상철 허수곤/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최창준 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시리즈

‘초고령 대한민국’ 시간이 없다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