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창조 코리아] 경쟁에 내몰린 700만 자영업자
입력 2015.01.14 (21:11)
수정 2015.01.15 (20: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각종 상점이 밀집한 서울 홍대 거리에 나왔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개인이 운영하는 커피전문점과 음식점, 술집들이 좌우로 들어서 있는데요.
우리나라 자영업자는 모두 몇 명이나 될까요?
지난달 7백만 명을 넘어섰고, 전체 취업자의 27%나 됩니다.
미국, 일본보다 자영업자 비율이 크게 높고, OECD 평균과 비교해도 2배 가까이 됩니다.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하면 매년 자영업자가 20만 명씩 늘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
장사는 과연 잘 되고 있을까요?
음식점 한 곳을 살펴보겠습니다.
▼생활고 시달리는 자영업자▼
<리포트>
넉 달전 문을 연 볶음밥 식당입니다.
8년 동안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30대 후반에 자영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처음엔 직원 5명까지 고용했지만 장사가 안돼 요리사만 남았고 대신 부인이 가게 일을 돕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민준(음식점 자영업자) : "아침 7시부터 일어나서 장도 제가 직접 봐야되구요, 가게 문열고 영업하다가 문을 닫는 시간 (밤) 11시까지 일 하고.."
지난 한 달 매출은 4백만 원 정도.
하지만 월세 4백만 원을 내고 나니 남은 돈이 없습니다.
여기에 재료비와 전기, 가스요금 요리사 인건비 등을 지출하면 오히려 5백만원 적자입니다.
<녹취> "오늘은 볶음밥을 먹는 날입니다~ 건물 2층에 있습니다!"
이대로 무너질 수 없다는 생각에 길거리 홍보까지 하고 있습니다.
모아둔 돈 1억 원에 친구들에게 빌린 돈 5천만 원을 더해 가게 문을 열 때만 해도 성공에 자신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매달 적자만 늘어났고 지난달에는 카드론으로 천 만원을 더 빌렸습니다.
<인터뷰> 김민준 : "준비를 한다고 해도 경쟁 자체가 너무 치열하다 보니까 살아 남는 게 너무 힘들어요"
아직 젊기 때문에 조금 더 버텨보겠다고 했지만, 치열한 경쟁 앞에 서 있는 김씨의 한 숨은 깊어만 갑니다.
▼매출↓·빚↑…3년 뒤 절반 폐업▼
<기자 멘트>
밤낮으로 열심히 일해도 수익은 나지 않고 빚만 늘어나는 이유는 뭘까요?
앞서 보신 김 씨 가게가 위치한 홍대 거리를 살펴볼까요?
큰 도로 주변만 살펴봐도 음식점이 47개나 있고, 주점이 24개, 커피전문점이 17개나 있습니다.
자영업자간 경쟁이 치열하는 얘기입니다.
실제로 전체 자영업 가운데 음식점이 25%로 가장 많고 편의점 같은 식품·소매점이 11% 주점이 7.2%로 뒤를 잇고 있습니다.
자영업자의 평균 준비기간은 채 1년도 되지 않는데요.
이렇게 별다른 준비 없이 손쉽게 할 수 있는 업종에 몰리다 보니 과당경쟁에 시달리다 낭패를 보는 겁니다.
지난 3년사이 자영업자의 한 달 매출은 113만 원이 줄어든 반면 빚은 천7백만 원이나 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3년 후엔 전체 자영업자의 절반 가량이, 10년 뒤엔 무려 75%가 문을 닫고 있습니다.
더구나 최근엔 경기까지 침체되면서 자영업자의 어려움은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
대안은 없는지 살펴봤습니다.
▼‘차별화’, ‘상권분석’ 필수…적자 탈출 방법▼
<리포트>
서울 이태원동의 동네 슈퍼.
안으로 들어가자 수 백 종류의 수입 맥주가 가득 쌓여있습니다.
7년 전 인근에 대형 슈퍼가 들어서자 위기의식을 느낀 주인이 지역적 특성을 살려 판매 품목을 수입맥주로 특화한 겁니다.
<인터뷰> 김영숙(슈퍼마켓 주인) : "어떻게 할까? 접어야 하나..사느냐 죽느냐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이 수입맥주인데..."
수입맥주를 팔면서 7년 동안 매출은 10배나 뛰었고 지금은 이 동네에서 유명업소가 됐습니다.
이처럼 자영업에서 성공하려면 경쟁을 이길 수 있는 특화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창업을 준비한다면 사전에 철저한 상권 분석은 필수입니다.
중소기업청이 운영하는 상권정보 시스템을 이용하면 편의점과 치킨집은 경쟁이 어느 정도인지, 상가마다 어떤 업종이 들어섰는지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또 막연한 숙박업이나 음식점 창업보다는 늘어나는 외국인 관광객과 싱글족을 겨냥한 게스트하우스나 1인용 전문 음식점 등으로 특화하는 게 좋습니다.
정부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은 단순한 보증이나 금융지원에서 벗어나 특화된 업종을 찾아낼 수 있는 정보제공과 창업 교육으로 확대돼야 합니다.
<인터뷰> 이경희(한국창업전략연구소장) : "정부에서 어떤 전문성이나 어떤 기능을 키워서 도전할 수 있는 그런 업종이나 직종을 개발하는 게 가장 시급하다."
근본적으로는 재취업에 대한 지원을 늘려 자영업 포화상태를 해소해야 합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각종 상점이 밀집한 서울 홍대 거리에 나왔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개인이 운영하는 커피전문점과 음식점, 술집들이 좌우로 들어서 있는데요.
우리나라 자영업자는 모두 몇 명이나 될까요?
지난달 7백만 명을 넘어섰고, 전체 취업자의 27%나 됩니다.
미국, 일본보다 자영업자 비율이 크게 높고, OECD 평균과 비교해도 2배 가까이 됩니다.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하면 매년 자영업자가 20만 명씩 늘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
장사는 과연 잘 되고 있을까요?
음식점 한 곳을 살펴보겠습니다.
▼생활고 시달리는 자영업자▼
<리포트>
넉 달전 문을 연 볶음밥 식당입니다.
8년 동안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30대 후반에 자영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처음엔 직원 5명까지 고용했지만 장사가 안돼 요리사만 남았고 대신 부인이 가게 일을 돕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민준(음식점 자영업자) : "아침 7시부터 일어나서 장도 제가 직접 봐야되구요, 가게 문열고 영업하다가 문을 닫는 시간 (밤) 11시까지 일 하고.."
지난 한 달 매출은 4백만 원 정도.
하지만 월세 4백만 원을 내고 나니 남은 돈이 없습니다.
여기에 재료비와 전기, 가스요금 요리사 인건비 등을 지출하면 오히려 5백만원 적자입니다.
<녹취> "오늘은 볶음밥을 먹는 날입니다~ 건물 2층에 있습니다!"
이대로 무너질 수 없다는 생각에 길거리 홍보까지 하고 있습니다.
모아둔 돈 1억 원에 친구들에게 빌린 돈 5천만 원을 더해 가게 문을 열 때만 해도 성공에 자신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매달 적자만 늘어났고 지난달에는 카드론으로 천 만원을 더 빌렸습니다.
<인터뷰> 김민준 : "준비를 한다고 해도 경쟁 자체가 너무 치열하다 보니까 살아 남는 게 너무 힘들어요"
아직 젊기 때문에 조금 더 버텨보겠다고 했지만, 치열한 경쟁 앞에 서 있는 김씨의 한 숨은 깊어만 갑니다.
▼매출↓·빚↑…3년 뒤 절반 폐업▼
<기자 멘트>
밤낮으로 열심히 일해도 수익은 나지 않고 빚만 늘어나는 이유는 뭘까요?
앞서 보신 김 씨 가게가 위치한 홍대 거리를 살펴볼까요?
큰 도로 주변만 살펴봐도 음식점이 47개나 있고, 주점이 24개, 커피전문점이 17개나 있습니다.
자영업자간 경쟁이 치열하는 얘기입니다.
실제로 전체 자영업 가운데 음식점이 25%로 가장 많고 편의점 같은 식품·소매점이 11% 주점이 7.2%로 뒤를 잇고 있습니다.
자영업자의 평균 준비기간은 채 1년도 되지 않는데요.
이렇게 별다른 준비 없이 손쉽게 할 수 있는 업종에 몰리다 보니 과당경쟁에 시달리다 낭패를 보는 겁니다.
지난 3년사이 자영업자의 한 달 매출은 113만 원이 줄어든 반면 빚은 천7백만 원이나 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3년 후엔 전체 자영업자의 절반 가량이, 10년 뒤엔 무려 75%가 문을 닫고 있습니다.
더구나 최근엔 경기까지 침체되면서 자영업자의 어려움은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
대안은 없는지 살펴봤습니다.
▼‘차별화’, ‘상권분석’ 필수…적자 탈출 방법▼
<리포트>
서울 이태원동의 동네 슈퍼.
안으로 들어가자 수 백 종류의 수입 맥주가 가득 쌓여있습니다.
7년 전 인근에 대형 슈퍼가 들어서자 위기의식을 느낀 주인이 지역적 특성을 살려 판매 품목을 수입맥주로 특화한 겁니다.
<인터뷰> 김영숙(슈퍼마켓 주인) : "어떻게 할까? 접어야 하나..사느냐 죽느냐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이 수입맥주인데..."
수입맥주를 팔면서 7년 동안 매출은 10배나 뛰었고 지금은 이 동네에서 유명업소가 됐습니다.
이처럼 자영업에서 성공하려면 경쟁을 이길 수 있는 특화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창업을 준비한다면 사전에 철저한 상권 분석은 필수입니다.
중소기업청이 운영하는 상권정보 시스템을 이용하면 편의점과 치킨집은 경쟁이 어느 정도인지, 상가마다 어떤 업종이 들어섰는지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또 막연한 숙박업이나 음식점 창업보다는 늘어나는 외국인 관광객과 싱글족을 겨냥한 게스트하우스나 1인용 전문 음식점 등으로 특화하는 게 좋습니다.
정부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은 단순한 보증이나 금융지원에서 벗어나 특화된 업종을 찾아낼 수 있는 정보제공과 창업 교육으로 확대돼야 합니다.
<인터뷰> 이경희(한국창업전략연구소장) : "정부에서 어떤 전문성이나 어떤 기능을 키워서 도전할 수 있는 그런 업종이나 직종을 개발하는 게 가장 시급하다."
근본적으로는 재취업에 대한 지원을 늘려 자영업 포화상태를 해소해야 합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희망창조 코리아] 경쟁에 내몰린 700만 자영업자
-
- 입력 2015-01-14 21:16:11
- 수정2015-01-15 20:25:20
<기자 멘트>
각종 상점이 밀집한 서울 홍대 거리에 나왔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개인이 운영하는 커피전문점과 음식점, 술집들이 좌우로 들어서 있는데요.
우리나라 자영업자는 모두 몇 명이나 될까요?
지난달 7백만 명을 넘어섰고, 전체 취업자의 27%나 됩니다.
미국, 일본보다 자영업자 비율이 크게 높고, OECD 평균과 비교해도 2배 가까이 됩니다.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하면 매년 자영업자가 20만 명씩 늘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
장사는 과연 잘 되고 있을까요?
음식점 한 곳을 살펴보겠습니다.
▼생활고 시달리는 자영업자▼
<리포트>
넉 달전 문을 연 볶음밥 식당입니다.
8년 동안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30대 후반에 자영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처음엔 직원 5명까지 고용했지만 장사가 안돼 요리사만 남았고 대신 부인이 가게 일을 돕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민준(음식점 자영업자) : "아침 7시부터 일어나서 장도 제가 직접 봐야되구요, 가게 문열고 영업하다가 문을 닫는 시간 (밤) 11시까지 일 하고.."
지난 한 달 매출은 4백만 원 정도.
하지만 월세 4백만 원을 내고 나니 남은 돈이 없습니다.
여기에 재료비와 전기, 가스요금 요리사 인건비 등을 지출하면 오히려 5백만원 적자입니다.
<녹취> "오늘은 볶음밥을 먹는 날입니다~ 건물 2층에 있습니다!"
이대로 무너질 수 없다는 생각에 길거리 홍보까지 하고 있습니다.
모아둔 돈 1억 원에 친구들에게 빌린 돈 5천만 원을 더해 가게 문을 열 때만 해도 성공에 자신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매달 적자만 늘어났고 지난달에는 카드론으로 천 만원을 더 빌렸습니다.
<인터뷰> 김민준 : "준비를 한다고 해도 경쟁 자체가 너무 치열하다 보니까 살아 남는 게 너무 힘들어요"
아직 젊기 때문에 조금 더 버텨보겠다고 했지만, 치열한 경쟁 앞에 서 있는 김씨의 한 숨은 깊어만 갑니다.
▼매출↓·빚↑…3년 뒤 절반 폐업▼
<기자 멘트>
밤낮으로 열심히 일해도 수익은 나지 않고 빚만 늘어나는 이유는 뭘까요?
앞서 보신 김 씨 가게가 위치한 홍대 거리를 살펴볼까요?
큰 도로 주변만 살펴봐도 음식점이 47개나 있고, 주점이 24개, 커피전문점이 17개나 있습니다.
자영업자간 경쟁이 치열하는 얘기입니다.
실제로 전체 자영업 가운데 음식점이 25%로 가장 많고 편의점 같은 식품·소매점이 11% 주점이 7.2%로 뒤를 잇고 있습니다.
자영업자의 평균 준비기간은 채 1년도 되지 않는데요.
이렇게 별다른 준비 없이 손쉽게 할 수 있는 업종에 몰리다 보니 과당경쟁에 시달리다 낭패를 보는 겁니다.
지난 3년사이 자영업자의 한 달 매출은 113만 원이 줄어든 반면 빚은 천7백만 원이나 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3년 후엔 전체 자영업자의 절반 가량이, 10년 뒤엔 무려 75%가 문을 닫고 있습니다.
더구나 최근엔 경기까지 침체되면서 자영업자의 어려움은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
대안은 없는지 살펴봤습니다.
▼‘차별화’, ‘상권분석’ 필수…적자 탈출 방법▼
<리포트>
서울 이태원동의 동네 슈퍼.
안으로 들어가자 수 백 종류의 수입 맥주가 가득 쌓여있습니다.
7년 전 인근에 대형 슈퍼가 들어서자 위기의식을 느낀 주인이 지역적 특성을 살려 판매 품목을 수입맥주로 특화한 겁니다.
<인터뷰> 김영숙(슈퍼마켓 주인) : "어떻게 할까? 접어야 하나..사느냐 죽느냐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이 수입맥주인데..."
수입맥주를 팔면서 7년 동안 매출은 10배나 뛰었고 지금은 이 동네에서 유명업소가 됐습니다.
이처럼 자영업에서 성공하려면 경쟁을 이길 수 있는 특화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창업을 준비한다면 사전에 철저한 상권 분석은 필수입니다.
중소기업청이 운영하는 상권정보 시스템을 이용하면 편의점과 치킨집은 경쟁이 어느 정도인지, 상가마다 어떤 업종이 들어섰는지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또 막연한 숙박업이나 음식점 창업보다는 늘어나는 외국인 관광객과 싱글족을 겨냥한 게스트하우스나 1인용 전문 음식점 등으로 특화하는 게 좋습니다.
정부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은 단순한 보증이나 금융지원에서 벗어나 특화된 업종을 찾아낼 수 있는 정보제공과 창업 교육으로 확대돼야 합니다.
<인터뷰> 이경희(한국창업전략연구소장) : "정부에서 어떤 전문성이나 어떤 기능을 키워서 도전할 수 있는 그런 업종이나 직종을 개발하는 게 가장 시급하다."
근본적으로는 재취업에 대한 지원을 늘려 자영업 포화상태를 해소해야 합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각종 상점이 밀집한 서울 홍대 거리에 나왔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개인이 운영하는 커피전문점과 음식점, 술집들이 좌우로 들어서 있는데요.
우리나라 자영업자는 모두 몇 명이나 될까요?
지난달 7백만 명을 넘어섰고, 전체 취업자의 27%나 됩니다.
미국, 일본보다 자영업자 비율이 크게 높고, OECD 평균과 비교해도 2배 가까이 됩니다.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하면 매년 자영업자가 20만 명씩 늘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
장사는 과연 잘 되고 있을까요?
음식점 한 곳을 살펴보겠습니다.
▼생활고 시달리는 자영업자▼
<리포트>
넉 달전 문을 연 볶음밥 식당입니다.
8년 동안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30대 후반에 자영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처음엔 직원 5명까지 고용했지만 장사가 안돼 요리사만 남았고 대신 부인이 가게 일을 돕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민준(음식점 자영업자) : "아침 7시부터 일어나서 장도 제가 직접 봐야되구요, 가게 문열고 영업하다가 문을 닫는 시간 (밤) 11시까지 일 하고.."
지난 한 달 매출은 4백만 원 정도.
하지만 월세 4백만 원을 내고 나니 남은 돈이 없습니다.
여기에 재료비와 전기, 가스요금 요리사 인건비 등을 지출하면 오히려 5백만원 적자입니다.
<녹취> "오늘은 볶음밥을 먹는 날입니다~ 건물 2층에 있습니다!"
이대로 무너질 수 없다는 생각에 길거리 홍보까지 하고 있습니다.
모아둔 돈 1억 원에 친구들에게 빌린 돈 5천만 원을 더해 가게 문을 열 때만 해도 성공에 자신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매달 적자만 늘어났고 지난달에는 카드론으로 천 만원을 더 빌렸습니다.
<인터뷰> 김민준 : "준비를 한다고 해도 경쟁 자체가 너무 치열하다 보니까 살아 남는 게 너무 힘들어요"
아직 젊기 때문에 조금 더 버텨보겠다고 했지만, 치열한 경쟁 앞에 서 있는 김씨의 한 숨은 깊어만 갑니다.
▼매출↓·빚↑…3년 뒤 절반 폐업▼
<기자 멘트>
밤낮으로 열심히 일해도 수익은 나지 않고 빚만 늘어나는 이유는 뭘까요?
앞서 보신 김 씨 가게가 위치한 홍대 거리를 살펴볼까요?
큰 도로 주변만 살펴봐도 음식점이 47개나 있고, 주점이 24개, 커피전문점이 17개나 있습니다.
자영업자간 경쟁이 치열하는 얘기입니다.
실제로 전체 자영업 가운데 음식점이 25%로 가장 많고 편의점 같은 식품·소매점이 11% 주점이 7.2%로 뒤를 잇고 있습니다.
자영업자의 평균 준비기간은 채 1년도 되지 않는데요.
이렇게 별다른 준비 없이 손쉽게 할 수 있는 업종에 몰리다 보니 과당경쟁에 시달리다 낭패를 보는 겁니다.
지난 3년사이 자영업자의 한 달 매출은 113만 원이 줄어든 반면 빚은 천7백만 원이나 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3년 후엔 전체 자영업자의 절반 가량이, 10년 뒤엔 무려 75%가 문을 닫고 있습니다.
더구나 최근엔 경기까지 침체되면서 자영업자의 어려움은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
대안은 없는지 살펴봤습니다.
▼‘차별화’, ‘상권분석’ 필수…적자 탈출 방법▼
<리포트>
서울 이태원동의 동네 슈퍼.
안으로 들어가자 수 백 종류의 수입 맥주가 가득 쌓여있습니다.
7년 전 인근에 대형 슈퍼가 들어서자 위기의식을 느낀 주인이 지역적 특성을 살려 판매 품목을 수입맥주로 특화한 겁니다.
<인터뷰> 김영숙(슈퍼마켓 주인) : "어떻게 할까? 접어야 하나..사느냐 죽느냐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이 수입맥주인데..."
수입맥주를 팔면서 7년 동안 매출은 10배나 뛰었고 지금은 이 동네에서 유명업소가 됐습니다.
이처럼 자영업에서 성공하려면 경쟁을 이길 수 있는 특화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창업을 준비한다면 사전에 철저한 상권 분석은 필수입니다.
중소기업청이 운영하는 상권정보 시스템을 이용하면 편의점과 치킨집은 경쟁이 어느 정도인지, 상가마다 어떤 업종이 들어섰는지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또 막연한 숙박업이나 음식점 창업보다는 늘어나는 외국인 관광객과 싱글족을 겨냥한 게스트하우스나 1인용 전문 음식점 등으로 특화하는 게 좋습니다.
정부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은 단순한 보증이나 금융지원에서 벗어나 특화된 업종을 찾아낼 수 있는 정보제공과 창업 교육으로 확대돼야 합니다.
<인터뷰> 이경희(한국창업전략연구소장) : "정부에서 어떤 전문성이나 어떤 기능을 키워서 도전할 수 있는 그런 업종이나 직종을 개발하는 게 가장 시급하다."
근본적으로는 재취업에 대한 지원을 늘려 자영업 포화상태를 해소해야 합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
-
오수호 기자 odd@kbs.co.kr
오수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희망창조 코리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