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피할 수 있었다”…법도 외면한 죽음

입력 2020.11.30 (21:26) 수정 2020.12.02 (08: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한민국은 선진국인가?"

이 질문에 어떻게 답하시겠습니까?

경제 규모나 문화 수준으로 봤을 때는, 이제 선진국 대열에 진입했다는 데 큰 이견이 없습니다.

하지만 선진국이라기엔 부끄러운 '1등'이 있죠.

바로 '산재사망 OECD 1위 국가 대한민국'입니다.

23년째 1윕니다.

매년 2천 명 넘는 노동자가 일하러 나갔다가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노동자 만 명당 사고 사망자 수는 영국과 독일의 5배, 일본의 3.5배에 이릅니다.

KBS가 '일하다 죽지 않게' 연속 보도를 시작한 지 내일(1일)이면 여섯 달이 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터에서 숨지는 노동자는 줄지 않고 있습니다.

산재 사망 1위, 이 부끄러운 기록을 언제까지 두고봐야 할까요?

KBS는 이번 한 주를 산업안전 집중 편성 주간으로 정해 다시 진지하게 이 질문을 던지려고 합니다.

오늘(30일) 첫 순서로 노동현장에서 되풀이되고 있는 산업재해와, 솜방망이 처벌 실태를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정유진 기잡니다.

[리포트]

3명의 사망자를 낸 포스코 광양제철소 폭발사고.

[당시 사고 목격자 : "'퍽퍽' 하는 큰 소리가 들려서 보니까 연기가 나오더라고요. 불꽃같이 시커먼 연기가 많이 나는..."]

지난해 12월에도 비슷한 폭발로 이곳에서 5명이 다쳤습니다.

근로자 5명이 숨진 용인 물류센터 화재.

[배철규/경기 용인동부경찰서 형사과장 : "화재가 나면 작동돼야 할 장치들이 전부 작동을 안 했던 겁니다."]

이천 물류창고 화재로 38명이 숨진 지 석 달도 채 안 돼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택배 현장에선 올해 들어서만 노동자 15명이 과로로 쓰러져 숨졌습니다.

이처럼 반복되는 사고와 과로사, 질병으로 매년 2천 명 이상이 일터에서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특히 사망사고의 원인은 '떨어짐'과 '끼임', '부딪힘' 같은 단순 사고가 절반이 넘습니다.

얼마든지 피할 수 있는 죽음이었다는 뜻입니다.

[최명선/민주노총 노동안전실장 : "복잡한 기술적 원인에서 발생하는 게 아니라 기본적인 안전 보건조치가 안 취해져서 발생하는게 대다수이고요. 안전 투자나 이런 데서 굉장히 취약해서..."]

하지만 책임자 처벌은 솜방망이에 그치기 일쑵니다.

KBS가 노동건강연대와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건 670여 건을 분석해 보니, 피고인 천여 명 가운데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21명뿐, 전체의 1.9%였습니다.

형기도 평균 9.3개월에 불과했습니다.

[손익찬/변호사/서울 업무상질병판정위원 : "기업하는 사람도 불쌍하니까 어느정도 경감해주자 하는데... 실질적으로는 이건 기업 범죄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게 맞아요."]

이 때문에 산재사고가 났을 때 사업주 처벌을 강화하자는 법도 발의됐지만, 처리될 지는 미지숩니다.

노동자들은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외치며 오늘도 거리로 나서고 있습니다.

[방두봉/공공운수노조 지역난방안전지부 : "저희가 제대로 점검을 못하면 지금 어디서 (사고가) 터질지 모르는 거잖습니까. 우리의 안전이 시민의 안전입니다."]

KBS 뉴스 정유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재 피할 수 있었다”…법도 외면한 죽음
    • 입력 2020-11-30 21:26:59
    • 수정2020-12-02 08:07:24
    뉴스 9
[앵커]

"대한민국은 선진국인가?"

이 질문에 어떻게 답하시겠습니까?

경제 규모나 문화 수준으로 봤을 때는, 이제 선진국 대열에 진입했다는 데 큰 이견이 없습니다.

하지만 선진국이라기엔 부끄러운 '1등'이 있죠.

바로 '산재사망 OECD 1위 국가 대한민국'입니다.

23년째 1윕니다.

매년 2천 명 넘는 노동자가 일하러 나갔다가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노동자 만 명당 사고 사망자 수는 영국과 독일의 5배, 일본의 3.5배에 이릅니다.

KBS가 '일하다 죽지 않게' 연속 보도를 시작한 지 내일(1일)이면 여섯 달이 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터에서 숨지는 노동자는 줄지 않고 있습니다.

산재 사망 1위, 이 부끄러운 기록을 언제까지 두고봐야 할까요?

KBS는 이번 한 주를 산업안전 집중 편성 주간으로 정해 다시 진지하게 이 질문을 던지려고 합니다.

오늘(30일) 첫 순서로 노동현장에서 되풀이되고 있는 산업재해와, 솜방망이 처벌 실태를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정유진 기잡니다.

[리포트]

3명의 사망자를 낸 포스코 광양제철소 폭발사고.

[당시 사고 목격자 : "'퍽퍽' 하는 큰 소리가 들려서 보니까 연기가 나오더라고요. 불꽃같이 시커먼 연기가 많이 나는..."]

지난해 12월에도 비슷한 폭발로 이곳에서 5명이 다쳤습니다.

근로자 5명이 숨진 용인 물류센터 화재.

[배철규/경기 용인동부경찰서 형사과장 : "화재가 나면 작동돼야 할 장치들이 전부 작동을 안 했던 겁니다."]

이천 물류창고 화재로 38명이 숨진 지 석 달도 채 안 돼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택배 현장에선 올해 들어서만 노동자 15명이 과로로 쓰러져 숨졌습니다.

이처럼 반복되는 사고와 과로사, 질병으로 매년 2천 명 이상이 일터에서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특히 사망사고의 원인은 '떨어짐'과 '끼임', '부딪힘' 같은 단순 사고가 절반이 넘습니다.

얼마든지 피할 수 있는 죽음이었다는 뜻입니다.

[최명선/민주노총 노동안전실장 : "복잡한 기술적 원인에서 발생하는 게 아니라 기본적인 안전 보건조치가 안 취해져서 발생하는게 대다수이고요. 안전 투자나 이런 데서 굉장히 취약해서..."]

하지만 책임자 처벌은 솜방망이에 그치기 일쑵니다.

KBS가 노동건강연대와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건 670여 건을 분석해 보니, 피고인 천여 명 가운데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21명뿐, 전체의 1.9%였습니다.

형기도 평균 9.3개월에 불과했습니다.

[손익찬/변호사/서울 업무상질병판정위원 : "기업하는 사람도 불쌍하니까 어느정도 경감해주자 하는데... 실질적으로는 이건 기업 범죄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게 맞아요."]

이 때문에 산재사고가 났을 때 사업주 처벌을 강화하자는 법도 발의됐지만, 처리될 지는 미지숩니다.

노동자들은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외치며 오늘도 거리로 나서고 있습니다.

[방두봉/공공운수노조 지역난방안전지부 : "저희가 제대로 점검을 못하면 지금 어디서 (사고가) 터질지 모르는 거잖습니까. 우리의 안전이 시민의 안전입니다."]

KBS 뉴스 정유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시리즈

일하다 죽지 않게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