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정책 선거 꽃 피워야

입력 2007.01.15 (22:16) 수정 2007.01.15 (22: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통령 선거가 있는 올 해 KBS는 건강하고 희망찬 사회를 바라는 국민의 염원을 담아 희망 2007,건강한 사회를 연속 기획으로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첫 순서로 과거 지역간,세대간 갈등으로 얼룩졌던 대선을 돌아보고 올바른 미래 선택을 위해 정책 선거로 가는 길을 찾아보겠습니다.

이석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선이 예정된 새해 첫날, 출발선에 선 정치권은 대선을 향해 일제히 줄달음쳤습니다.

그러나 새해 벽두부터 정가는 개헌 정국으로 요동치면서 험난한 대선 항로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녹취> 우상호(열린우리당 대변인) "즉각 개헌논의에 동참해야 합니다."

<녹취> 나경원(한나라당 대변인) : "반민주적이고 독재적인 발상입니다."

대선을 준비하는 각 당의 속사정도 순탄치 않습니다.

열린우리당은 분당의 갈림길에서 방황하고 있고, 한나라당은 대선 후보 검증 문제를 놓고 신경전이 한창입니다.

그러나 국민은 혼미한 정치권에 관심을 쏟을 여유가 없어 보입니다.

한미 FTA를 둘러싼 사회 갈등 극한으로 치닫는 노사 분규, 심화되는 양극화 현상, 긴장감이 고조되는 북핵 사태.

새로운 리더쉽과 정책 비전이 어느 때보다 절실합니다.

<인터뷰> 장은아(서울 구로시장 상인) : "없는 사람들 너무 힘들쟎아요"

<인터뷰> 박이수(서울시 시흥동) : "경제를 잘하는 대통령을 뽑으면 좋겠습니다."

<인터뷰> 홍제문(대학생) : "일자리도 많이 만들어 주는 대통령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지난 1987년의 직선제 헌법 이래 치러진 대선은 모두 4번, 그러나 정책 대결은 뒷전일 때가 많았습니다.

야권의 분열로 여당이 승리한 1987년, 합당을 통해 여당이 승리한 1992년, DJP 공조를 통해 정권교체를 이룬 1997년, 선거운동에는 언제나 대중이 동원돼 광장을 메웠고 지역 구도는 승패를 좌우했습니다.

그래서 정치권은 뭉쳤다 헤어지길 반복했고 선거가 끝난 뒤엔 후유증을 남겼습니다.

<인터뷰> 김형준(국민대 정치대학원 부원장) : "정책 이념은 전혀 도외시 된 채 오로지 지역과 인구를 중심으로 해서 연대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선거에서는 승리를 할지 모르겠지만 선거가 끝나고 나서 통치를 할 때는 굉장한 압박이 온다는 거죠"

지난 대선까지도 후보간 이합집산과 근거 없는 폭로전은 여전했고 극심해진 이념 간, 세대 간 갈등이 후유증으로 남았습니다.

그래서 이번 대선은 지난해 5.31 지방선거에서 싹을 틔운 매니페스토 운동, 정책 선거가 자리잡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를 위해 대선 주자가 정책공약집을 배포할 수 없도록 한 현행 선거법의 손질도 필요합니다.

<인터뷰> 유문종(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집행위원장) : "선거운동을 많이 규제위주로 하다보니까 정해진 공고문 외에는 전혀 유권자들에게 전달이 안 되기 때문에 선거법 개정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법 개정만으론 선진 민주주의를 약속받을 수 없습니다.

미래를 위한 선택의 주역인 국민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국민들이 직접 나서서 대선 주자들의 정책을 감시하고 정책을 기준으로 투표할 때, 올해 역동의 대선 드라마는 완성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석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선, 정책 선거 꽃 피워야
    • 입력 2007-01-15 21:24:46
    • 수정2007-01-15 22:23:43
    뉴스 9
<앵커 멘트> 대통령 선거가 있는 올 해 KBS는 건강하고 희망찬 사회를 바라는 국민의 염원을 담아 희망 2007,건강한 사회를 연속 기획으로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첫 순서로 과거 지역간,세대간 갈등으로 얼룩졌던 대선을 돌아보고 올바른 미래 선택을 위해 정책 선거로 가는 길을 찾아보겠습니다. 이석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선이 예정된 새해 첫날, 출발선에 선 정치권은 대선을 향해 일제히 줄달음쳤습니다. 그러나 새해 벽두부터 정가는 개헌 정국으로 요동치면서 험난한 대선 항로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녹취> 우상호(열린우리당 대변인) "즉각 개헌논의에 동참해야 합니다." <녹취> 나경원(한나라당 대변인) : "반민주적이고 독재적인 발상입니다." 대선을 준비하는 각 당의 속사정도 순탄치 않습니다. 열린우리당은 분당의 갈림길에서 방황하고 있고, 한나라당은 대선 후보 검증 문제를 놓고 신경전이 한창입니다. 그러나 국민은 혼미한 정치권에 관심을 쏟을 여유가 없어 보입니다. 한미 FTA를 둘러싼 사회 갈등 극한으로 치닫는 노사 분규, 심화되는 양극화 현상, 긴장감이 고조되는 북핵 사태. 새로운 리더쉽과 정책 비전이 어느 때보다 절실합니다. <인터뷰> 장은아(서울 구로시장 상인) : "없는 사람들 너무 힘들쟎아요" <인터뷰> 박이수(서울시 시흥동) : "경제를 잘하는 대통령을 뽑으면 좋겠습니다." <인터뷰> 홍제문(대학생) : "일자리도 많이 만들어 주는 대통령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지난 1987년의 직선제 헌법 이래 치러진 대선은 모두 4번, 그러나 정책 대결은 뒷전일 때가 많았습니다. 야권의 분열로 여당이 승리한 1987년, 합당을 통해 여당이 승리한 1992년, DJP 공조를 통해 정권교체를 이룬 1997년, 선거운동에는 언제나 대중이 동원돼 광장을 메웠고 지역 구도는 승패를 좌우했습니다. 그래서 정치권은 뭉쳤다 헤어지길 반복했고 선거가 끝난 뒤엔 후유증을 남겼습니다. <인터뷰> 김형준(국민대 정치대학원 부원장) : "정책 이념은 전혀 도외시 된 채 오로지 지역과 인구를 중심으로 해서 연대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선거에서는 승리를 할지 모르겠지만 선거가 끝나고 나서 통치를 할 때는 굉장한 압박이 온다는 거죠" 지난 대선까지도 후보간 이합집산과 근거 없는 폭로전은 여전했고 극심해진 이념 간, 세대 간 갈등이 후유증으로 남았습니다. 그래서 이번 대선은 지난해 5.31 지방선거에서 싹을 틔운 매니페스토 운동, 정책 선거가 자리잡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를 위해 대선 주자가 정책공약집을 배포할 수 없도록 한 현행 선거법의 손질도 필요합니다. <인터뷰> 유문종(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집행위원장) : "선거운동을 많이 규제위주로 하다보니까 정해진 공고문 외에는 전혀 유권자들에게 전달이 안 되기 때문에 선거법 개정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법 개정만으론 선진 민주주의를 약속받을 수 없습니다. 미래를 위한 선택의 주역인 국민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국민들이 직접 나서서 대선 주자들의 정책을 감시하고 정책을 기준으로 투표할 때, 올해 역동의 대선 드라마는 완성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석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