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기·습기·악취에 무방비 노출…실내작업 온열질환 속출

입력 2022.07.19 (21:26) 수정 2022.07.19 (23: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여름 뙤약볕에 노출된 '실외' 노동자들, 온열 질환으로 쓰러지는 일이 많습니다.

그런데 최근, '실내' 작업장인 쿠팡 물류센터에서, 두 명이 응급실로 실려가는 일이 있었습니다.

탈수 증세였다는데, 그 날 이야기 한 번 들어보시죠.

[정동헌/공공운수노조 쿠팡물류센터지회 동탄센터대표 : "그날 현장 온도가 33도, 32도에다가 습도가 그날 좀 계속 높더라고요. 쿠팡물류센터 현장 같은 경우는 에어컨이 안에 없어요. 물먹거나 식염 포도당 알약 같은 거 있거든요. 그거 먹으면서 이제 버티죠."]

쿠팡 같은 대기업 작업장에...

어떻게 에어컨도 없었을까요?

정부는 올해 처음, 실외 뿐 아니라 실내 노동자들을 위해서도 냉방 장치 설치, 휴식 시간 제공 등의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강제성은 없습니다.

쿠팡은 일단 시간 당 일정 시간 씩 휴식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폭염 연속 기획, 오늘은 이 문제를 짚어보고자 합니다.

열기 속에 갇힌 '실내 노동'의 실태, 황다예 기자의 취재입니다.

[리포트]

계단 아래 지하 공간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돌아갑니다.

재활용 쓰레기를 선별하는 작업장.

열화상 카메라를 갖다 댔더니 온통 붉은 색입니다.

후끈한 열기에도 비닐 등이 날아갈까봐 선풍기는 세게 틀 수 없습니다.

한 층 더 밑에선 재활용품 이물질을 제거 중인데, 열화상 수치가 35도를 넘어섭니다.

냉방 기기를 틀어도 온도가 이 수준입니다.

[강철호/재활용 선별장 노동자 : "분쇄를 해서 열에 의해 녹여서 저 연료를 만드는 제품을 생산하는 곳입니다. 이 현장에서 가장 온도가 가장 높은 곳입니다."]

문제는 열기 뿐만이 아닙니다.

악취를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작업장 바깥에선 한 자릿수에 불과했던 수치가, 문을 열고 들어서자 빠른 속도로 두 자리 숫자로 치솟습니다.

악취 물질들의 '순간적인' 농도는 건강 기준치보다 다소 낮지만 장기 노출 시엔 신체 장애가 우려되는 수준입니다.

유일한 방어막은 마스크인데, 그나마도 벗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이재식/전국환경노조 지부장 : "땀이 많이 나다 보면 눈을 계속 감을 수밖에 없어요. 이걸 장갑을 끼고 여기가 이제 유리 가루도 있고 (땀을) 닦을 수가 없으니까 마스크를 아예 빼는 거예요."]

혐오 시설이란 낙인 속에 서울시 공공 재활용 선별장 15곳 중 7곳이 지하로 밀려났습니다.

1,500인분의 점심을 준비 중인 초등학교 급식실.

온도는 35도고, 조리를 시작하자 습도는 98%까지 치솟습니다.

에어컨과 선풍기 몇 대로는 감당이 안 되는 지경입니다.

[정미형/급식실 노동자 : "그냥 참고 일하는 방법하고 또 중간중간 얼음물 마시면서 선생님께서 너무 안타까우셔서 얼마 전부터 이온 음료를 사 주셨어요."]

설거지 시간도 괴롭습니다.

위생 상 섭씨 80도가 넘는 물을 쓰기 때문입니다.

기름때를 빼려면 뜨거운 물로 설거지를 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수저는 삶은 뒤에 노동자가 손을 직접 넣어 빼내기도 합니다.

이 달 초 경기도 학교 두 곳에서 급식 노동자가 온열질환으로 쓰러졌습니다.

[손경숙/전국교육공무직본부 급식조리분과장 : "튀기고 고온에 볶고 삶다 보니까 급식실 내 온도는 40도, 50도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급식실 노동자들은 두통에 시달리고 탈진이 오고..."]

더울 땐 '실내' 노동자도 휴식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원론적 규칙만 있어 왔을 뿐, 지금까지 폭염 안전과 관련된 법·제도는 철저히 '실외' 중심이었습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음성변조 : "아무래도 가장 직접적인 행정 대상이 건설현장 등 5개 노동자였고, 지금 행안부에서 주관하는 폭염 대책에도 야외 근로자 중심으로 우선 돼 있고요."]

결국 '실내' 노동자들의 안전을 위해서도 휴식 시간 등을 보다 구체화한 가이드라인이 올해 처음 나왔는데, 강제성이 없다보니 피해 예방 효과는 여전히 의문입니다.

KBS 뉴스 황다옙니다.

촬영기자:안민식 김경민/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열기·습기·악취에 무방비 노출…실내작업 온열질환 속출
    • 입력 2022-07-19 21:26:35
    • 수정2022-07-19 23:03:53
    뉴스 9
[앵커]

한여름 뙤약볕에 노출된 '실외' 노동자들, 온열 질환으로 쓰러지는 일이 많습니다.

그런데 최근, '실내' 작업장인 쿠팡 물류센터에서, 두 명이 응급실로 실려가는 일이 있었습니다.

탈수 증세였다는데, 그 날 이야기 한 번 들어보시죠.

[정동헌/공공운수노조 쿠팡물류센터지회 동탄센터대표 : "그날 현장 온도가 33도, 32도에다가 습도가 그날 좀 계속 높더라고요. 쿠팡물류센터 현장 같은 경우는 에어컨이 안에 없어요. 물먹거나 식염 포도당 알약 같은 거 있거든요. 그거 먹으면서 이제 버티죠."]

쿠팡 같은 대기업 작업장에...

어떻게 에어컨도 없었을까요?

정부는 올해 처음, 실외 뿐 아니라 실내 노동자들을 위해서도 냉방 장치 설치, 휴식 시간 제공 등의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강제성은 없습니다.

쿠팡은 일단 시간 당 일정 시간 씩 휴식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폭염 연속 기획, 오늘은 이 문제를 짚어보고자 합니다.

열기 속에 갇힌 '실내 노동'의 실태, 황다예 기자의 취재입니다.

[리포트]

계단 아래 지하 공간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돌아갑니다.

재활용 쓰레기를 선별하는 작업장.

열화상 카메라를 갖다 댔더니 온통 붉은 색입니다.

후끈한 열기에도 비닐 등이 날아갈까봐 선풍기는 세게 틀 수 없습니다.

한 층 더 밑에선 재활용품 이물질을 제거 중인데, 열화상 수치가 35도를 넘어섭니다.

냉방 기기를 틀어도 온도가 이 수준입니다.

[강철호/재활용 선별장 노동자 : "분쇄를 해서 열에 의해 녹여서 저 연료를 만드는 제품을 생산하는 곳입니다. 이 현장에서 가장 온도가 가장 높은 곳입니다."]

문제는 열기 뿐만이 아닙니다.

악취를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작업장 바깥에선 한 자릿수에 불과했던 수치가, 문을 열고 들어서자 빠른 속도로 두 자리 숫자로 치솟습니다.

악취 물질들의 '순간적인' 농도는 건강 기준치보다 다소 낮지만 장기 노출 시엔 신체 장애가 우려되는 수준입니다.

유일한 방어막은 마스크인데, 그나마도 벗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이재식/전국환경노조 지부장 : "땀이 많이 나다 보면 눈을 계속 감을 수밖에 없어요. 이걸 장갑을 끼고 여기가 이제 유리 가루도 있고 (땀을) 닦을 수가 없으니까 마스크를 아예 빼는 거예요."]

혐오 시설이란 낙인 속에 서울시 공공 재활용 선별장 15곳 중 7곳이 지하로 밀려났습니다.

1,500인분의 점심을 준비 중인 초등학교 급식실.

온도는 35도고, 조리를 시작하자 습도는 98%까지 치솟습니다.

에어컨과 선풍기 몇 대로는 감당이 안 되는 지경입니다.

[정미형/급식실 노동자 : "그냥 참고 일하는 방법하고 또 중간중간 얼음물 마시면서 선생님께서 너무 안타까우셔서 얼마 전부터 이온 음료를 사 주셨어요."]

설거지 시간도 괴롭습니다.

위생 상 섭씨 80도가 넘는 물을 쓰기 때문입니다.

기름때를 빼려면 뜨거운 물로 설거지를 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수저는 삶은 뒤에 노동자가 손을 직접 넣어 빼내기도 합니다.

이 달 초 경기도 학교 두 곳에서 급식 노동자가 온열질환으로 쓰러졌습니다.

[손경숙/전국교육공무직본부 급식조리분과장 : "튀기고 고온에 볶고 삶다 보니까 급식실 내 온도는 40도, 50도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급식실 노동자들은 두통에 시달리고 탈진이 오고..."]

더울 땐 '실내' 노동자도 휴식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원론적 규칙만 있어 왔을 뿐, 지금까지 폭염 안전과 관련된 법·제도는 철저히 '실외' 중심이었습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음성변조 : "아무래도 가장 직접적인 행정 대상이 건설현장 등 5개 노동자였고, 지금 행안부에서 주관하는 폭염 대책에도 야외 근로자 중심으로 우선 돼 있고요."]

결국 '실내' 노동자들의 안전을 위해서도 휴식 시간 등을 보다 구체화한 가이드라인이 올해 처음 나왔는데, 강제성이 없다보니 피해 예방 효과는 여전히 의문입니다.

KBS 뉴스 황다옙니다.

촬영기자:안민식 김경민/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이근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